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Levels of Vocational key competencies Required by Radiological Technologist Job Description in Blind Hiring process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

  • Jang, Hyon Chol (Department of Radiologic Technology, Suseong University) ;
  • Lee, Myung Hwa (Department of Radiologic Technology, Suseong University)
  • Received : 2018.01.24
  • Accepted : 2019.02.28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baseline data for vocational key competence of radiologists by analyzing the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self-development capability, interpersonal skills, and vocational ethics, which are required by NCS job descriptions for radiologist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radiology. This study surveyed 79 sophomore and ju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radiology at S University from Nov 19 to Nov 30, 2018, using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 levels of vocational key competencies. The analysis results of vocational key competences levels showed that the level of interpersonal skills was the highest (71.2 points for juniors and 74.9 points for seniors). The levels of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development capability were low. Conflict management capability, which is a sub-domain of interpersonal skills, was 77.5 and 80.5 points for juniors and seniors, respectively, which were the highest, while leadership ability was the lowest. When the sub-domains of self-development capability were analyzed, self-recognition capability was the highest (70.0 points for juniors and 74.8 points for seniors) and the career development capability was the lowest. Colleges are required to develop a customized regular curriculum that is well-linked to the clinic in order to improve th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NCS job description to prepare for the blind hiring process. Colleges also put efforts to educate radiologists who can actively cope with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by running various non-regular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NCS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직업윤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준 분석을 통해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18년 11월 19일에서 11월 30일까지 S 대학교 방사선과 재학생 2, 3학년 총 7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준을 조사 분석하였다.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 결과 대인관계능력이 2학년 71.2점, 3학년 74.9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과 자기개발능력이 2학년과 3학년에서 낮게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 갈등관리 능력이 3학년 80.5점, 2학년 77.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리더십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기개발 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 자아인식능력이 3학년 74.8점, 2학년 7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개발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NCS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 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에서는 임상과 잘 연계된 맞춤형 정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다양한 비정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사선사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Ⅰ. INTRODUCTION

최근 정부는 스펙 기반의 채용 시스템에서 벗어나 능력 중심의 채용 시스템 확산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 기반의 채용인 블라인드 채용제도를 도입하여 공공 및 민간 부문에 채용 시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1-3] 블라인드 채용이란 가족관계, 학력, 출신지, 외모 등의 편견 요인을 제외하고 직무능력을 평가하여 채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1-3] 블라인드 채용은 기존 채용방식에서 차별적인 요소를 제외한 좀 더 발전된 채용방식이다.  가직무능력표준(NCS)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을 국가가 산업부문별, 수준별로 체계한 것이다.[4-5] NCS 기반 교육과정이 들어오기 전에는 대학에서 각 전공분야의 대한 지식과 기술을 배운 졸업생들이 산업체 현장에서 제대로 직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미스매칭현상이 발생하였다. 2013년대부터 NCS기반 직무능력 중심의 교육과정이 활용되면서 직무중심의 전공능력인 직무수행능력과 더불어 직무수행능력에 있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해 강조가 되고 있다.[4-5

직업기초능력이 강조되면서 대학에서는 각 직무분야에 맞는 직업기초능력을 잘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정규 및 비정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6-7

채용에 있어서 기존 필기시험은 직무 관련성에 대한 명확한 고려 없이 일반상식, 인.적성 검사, 다양한 전공지식 등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NCS 기반 블라인드 채용에서의 필기전형은 직무기술서에서 제시되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필기전형 또는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한 지식, 기술 등을 측정하는 필기전형 등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선택하여 진행하고 있다.[2] 그 중 전자인 직무기술서에서 제시되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필기전형을 많이 진행하고 있다. 직업기초능력은 대부분의 직업에있어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직업능력이다. 

