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f Security Martial Arts Instructors on the Exercise Commitment and Training Satisfaction

경호무도 지도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운동몰입 및 수련만족에 미치는 영향

  • 최우창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전용태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강현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Received : 2019.07.31
  • Accepted : 2019.09.10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f security martial arts instructors on the exercise commitment and training satisfaction of trainee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00 trainees of security martial arts gym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regions by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tal 28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fter excluding 19 questionnaires. Using the SPSS 23.0 for data-process, this study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all the variabl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presentation of vision of instructors'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the behavioral commitment while the devoted attitude of instructors'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commitment. Third, the presentation of vision, formation of community, and support for growth of instructors'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elements while the presentation of vision and support for growth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nvironmental elements. The presentation of vision and formation of commun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hysical elements while the presentation of vision and formation of commun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ducational elements. The presentation of vision, formation of community, and support for growth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elements. Fourth, both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out of trainees' exercise commit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elements, environmental elements, physical elements, and educational elements of training satisfaction while only the cognitive commit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elements. In summary, the security martial arts instructors should show the leadership like presentation of vision and devotion, and also try hard to satisfy the expectation in many areas to raise the exercise commitment.

본 연구는 경호무도 지도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수련생의 운동몰입 및 수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인천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경호무도 체육관에서 수련을 하고 있는 수련생 300명을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19부를 제외하고 총 28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는 SPSS 23.0을 통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변인 간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호무도 지도자의 서번트 리더십의 비전제시가 행위몰입에, 헌신적 자세가 인지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호무도 지도자의 서번트 리더십의 비전제시, 공동체 형성, 성장지원이 심리적 요소에 정(+)적인 영향을, 비전제시와 성장지원이 환경적 요소 정(+)적인 영향을, 비전제시 그리고 공동체 형성이 신체적 요소에 정(+)적인 영향을, 비전제시와 공동체형성이 교육적 요소에 정(+)적인 영향을, 비전제시와 공동체형성 그리고 성장지원이 사회적 요소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호무도 수련생의 운동몰입 중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모두 수련만족도의 심리적 요소, 환경적 요소, 신체적 요소, 교육적 요소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요소에는 인지적 몰입만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경호무도 수련 시 운동몰입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방면에 기대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지도자는 비전제시, 헌신자세, 공동체 형성을 위한 분위기 조성을 추구하는 서번트 리더십을 코칭방법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순철 (2013). 축구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성취목표성향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보경, 윤정구 (2015). 스포츠 팀 지도자의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팀 응집력과팀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6(2), 33-72.
  3. 김원기 (2017). 중학교 태권도 지도자의 의사소통유형이 학생선수의 훈련몰입도와 훈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정광, 송병주 (2011).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5(2), 51-72.
  5. 김진오, 김은정 (2016). 민간경비원의 경호무도 효용성에 관한 질적 접근. 대한무도학회지, 18(2), 79-89.
  6. 김창근 (2017). 검도수련자의 참여 동기가 수련만족도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태민, 이상철 (2011). 경호무도의 발전과제 탐색과 함의. 대한무도학회지, 13(2), 301-318.
  8. 김태일, 백남섭 (2016) 태권도 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이 지도자신뢰와 지도자-선수 교환관계(LMX)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4(4), 219-230.
  9. 김학덕, 원형진, 지용석 (2019) 태권도지도자의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1(1), 14-25.
  10. 김현진 (2011). 수영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여성회원의 운동몰입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형수 (2011).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선수만족, 집단응집력 및 수련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호선 (2013). 서번트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역보건의료기관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나순복, 이천희 (2008). 태권도 코치의 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이 성취목표지향성과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2(3), 149-161.
  14. 문한식, 조규정 (2012). 골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과 몰입 및 운동지속의사와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5(3), 155-176.
  15. 박영만, 조민상 (2016). 경호무도의 실용적 보급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5(2), 21-41
  16. 박준석 (2001). 경호무도의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지, 12(1), 15-16.
  17. 박효순 (2007). 택견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수련생의 수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배상욱, 윤영삼, 한나영 (2009).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지각이 상사에 대한 신뢰와 감정적 몰입을 매개로 추천의도, 이직의도 그리고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텔산업을 중심으로. 인사관리연구, 33(2), 1-28.
  19. 범대진 (2010).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수련만족과 지속이용의도 및 구전의도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서영생 (2014). 스크린 골프 참여자의 참여 동기, 운동 몰입, 운동 중독 및 삶의 질의 관계.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설수황, 여인성, 최석환 (2013). 골프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선수만족 및 운동몰입의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15(1), 24-32.
  22. 손영수, 최만식, 문익수 (2002). 스포츠 몰입상태 척도(FSS)에 대한 통계적 타당성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3(2), 59-73.
  23. 송지준 (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24. 안선영 (2018). 골프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유형이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양진영, 임태희, 김동현 (2016). 경호무도 전공자의 지각된자율성지지가 내재적 동기 및 열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46, 87-112.
  26. 오성기, 전도선 (2004). 스포츠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선수만족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5), 711-718.
  27. 오종철, 양태식 (2009).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의 자기효능감, 리더신뢰 및 서비스지 향성에 미치는 영향: 행정서비스 조직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보, 22(3), 1245-1268.
  28. 이계윤, 백종수 (2008). 한, 중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변헉적, 거래적 리더십이 성취동기, 운동몰입, 지도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1), 1-18.
  29. 이봉춘 (2002).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수련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성탁 (2011). 경찰행정학전공학생의 무도수련 만족도와 대인관계 및 사회성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수행 (2019). 골프지도자 리더십이 지도자 신뢰, 동일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7(1), 733-743.
  32. 이영희 (2008). 사회복지기관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사회복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이의수, 장성화, 이주현 (2012). 초등 체육전단교사의 리더십 유형이 아동의 임파워먼트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1(1), 183-193.
  34. 전정배 (2005). 태권도 사범의 지도유형이 수련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성현, 조건상 (2008). 수상스키 참여 동기에 따른 몰입경험과 운동지속 의사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527-538.
  36. 조성준 (2002). 사이클 코치의 지도유형에 따른 선수만족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최병화 (2015). 유도 지도자 유형에 따른 지도행동유형과 수련생 만족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은용 (2006). 대학 무용지도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리더에 대한 태도 및 리더효과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함우형, 최동재, 임병태 (2017). 경호무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경호 전공자의 수련태도와 교수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지, 6(4), 126-149.
  40. 홍희선 (2009). KLPGA 선수들의 자기관리가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Bass, B. M. (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Collier Macmillan.
  42. Covey, S. R. (1990). Principle-Centered leadership. Fireside Books-Simon and Schuster, New York, NY.
  43. Greenleaf, R. K. (1970). The Servant as Leader. Indianapolis: The Robert K. Greenleaf Center.
  44. Senge, P. M. (1995). Robert Greenleaf's Legacy: A New foundation for Twenty-first Century Institutions, Reflection on leadership: How Robert K. Greenleaf's Theory of Servant Leadership Influenced Today's Top Management Thinkers'.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45. Sims, B. J. (1997). Servant-Hood: Leadership for the Group Effectiveness, The Wharton School. The Wharton of Pennsylvania.
  46. Spears, L. C. (1995). Insights on Leadership: Service, Stewardship, Spirit, and Servant Leadership: 38-42. New Yori: John Wily & S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