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수

Search Result 3,65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정보화 연수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방안 연구 (정보화 자격증 취득을 중심으로)

  • Kim, Yong-Sam;Han, Seon-G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127-132
    • /
    • 2006
  • 정보화 연수가 ICT활용수업과 맞물려 많은 예산을 들여 교사들의 방학을 차지하고 있지만 정작 일선현장에서는 연수 이수 후에 수료증 말고는 크게 기여를 못하고 있다. 영어연수처럼 분명 수준차가 있는데도 이를 무시하고, 교사가 원하는 연수 내용보다는 개설한 연수에 학교별 인원을 할당하는 식으로는 절대로 연수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없고, 교실의 ICT활용수업도 기대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연수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컴퓨터관련 자격증과 정보화 연수의 내용을 연계하여 가능한 정보화 연수를 컴퓨터관련 자격증 수강, 응시, 취득으로 유인하여 효율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정보화 연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해결책에 대해서도 설문결과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 PDF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Training for the Arts Gifted (예술영재 담당 교원 연수 현황 및 인식 조사)

  • Maeng, HeeJu;Kang, Byoungji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4 no.3
    • /
    • pp.379-398
    • /
    • 2014
  • This research examined to seek managing the way of effectiveness for training through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training for the gifted in ar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it is analyzed that about 49.4 percent of respondents do not have any experiences of in-service training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in arts and there are also teachers who teach with no experiences of in-service training. Moreover, it is also analyzed that in-service training is generally being conducted with revolving to basic courses and the opportunities that teachers are able to develop programs for themselves are offered insufficiently. Second, in terms of management of in-service training, it is implied that accessibility to the training site and the active promotion of program, as well as sufficient provision of information, have to be considered in advance. Third, teachers have recognition that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diversification of training types, professionalism of instructors and managing directors for the effectiveness of in-service training. Forth, in terms of program, teachers show that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programs, the diversification of training contents and the differentiated opportunities for developing programs according to basic, advanced course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in arts are most important. Furthermore,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the amenity of training facility are said to be important elements. Therefore, we suggest that,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of the gifted in arts, not only differentiated in-service training model and curriculum which can be applicable to the field, but also efficient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education in arts.

Strategy of Active Learning in Teacher Distance Training (능동적 학습 참여를 위한 원격교원연수 전략)

  • Lim, Ji-Won;Shin, Soo-Bum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76-81
    • /
    • 2007
  • 최근 교사가 교직의 전문성을 신장 유지시켜 나가기 위해 수강하는 교원연수의 한 방법으로 원격연수를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원격교원연수의 양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 교수자의 내용 전달 수준에서의 연수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인 참여를 함으로써 연수효과를 높여야 하는데 연수의 양적 증가에만 머무르고 있어 원격연수의 질적 개선을 위한 연수자 참여형 원격연수 전략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원격교원연수의 개념과 배경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 원격연수의 실태를 분석하여 원격교원연수 전략에 적합한 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Distance Train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In-Service Teacher's Teaching Ability (현직 교사의 교수 능력 향상을 위한 원격 연수 방법의 개발)

  • 구정모;한병래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5 no.4
    • /
    • pp.415-426
    • /
    • 2004
  • Distance teacher training is on the increase raplidly because of its merit. But distance teacher training's weak points with its quantitative increasement has been proposed. Especially many study said commonly that distance tearcher training has weak points for contents, teaching method, evaluation method. So in this study, we will develop the teaching method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to solve weak points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with microteaching,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teacher evaluation method. We think this teaching method will improve a teacher's teaching ability.