직업기초능력은 의사소통능력, 자원관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조직이해능력, 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기술능력, 직업윤리 총 10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사소통능력의 하위능력에는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의사표현능력, 기초외국어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자원관리능력의 하위능력에는 시간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문제해결능력의 하위능력에는 사고력, 문제처리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정보능력의 하위능력에는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조직이해능력의 하위능력에는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수리능력의 하위능력에는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능력, 도표작성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자기개발능력의 하위능력에는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대인관계능력의 하위능력에는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기술능력의 하위능력에는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직업윤리의 하위능력에는 근로윤리, 공동체윤리가 포함되어 있다.[1,8

현장에서는 졸업생들이 전공 직무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대학에서는 전공 직무와 연관된 직업기초능력 교육을 통해 직업기초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방사선사 NCS 기반 직무기술서를 보면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직업윤리 등의 직업기초능력을 요구하고 있다.[1] 이러한 직업기초능력에 해당되는 대인관계, 의사소통, 예절, 책임감, 환자에 대한 태도 등은 방사선사로서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역량이기에 학과 교육과정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9] 급변하는 임상현장에 있어서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직업기초능력을 갖춘 방사선사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NCS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직업윤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준 분석을 통해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Ⅱ. MATERIAL AND METHODS

1. 대상

2018년 11월 19일에서 11월 30일까지 S 대학교 방사선과 재학생 2, 3학년 총 7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방사선사 블라인드 채용 시 NCS 기반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직업윤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준을 조사 분석하였다. 

 

2. 연구 도구

연구에 활용된 직업기초능력 설문지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개발한 NCS 직업기초능력 학습모듈[1]의 각 영역별 사전자가진단 체크리스트의 문항 중 25개 문항을 선택하여 활용하였다. 방사선과 학생에게 설문조사의 의도와 방법을 설명한 후, 배포하고 회수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학생 스스로 본인의 수준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의사소통능력 5문항, 문제해결능력 5문항, 자기개발능력 5문항, 대인관계능력 5문항, 직업윤리 5문항으로 작성 되었다. 각 문항은 리커트 5점 척도(매우 그렇다 5점,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2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3.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Ver.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 설문지의 내적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하여 Cronbach alpha 값을 구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학년 간 직업기초능력 수준의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value 0.05 미만인 경우를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Ⅲ. RESULT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대상자의 연령 분포는 21 ~ 33세였으며, 평균연령은 22.8세 였다. 성별은 남성 51명(64.6%), 여성 28명(35.4%)으로 남성의 비율이 높았다. 학년은 2학년 40명(50.6%), 3학년 39명(49.4%)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BSSHB5_2019_v13n1_103_t0001.png 이미지

 

2. 신뢰도 분석

설문지의 내적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통해 Cronbach alpha 값을 구하였다.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일반적으로 Cronbach alpha 값이 0.6 이상일 때 신뢰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신뢰도 분석 결과 의사소통능력 Cronbach alpha 값 0.805, 문제해결능력 Cronbach alpha 값 0.787, 자기개발능력 Cronbac h alpha 값 0.841, 대인관계능력 Cronbach alpha 값 0.77 6, 직업윤리 Cronbach alpha 값 0.679로 나타나 각 직업기초능력 영역별 문항 내적일치도는 매우 양호하였다.

 

Table 2. Reliability analysis of questionnaires

BSSHB5_2019_v13n1_103_t0002.png 이미지

 

3. 학년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

재학생 2학년과 3학년 간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학년 간 직업기초능력을 비교 분석 한 결과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 직업윤리에서는 학년 간 점수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자기개발능력에서 3학년 71.4점, 2학년 66.0점으로 3학년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직업기초능력을 영역별로 보았을 때, 100점 만점에 대인관계능력이 2학년 71.2점, 3학년 74.9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과 자기개발능력이 2학년과 3학년에서 낮게 나타났다.

