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f Five-year-old Popular Child's Behavior Patterns

만5세 또래 인기아의 행동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 Sohn, Soo Mi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angnam University) ;
  • Kim, Ji Na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angnam University)
  • 손수민 (강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진아 (강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ive-year-old popular child's behavior pattern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ith qualitative method. One popular child was selected from D child care center of P city in Kyeonggi province. Peer-nomination method was used to select the popular chil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to November in 2017 through 36 observations in free choice activities. As well as observation records,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 records with parents and teachers, parent counseling journals, observation journals, and child's personal record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popular child. Three steps, including recording, coding, and making them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behavior patterns of popular child in this study present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des. The positive behavior patterns included consideration, responsibility, high concentration, and a sense of humor. The negative behavior patterns showed control and ex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and environment to enhance positive peer relationship.

본 연구에서는 만5세 인기아의 행동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P시에 소재한 D어린이집의 만5세 반 유아들 중 또래 지명법을 활용하여 선정된 또래인기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관찰은 2017년 4월부터 11월까지 36회에 걸쳐 또래관계를 가장 자연스럽게 관찰 할 수 있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사와 유아를 대상으로 형식적 비형식적 면담, 부모상담일지, 유아관찰일지, 가정 기초 조사서 등을 참고하여 관찰한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자료의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사, 코딩, 주제 생성의 세 단계를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기아는 또래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배려, 책임감, 높은 집중력, 풍부한 유머감각을 보이는 등 긍정적인 행동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둘째, 인기아는 놀이 참여 시 통제, 따돌림 등 부정적인 행동들도 함께 관찰되었다. 인기아의 행동특성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이나 가정에서 유아가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 계발 및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근거와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설, 송주연(2014).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언어적 상호작용 시도 분석. 아동교육, 23(1), 59-77.
  2. 고현(2009). 유아의 또래인기도 관련 변인 연구: 유아의 사회적 지식, 사회인지 능력, 친사회적 행동, 언어표현능력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9(6), 21-43.
  3. 고희진(2004). 유아의 인기도에 따른 사회적 능력 및 놀이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에서 2017년 8월 8일 인출.
  5. 길효정, 박은혜(2013).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대화의 특징. 한국교사교육연구, 30(2), 225-251.
  6. 김부영(2016). 비인기 유아의 또래관계 이야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천(2012). 질적연구 방법론I.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
  8. 김옥윤(2013). 유치원 일과에서의 또래지위에 따른 유아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9. 김윤희(2010). 유아 또래관계 관련 국내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연구방법을 중심으로(1995년-2009년). 아동학회지, 31(5), 139-147.
  10. 김지영(2003). 인기아의 일반적인 특성과 인기아이 행동이 다른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논문집, 31, 201-227.
  11. 김진영(2004). 유아들의 유머와 친구관계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4(6), 113-133.
  12. 김효정, 성소영(2011). 유아의 인기유형과 성별에 따른 리더십과 놀이성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0(3), 157-182.
  13. 김희태, 정은실(2012). 유아들의 또래지위에 따른 갈등양상에 관한 연구. 어린이교육비평, 2(2), 37-62.
  14. 남영신(2005). 유아의 인기도에 따른 사회적 덕목수행 및 친 사회적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문영경, 최선녀(2015). 교사의 교수 효능감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5(2), 1-20.
  16. 문혁준(2000). 또래 수용도와 부모 양육태도: 인기아와 고립아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8(7), 39-52.
  17. 박은미(2007). 교사 개입전략을 통한 비사회적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과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인숙(2015). 동화를 활용한 배려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45-66.
  19. 배지희(1995). 또래관계에서 사용하는 유아의 요구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서소정, 변민지, 하지영(2016).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화적 행동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관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245-270.
  21. 송미선(1995). 놀이개입상황에 있어서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른 사회적 행동과 의사소통기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송윤희(2002). 유아의 인기도에 따른 성격특성과 사회적 행동 반응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신은수, 권미경, 정현빈(2010). 유아의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183-209.
  24. 양승희(2007). 유아의 사회적 놀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7(3), 53-71.
  25. 양진희(2013). 유아의 또래 간 인기도와 자기조절능력, 정서인식 능력 및 유아 건강성의 관계분석. 유아교육연구, 33(1), 237-258.
