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oddess Demeter in The Homeric Hymn to Demeter

<데메테르 찬가>에 구현된 '어머니 데메테르'의 특성과 그 신화사적 위상

  • Received : 2018.05.10
  • Accepted : 2018.06.30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essay deals with The Homeric Hymn to Demeter, a aetiological myth about the Eleusis Mysteria. The narrative of the hymn shows how Demeter, the goddess of grain, became the deity of the Mysteria. In the hymn, Demeter is characterized as a mother: She is the mother of Persephone and the motherlike nurse of Demophone. As the mother of Persephone and Demophone, the roles of are nursing and mediating. She care her children and linked the earth and the world below, the heaven of gods and the earth of mortals. Demeter the deity of the Mysteria by a mother. The and the maternity of Demeter is connected with patriarchal politics. Demeter in the hymn is not so much the goddess who derived her character from The Great Mother as the goddess who had been characterized the influence of Greek-patriarchy.

이 글은 "호메로스풍 찬가"의 한 편인 <데메테르 찬가>를 대상으로, 그 신화적 의미와 신화사적 위상을 가늠하는 데 목적을 둔다. <데메테르 찬가>가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담으로 기능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데메테르의 어떤 모습이 의례의 주신(主神)으로서 강조되고 있는가를 살핀바, <데메테르 찬가>는 데메테르 여신을 모성의 존재로 형상화하는 한편 데메테르의 모성을 '보살핌'을 본질로 하면서 서로 다른 세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모성으로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모성은 <데메테르 찬가>를 향유하던 사회의 가부장제적 질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시대적 소산인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데메테르 찬가>는 가부장제 사회의 여신 신화로서 그 신화사적 위상을 자리매김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데메테르의 모성적 특질은 생산이나 재생에 있고 그것은 대모신(지모신)의 여성적 생산성이 후대적으로 변화한 것이라는 신화사적 통설은 재검토될 여지가 있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