  • PDF

A Development of Distan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using synchronous lecture authoring tool for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동기적 강의 저작 도구를 활용한 교수법 향상 중심의 교원 원격 연수 시스템)

  • 구정모;박종오;임진숙;김성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677-680
    • /
    • 2002
  • 요즘 원격 교육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교사 연수에 있어서도 기존 출석 연수와 병행하여 원격연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 연수의 상당 부분은 실제 현장 교사들이 원하고 교사 연수의 핵심인 교수법 향상에 대한 것보다는 교과에 대한 지식이나 기능위주로 시행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사 연수의 궁극적인 목적인 교수법 향상을 위해서는 연수생들이 경험이 풍부하고 교수법이 뛰어난 교사가 실제 수업하는 것을 보고 동료 교사들끼리 서로 충분히 토의를 거치고 배우는 형태의 연수가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시간, 인원, 경비 등의 문제로 실제 그렇게 하기 어려우므로, 교수-학습 지도안과 동기화된 동영상 중심으로 이루어진 원격 연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기화 동영상 저작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원격 연수 시스템을 구축해서 교사들의 교수법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 PDF

An analysis on the pilot test of web-based training for teachers' competency development (교원능력개발 원격연수 시범운영 분석)

  • Suh, Soon-Shik;Kim, Sung-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5 no.3
    • /
    • pp.505-515
    • /
    • 2011
  • Since MEST accredited web-based training institutes for teacher training in December 2000, although there have been growth quantitatively, due to the issues such as difficulty in securing time for training, in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in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fair online evaluation, in contents renewal, in management of learners, web-based training could not reach the potential we expe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teachers' web-based training along with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 survey and interview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ylze the satisfaction research and suggestions, levels of training system use of trainee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ilot test of web-based training.

  • PDF

Analysis Teacher Efficacy and Satisfaction of SW Interactive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 교원 SW 쌍방향 연수 프로그램의 교수 효능감 및 만족도 분석)

  • Lee, Jaeho;Lee, Seunghoon;Shin, Taeseob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7 no.3
    • /
    • pp.145-155
    • /
    • 2021
  • In this study, a SW interactive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developed in order to cultivate the SW competency of teachers who apply SW education to schools, and the effect was analyzed by applying it to the school training site. For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gram, the training development direction was set based on the current SW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an interactive training program was opened so that training could be conducted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developed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to 104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active training program, a survey on professor efficacy and satisfaction was conducted, and positive results were confirmed in terms of professor efficacy and program satisfaction. A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W/AI education training for teachers will be conducted as interactive training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analysis study on the effect of SW/AI training training.

해외연수 수기 - 2010년 오리산업 선진국가 연수 수기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91
    • /
    • pp.122-131
    • /
    • 2011
  • 지난 11월 18일부터 25일까지 6박 8일의 일정으로 떠난 "2010 오리산업 선진국가 연수". 세계 3대 규모를 자랑하는 독일 하노버 축산 박람회 관람부터 명품오리를 생산하는 프랑스 그리므드사 견학까지. 총 24명으로 구성된 연수단은 하나로 똘똘 뭉쳐 빠듯한 일정에도 오리산업 선진국가 교육을 무사히 마쳤다. 직접 보고 들은 연수자들이 생생하게 전하는 해외연수 담(談)에 귀를 기울여보자.

  • PDF

Development of a Prototype of Web Based Assessment for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교수법 향상을 위한 웹기반 평가의 프로토타입 개발)

  • 구정모;한병래;김성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83-585
    • /
    • 2003
  • 원격 교사 연수는 기존의 교사 연수를 보완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그동안 많은 양적인 증대가 있었다. 그러나 이제 양적인 증대와 아울러 그 질적인 면도 같이 고려해야 할 때이다. 기존의 원격연수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성과 연수생의 개별학습을 고려한다는 장정이 있지만 연수 강사와 연수생간의 상호작용의 문제점, 연수생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고 현장 적용성이 떨어지는 연수내용, 명확하지 못하고 획일적인 평가방법, 연수강사의 질, 교수 학습 모형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제기 되고 있다. 특히 원격 교사 연수의 핵심인 교수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제적이고 객관적인 평가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위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웹기반 평가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교수법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