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s Work-Based Learning Program for Non-academic and Unemployed Youth: Comparison of U.K.

비취학 청년들을 위한 한국의 일기반 학습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영국과 비교

  • Hong, Seo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 An, Soy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 Chung, Youngso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홍서인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안소영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정영순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1.16
  • Accepted : 2018.04.25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work-based learning programs of the U.K. in order to find out the successful strategies of the Korea's youth internship which has not got employment effects. Furthermore, to seek a fundamental improvement plan of the Korea's work-based learning programs. The implica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or internship performances, the curriculum should be standardized on the basis of industry-specific job criteria, which can be reflected by industrial demands and be correspond to needs at the workplace. Also, it is imperative that the curriculum is linked to national qualifications to guarantee the job ability. Additionally, an infrastructure for effectively monitoring, managing, and evaluating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However, these strategies are still constrained in improving the job ability of vulnerable targets and fostering the future-leading manpower in the new industry. In order to reform the work-based learning program, it needs to be structured with a variety of programs suitable for different levels of participants by introducing traineeship, apprenticeship and further education.

비취학 청년들의 고용 및 고용유지율이 높지 않은 일기반 학습 프로그램인 청년인턴제의 성공전략, 더 나아가 한국 일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영국의 일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인턴제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과과정이 산업수요를 반영하고 그 훈련이 해당 사업장에서 통용될 수 있도록 산업별 직무기준에 기반해서 표준화하는 한편 직무능력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자격증과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참여기업과 훈련생들을 효과적으로 모니터, 관리, 평가하기 위한 운영체계도 효율적으로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만으로 취약 대상의 직무능력 향상과 신성장산업 영역에서 미래 우수인력 양성이라는 목적을 추진하는데 한계가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영국과 같이 연수, 도제, 계속교육 유형을 도입하여 비취학 청년들의 다양한 학력 수준에 맞게 단계별 일기반 학습 과정으로 구조화하고 체계화하는 개혁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