  26. 윤경선(2006). 사회적 지식에 관한 이야기 나누기 교수.학습 유형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또래 인기도, 사회인지 및 언어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윤옥인(1995). 학급내의 사회성 측정지위로 본 인기아와 배척아의 특징에 관한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은연아(2018). 유아의 인기도에 따른 또래관계 이야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이경실(1997).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경옥, 여은진(2005). 유아의 사회, 정서능력과 또래 인기도의 관계. 덕성여대 논문집, 35, 97-115.
  31. 이명숙(1998). 유아의 성, 기질 및 인기도에 따른 또래 간 요구전략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명숙(2006). 또래관계에서의 유아 리더십 양상과 성 및 인기도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85-106.
  33. 이미나, 정주선(2012). 유아의 리더쉽과 놀이 표현력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2(2),147-161.
  34. 이사임(1994). 유아의 또래 간 인기도에 따른 놀이형태 및 놀이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영자, 유효순, 이정욱(2001). 유아사회교육. 서울: 교문사.
  36. 이영주(2002). 유아의 인기도에 따른 놀이성 및 놀이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은혜(1990). 아동연구방법. 서울: 교문사.
  38. 이혜경(2010). 만5세 유아의 놀이성 및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혜옥(1991). 놀이상황에서 나타난 인기아와 배척아간의 사회적 행동 비교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임미성, 유연옥(2010). 유아의 인기유형과 성별에 따른 마음 이해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아동교육, 19(3), 201-215.
  41. 임미혜(2005). 만 5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에 따른 또래 간 인기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임연자, 최미숙(2011).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른 리더십 및 마음이해 능력의 차이.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381-401.
  43. 전고은(2016). 역할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전희경(2007). 또래지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대처행동.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옥분(2002).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46. 천미선(2008). 유아체육 참여자의 신체적 자아개념이 신체적 능력 및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최양미, 이태섭, 김보현(2014). 또래 인기도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정서 및 도덕적 행동의 차이 연구. 유아교육연구, 34(2), 49-75.
  48. 최연철(2012). 또래관계 분석방법 비교: 또래 지명법, 또래 평정법과 사회 연결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3), 291-317.
  49. 최연철, 소라(2013). 만 3세 인기아가 또래관계에서 사용하는 언어적 요구전략.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73-96.
  50. 최은숙(2002). 유아의 정서성, 정서 조절, 또래 간 인기도와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2(1), 173-187.
  51. 최현주, 최연철(2012). 만 4세 또래관계에서 또래 인기아의 행동특성에 대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1-23.
  52. 한애숙(2004).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4(1), 65-84.
  53. 허정순(2007). 유아의 인기도에 따른 또래 유능성 및 사회적 언어 사용.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현인숙(1999). 인기아동과 배척이동의 정서지능과 행동특성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황윤세(2006).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및 교사, 유아 관계성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211-218.
  56. 황인애, 배지희(2007). 또래관계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유아들의 요구전략과 반응 양상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43-67.
  57. Asher, S. R., & Renshaw, P. D. (1981). Children without friends: Social knowledge and social skill training. In S. R. Asher and J. M. Gottman(Ed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friendship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Buzzell, C. A. (2003). Popular and rejected children's social reasoing: Linking social status and social knowledge.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3(3), 331-342. https://doi.org/10.1080/00221325.1992.10753728
  59. Coie, J. D., Dodge, K. A., & Coppotelli, H. (1982). Dimensions and types of social status: Across-age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 557-570. https://doi.org/10.1037/0012-1649.18.4.557
  60. Coie, J. D., Dodge, K. A., & Kupersmidt, J. B. (1990). Peer group behavior and social status.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pp. 119-155).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Dunn, J., & Hughes, C. (2001). "I got some swords and you're dead": Violent fantasy, antisocial behavior, friendship, and moral sensibility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72, 491-505. https://doi.org/10.1111/1467-8624.00292
  62. Hartup, W. W. (1983). Peer relation. In P. H. Muse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4th ed. vol. 4, 127-135). New York: Wiley.
  63. Howes, C. (1988).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3, 1-94.
  64. Katz, L. G., & McCellan, D. E. (1997).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s role. NAEYC Research into Practice Series.
  65. Lim, Seung Ryoul.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behavior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66. Shaffer. D. R. (2000).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4th ed.). Belmont, CA: Wadsworth / Thompson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