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Preparedness for Social Proble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준비 여부

  • Received : 2019.02.12
  • Accepted : 2019.03.15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preparedness for anticipated social proble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eteremines if there exist differences between gender, major fields of study and school years of students. Based on surveys with 122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students majoring in technology-engineering showed more positive outlook than students majoring in humanity-social science. Female students and humanity-social scienc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concerns with social problems than male and technology-engineering students. More than three out of five students anticipated that they will experience the influ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in the next five years. Two out of five students assessed their preparedness to be inadequate. Given the overarching social influ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vergent education of technology and social science that raises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eparedness without differences in major fields of study and gender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예측되는 사회적 문제에 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준비여부를 파악하고 성별, 전공별, 학년별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대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기술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인문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 비해 보다 긍정적으로 4차 산업혁명을 예상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으로 예측되는 사회적 문제에 관해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인문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기술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보다 더 깊은 우려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명 중 3명 이상의 대학생들이 앞으로 5년 사이에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체감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5명 중 2명 정도의 학생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자신의 준비 수준은 미흡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영향이 사회 전반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기술발전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전공과 성별에 차이 없이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대비할 수 있는 기술공학과 인문사회학이 융합된 '4차 산업혁명'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Keywords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3_566_t0001.png 이미지

표 2.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지도

CCTHCV_2019_v19n3_566_t0002.png 이미지

표 3. 대학생들이 예상하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

CCTHCV_2019_v19n3_566_t0003.png 이미지

표 4. 4차 산업혁명의 영향에 대한 응답률 분포

CCTHCV_2019_v19n3_566_t0004.png 이미지

표 5. 대학생들이 예상하는 4차 산업혁명의 시기

CCTHCV_2019_v19n3_566_t0005.png 이미지

표 6. 대학생들이 예상하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 분야

CCTHCV_2019_v19n3_566_t0006.png 이미지

표 7. 대학생들이 예상하는 사회적 문제 분야

CCTHCV_2019_v19n3_566_t0007.png 이미지

표 8. 사회적 문제에 관한 학생별 차이-카이제곱 검증(x2)

CCTHCV_2019_v19n3_566_t0008.png 이미지

표 9.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자료를 주로 접하는 곳

CCTHCV_2019_v19n3_566_t0009.png 이미지

표 10.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 수준과 학생별 차이

CCTHCV_2019_v19n3_566_t0010.png 이미지

표 11.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 수준의 응답률 분포(%)

CCTHCV_2019_v19n3_566_t0011.png 이미지

References

  1.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pp.5-35, 2016.
  2. 최정길, 손안에 들어오는 4차 산업혁명, S&M 미디어, pp.11-185, 2017.
  3. 김명철, 양기철,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pp.58-63, 2017.
  4. 이재홍,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의 기회, 미디치미디어, pp.26-210, 2017.
  5. 박병원,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와 제4차 산업혁명," 미래연구포커스- Future Horizon, Vol.28, pp.4-5, 2016.
  6. 양성길, 제4차 산업혁명과 소셜미디어, 이것이 4차 산업혁명이다, 매일경제신문사, pp.121-133, 2017.
  7. 신현우, "도덕과 교육에서 로봇윤리의 교육적 함의," 윤리연구학회지, 제105호, pp.269-286, 2015.
  8. 김누리, 박숙회, 전경원, 표정민,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창의력교육연구학회지, 제17권, 제4호, pp.101-121, 2017.
  9. 안윤정, 임윤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학생 인식과 진로교육의 방향모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학회지, 제17권, 제18호, pp.329-351, 2017.
  10. 송정안, "4차 산업혁명과 사회통합: OECD 회원국 종단분석(2006-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298-30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298
  11. 변재웅, "4차 산업혁명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학회지, Vol.17, No.3, pp.109-118, 2017.
  12. 유웅환, 사람을 위한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을 생각하다, 비지니스맵, pp.38-90, 2017.
  13. 김창환, "미래사회와 유아역량," 한국육아지원학회학술대회지, Vol.2014, No.4, pp.11-47, 2014.
  14. 오하경, 김태성, "인공지능 비서 이용과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사용자 인식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467-472, 2017.
  15. 송선영, "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 도덕교육적 함의 -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을 중심으로-," 윤리연구학회지, 제115호, pp.133-159, 2017.
  16. 이선영,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한국교육학연구학회지, Vol.23, No.1, pp.243-244, 2017.
  17. 조헌국,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학회지, Vol.11, No.2, 한국교양교육학회, pp.53-89, 2017.
  18. 지현아,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교양교육연구학회지, Vol.11, No.6, pp.39-61, 2017.
  19. World Economic Forum,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WEF, pp.2-3, 2015.
  20. 김은진, "4차 산업혁명 시대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교육패러다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248-25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248
  21. 고은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조적 활용과 문화 계승- 문화유산의 디지털화," 미술교육논총학회지, 제32권, 제1호, pp.41-64, 2018.
  22. 황의철, "4차산업혁명 시대의 대학교육 방향," 한국콘텐츠학회 춘계학술대회학회지, pp.137-138, 2017.
  23. 김영옥,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유망산업,"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5권, 제4호, pp.28-35, 2017.
  24. 장현진, 윤영한, 김민경, 류지영, 이지은, 유미애, 2016년 진로교육 현황조사, 교육부.전라북도 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25. 채창균, "대졸 청년의 전공일치 취업 실태 분석," KRIVET Issue Brief, No.91, pp.1-4, 2016.
  26. 손화철, "4차 산업혁명과 인문학," The HRD Review, Vol.11, pp.34-41, 2016.
  27. 진성희, "4차 산업혁명 관련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사례조사 및 산업체 수요조사: 전자, 소프트웨어, 자동차 중심의 융합교육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36-4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