 

Table 3. Analyzing the levels of vocational key competencies

BSSHB5_2019_v13n1_103_t0003.png 이미지

 

4. 학년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영역 분석

재학생 2학년과 3학년 간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학년 간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영역을 비교 분석 한 결과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에서는 학년 간 점수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경청능력과 의사표현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경청능력에서는 3학년 80.0점, 2학년 74.5점으로 3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의사표현능력에서는 3학년 78.9점, 2학년 73.0점으로 3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영역에서는 문서작성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Table 4. Analyzing the sub-domains of communication kills

BSSHB5_2019_v13n1_103_t0004.png 이미지

 

5. 학년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영역 분석

재학생 2학년과 3학년 간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학년 간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영역을 비교 분석 한 결과 사고력, 문제처리능력에서는 학년 간 점수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영역에서 사고력이 낮게 나타났다. 사고력은 2학년 66.0점, 3학년 70.7점으로 나타났다. 

 

Table 5. Analyzing the sub-domains of problem solving kills

BSSHB5_2019_v13n1_103_t0005.png 이미지

 

6. 학년에 따른 자기개발능력의 하위영역 분석

재학생 2학년과 3학년 간 자기개발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학년 간 자기개발능력의 하위영역을 비교 분석 한 결과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에서는 학년 간 점수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경력개발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자아인식능력이 3학년 74.8점, 2학년 70.0점으로 3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개발능력의 하위영역에서는 경력개발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Table 6. Analyzing the sub-domains of self development capability

BSSHB5_2019_v13n1_103_t0006.png 이미지

 

7. 학년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 분석

재학생 2학년과 3학년 간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 7과 같다. 학년 간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을 비교 분석 한 결과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에서는 학년 간 점수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팀워크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팀워크능력에서는 3학년 74.3점, 2학년 68.5점으로 3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에서는 갈등관리능력이 3학년 80.5점, 2학년 77.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리더십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Table 7. Analyzing the sub-domains of interpersonal skills

BSSHB5_2019_v13n1_103_t0007.png 이미지

 

8. 학년에 따른 직업윤리의 하위영역 분석

재학생 2학년과 3학년 간 직업윤리의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 8과 같다. 학년 간 직업윤리의 하위영역을 비교 분석 한 결과 근로윤리에서는 학년 간 점수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공동체윤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공동체윤리에서는 3학년 76.1점, 2학년 70.0점으로 3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Table 8. Analyzing the sub-domains of vocational ethics

BSSHB5_2019_v13n1_103_t0008.png 이미지

 

