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ilitary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on a Social Network Service :Focusing on the effect of message form on the crisis perception of soldiers

SNS를 통한 군(軍)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 :메시지 형태가 장병의 위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김태웅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
  • 양종훈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
  • 이상은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 Received : 2019.10.01
  • Accepted : 2019.10.24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e military respond well to external publics in the event of a crisis int that they are operated based on the trust of the people. Unlike other organizations, however, the Korean military has the distinctiveness that soldiers experience military life as internal public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fter serving in the army, they become those who evaluate the military as external public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what would be effective crisis management strategies in terms of communicating with active-duty soldiers. Given that active-duty soldiers are accustomed to using SNS these day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message forms (digital image vs. text)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military in crisis, acceptance of the given message, and attitude toward the military. Our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image-based messages are more likely to increase levels of message acceptance than text-based message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on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managing the military in crisis.

군은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운용된다는 측면에서 위기 발생 시 외부공중의 반응에 매우 민감하게 대처한다. 하지만 군 조직은 다른 여타 조직과 다르게 내부공중인 장병이 군 복무를 통해 군을 체험하고 전역 후 조직을 평가하는 외부공중이 된다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군의 위기상황 관리 측면에서 내부공중인 장병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군 복무 중인 장병들의 미디어 이용행태를 고려해 SNS에서 전달되는 위기관리 메시지 형태(디지털이미지 메시지 vs.텍스트 메시지)가 장병들의 군 조직의 위기에 대한 인식, 메시지 수용도, 그리고 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디지털이미지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이 텍스트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보다 군의 위기대응 메시지를 수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군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이섭,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군 홍보정책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한경표, SNS의 과업-기술적합성과 군의 조직문화가 정책홍보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 한승엽, 소방조직 내부 PR활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 박혜숙, "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과 관련변인 탐색,"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2호, pp.303-325, 2010.
  5. 조삼섭, "대학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재학생의 만족도, 신뢰도,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매체 풍요도와 상호작용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구, 제25권, 제3호, pp.5-30, 2017.
  6. 유종숙 외, "위기 시 기업커뮤니케이션 메시지 형태 비교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9권, 제3호, pp.104-128, 2006.
  7. 김영욱, 위기관리의 이해 , 서울: 책과 길, 2002.
  8. 정수철, 위기상황과 위기대응 커뮤니케이션젼략 선택에 관한 연구- 군의 위기상황과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 W. T. Coombs and S. J. Holladay, "Helping crisis managers protect reputational assets: Initial tests of the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16, No.2, pp.165-186, 2002. https://doi.org/10.1177/089331802237233
  10. W. T. Coombs, "Designing post-crisis messages: Lessons for crisis response strategies," Review of Business, Vol.21, No.3-4, pp.37-41, 2002.
  11. 김정희, 박명희 외, "인터넷 광고 유형에 따른 침입성 지각 수준 및 광고/제품에 대한 태도 연구," 광고연구, 제84권, pp.5-24, 2010.
  12. 오유란, 고정민, "중국 화장품 광고에서 한류 텍스트와 비주얼 메시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제17권, 제1호, pp.1-8, 2017.
  13. D. L. Wilcox, G. T. Cameron, P. H. Ault, and W. K. Agee, Public relations; strategies and tactics (7th edition) , Boston, MA; Allyn and Bacon, 2003.
  14. 문양희, 강동식,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10호, pp.879-898, 2015.
  15. 노상미, 고등학교 물리수업에서 학생들의 인포그래픽 구성 특징과 학습효과, 경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6. 손성정, 효율적인 스마트교육을 위한 인포그래픽의 활용 가능성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7. M. Smiciklas, The power of infographics: using pictures to communicate and connect with our audience, Indianapolis, Indiana: Pearson Education, 2012.
  18. 서연화, "비주얼내러티브의 유형별 특성 사례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3권, pp.189-201, 2016.
  19. 김진태, 황성욱, "SNS 상호작용성, 위기책임성, 메시지전략이 PR 공중의 위기에 대한 인식과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1호, pp.149-180, 2015.
  20. 이상경, 성민정, "온라인 PR정보원의 유형 별 커뮤니케이션 효과," 제7권, 제4호, pp.57-186, 2010.
  21. 장현정, 비영리조직의 위기책임성과 사과유형이 조직에 대한 태도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