Ⅳ. DISCUSSION

최근 급격한 기술 발전으로 인해 직업의 생성과 소멸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체의 환경 변화 또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빠르게 변환되는 산업체 환경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산업체의 직종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직업기초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10,11] 이로인해 산업체 현장에서는 졸업생들이 전공 직무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며, 취업 시에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최근 국가적 차원에서도 직무능력과 직업기초능력을 표준화하여 직업훈련 교육, 자격제도 등에 도입하여 접목시키고 있다.[10,12]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직업훈련기관,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대학교등에서 NCS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편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더 나아가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와 를 반영한 현장중심형 교육과정 개편이 이루어지고 있다.[10,13] 또한, 대학에서는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을 학생들이 갖출 수 있도록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특강 및 직업기초능력과 연관된 자격증 과정을 개설 하고 있다. 직업기초능력과 관련된 교과목을 교양 및 전공에 적용하여 교육하고 있다.[14,15] 산업체의 요구 및 직업군별 맞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야 할 것이며,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CS 기반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직무기술서에서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직업윤리 등의 직업기초능력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에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NCS 직무기술서[1]에서 요구하는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직업윤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준 분석을 통해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학년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3학년이 2학년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3학년 학생들이 임상실습을 통해 방사선사로서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관심과 취업 준비와 연관되어 3학년 개개인이 2학년보다 좀 더 직업기초능력 역량 향상을 위해 노력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학년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수준의 연구 결과 100점 만점에 대인관계능력이 2학년 71.2점, 3학년 74.9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 직업윤리,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Y. H Hwang 등[8]의 연구에서도 직업기초능력 항목 중 대인관계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을 제외한 직업기초능력 영역별 수준의 순위는 다르게 나타났다. H. H. Cho[16]의 연구에서도 직업기초능력 항목 중 직업윤리와 더불어 대인관계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3학년과 2학년 모두 문제해결능력과 자기개발능력의 수준이 직업기초능력 중 낮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앞으로 문제해결능력에 있어서 비판적, 논리적인 사고를 가져 문제를 적절하게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기개발능력에 있어서는 3학년이 2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3학년이 자신의 취업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진로 개발을 위해 노력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자기개발능력 향상을 위해 자신의 능력과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영역 분석 결과 경청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H. H. Cho[16]의 연구에서도 경청능력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영역 중 문서작성능력이 2, 3학년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나 목적과 상황에 맞게 문서로 정보를 잘 전달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영역 분석 결과 문제의 특성을 파악하고 적용하여 결과를 평가하여 피드백 하는 문제처리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고력이 낮게 나타났다. 3학년이 비판적인 사고를 보다 더 한다고 볼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2, 3학년 모두 주어진 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를 통해 문제를 적절히 해결 할 수 있는 교육이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기개발능력의 하위영역 결과 자신의 흥미와 특성 등의 정체감을 인식하는 자아인식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개발이 낮게 나타났다. 학년별 진로에 대한 단계적 목표 설정과 더불어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특강과 자격증 과정 등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 분석 결과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는 갈등관리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리더십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직업윤리의 하위영역 분석 결과 공동체윤리가 근로윤리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대학 재학생때부터 근면, 성실한 태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NCS 직무기술서에서 제시하는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직업윤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준 분석을 기초로 하여 재학생들에게 있어서 낮은 수준의 직업기초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개 대학교의 방사선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향후 보다 더 많은 방사선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좀 더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Ⅴ. CONCLUSION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NCS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에서는 임상과 잘 연계된 맞춤형 정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다양한 비정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사선사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http://www.ncs.go.kr
  2.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NCS based ability centered recruitment guidebook,"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6.
  3. S. H. Oh, "Benefits and losses of blind recruitmen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Forum, pp. 10-15, 2018.
  4. M. D. Oh, S. H. Lee, "Redesign of A College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9, pp. 651-66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651
  5. Y. K. Yang, W. H. Chung,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the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and the Industry Demand for Liberal Arts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9, No. 2, pp. 35-65 2015.
  6. D. W. Yoon, H. J. Woo, B. J. Ghang, et al., "Needs Analysis case Using Key Competencie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12, pp. 383-398,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383
  7. H. J. Joo, H. W. Kim, "PBL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improving NCS Vocational basic abilities: Focusing on the case of S health university," Journal of Culture and Convergence, Vol. 38, No. 3, pp. 327-358, 2016.
  8. Y. H. Hwang, S. J. Park, "Educational needs analysis for key vocation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1, pp. 595-603, 2016.
  9. M. S. Han, J. Y. Lee, "The Relation between Dental Technician's Social Support and Individual Competency," Journal of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7, pp. 4449-4456 2014.
  10. N. H. Hong, "Priority analysis of NCS based vocational core cometency of dental hygienists in Gwangju,"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6, No. 3, pp. 337-346,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3.337
  11. J. H. Park, J. P. Lee, Y, H. Park, "A study on the needs assessment of key competencies from industries for graduates of Korea polytechnic college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2, No. 1, pp. 83-105, 2013.
  12. Y. J. Hur, "A study in the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0, No. 1, pp. 425-462, 2016.
  13. K. J. Kim, I. S. Moon, "Research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ployment: Focused on Department of Design,"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Vol. 49, No. 1, pp. 33-40, 2014.
  14. O. J. Lee, S. H. Jung, "Study on Vocational Core Competency of Optometrists,"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ol. 22, No. 4, pp. 311-321, 2017. https://doi.org/10.14479/jkoos.2017.22.4.311
  15. H. S. Kim,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education program as curriculum on vocational key competencies,"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5, No. 1, pp. 73-89, 2012.
  16. H. H. Cho, "The Relationships between Vocational Key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1, No. 4, pp. 333-362, 2017.
  17. H. H. Cho, "The Relationships between Vocational Key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1, No. 4, pp. 333-362,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