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의 도덕 가치관이 게이머 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세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Korean Moral Values on Fondness for Game Us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eneration

  • 투고 : 2018.04.18
  • 심사 : 2018.06.15
  • 발행 : 2018.06.28

초록

한국 정부의 게임 산업 규제는 부모 세대가 자녀의 게임 행위를 규제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것은 부모와 자녀 간에 디지털 문화 경험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도덕적 가치가 게임 사용자의 자각 또는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서 규범 순응은 게이머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또한 게이머들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또한 연령의 중재 효과가 게임 이용자에 대한 규범 순응과 게이머에 대한 인식의 관계와 관련하여 발견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의 게임 산업 진흥 정책은 목표를 모든 사람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에서부터 고 연령층에게 맞추는 것으로 전환해야한다고 제안한다.

The regulation of the game industry by the Korean govern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specific regulatory behavior from their parents' generation regarding gaming behavior of their children. This is because there exists a gap in terms of digital culture experienc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how moral values affect the awareness or perceptions of the game users. In the results, the norm conform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fondness for game users. Age was also shown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fondness for the game users. Based on these findings, we also found the mediating effect of age existed specifically with regard to the relation of norm conformity and the fondness for the game use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game industry promotion policies of Korea should change their existing targets from focusing on everyone to just the elderl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지연, 김도환, 이장주, 모상현, 장근영,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91-104, 2013.
  2. 김지연, 도영임, "부모 세대와 청소년 세대의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차이: 온라인 게임의 유해성/유익성, 영향과 가치, 부모-자녀 관계, 규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 제20권, 제3호, pp.263-280, 2014.
  3. 김민철, 부모의 디지털 게임콘텐츠 인식격차와 청소년 자녀의 행복, 강원대학교, 박사논문, 2015.
  4. 나은영, "여성의 뉴미디어 이용과 가치관,"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2호, pp.77-115, 2002.
  5. J. Haidt and C. Joseph, "Intuitive ethics: How innately prepared intuitions generate culturally variable virtues," Daedalus, Vol.133, No.4, pp.55-66, 2004. https://doi.org/10.1162/0011526042365555
  6. 강신규 외, 게임포비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7. 윤태진, 나보라, "한국 게임문화사의 재구성,"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pp.257-282, 2011.
  8. C. A. Anderson, L. Berkowitz, E. Donnerstein, L. R. Huesmann, J. D. Johnson, D. Linz, N. M. Malamuth, and E. Wartella, "The influence of media violence on youth,"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Vol.4, No.3, pp.81-110, 2003. https://doi.org/10.1111/j.1529-1006.2003.pspi_1433.x
  9. N. L. Carnagey, C. A. Anderson, and B. J. Bushman, "The effect of video game violence on physiological desensitization to real-life violenc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43, No.3, pp.489-496, 2007. https://doi.org/10.1016/j.jesp.2006.05.003
  10. P. J. Adachi and T. Willoughby, "Do video games promote positive youth development?,"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28, No.2, pp.155-165, 2013. https://doi.org/10.1177/0743558412464522
  11. K. Durkin and B. Barber, "Not so doomed: Computer game play and positive adolescent development,"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3, No.4, pp.373-392, 2002. https://doi.org/10.1016/S0193-3973(02)00124-7
  12. R. Inglehart,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13. S. J. Lee and Y. G. Chae, "Balancing participation and risks in children's internet use: The role of internet literacy and parental mediation," Cyber 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5, No.5, pp.257-262, 2012. https://doi.org/10.1089/cyber.2011.0552
  14. S. Mumtaz, "Children's enjoyment and perception of computer use in the home and the school," Computers & Education, Vol.36, No.4, pp.347-362, 2001. https://doi.org/10.1016/S0360-1315(01)00023-9
  15. 황상민, "사이버 공간의 경험에서 나타난 부모세대와 청소년 세대집단 간의 의식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3권, 제2호, pp.145-158, 2000.
  16. K. Mannheim, The problem of generations, Psychoanalytic review, Vol.57, No.3, p.378, 1970.
  17. 황윤용, 오민정, 정진철,"젊은세대와 시니어세대간 기부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경영학연구, 제42권, 제6호, pp.1715-1736, 2013.
  18. 석승혜, 장안식, "사회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아세아연구, 제59권, 제3호, pp.6-51, 2016.
  19. 김기연, 신수진, 최혜경, "한국인의 세대별 가치관과 생활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1권, 제3호, 2003.
  20. 나은영, 민경환, "한국 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기존 조사자료 재해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4권, 제1호, pp.75-93, 1998.
  21. J. Haidt, The righteous mind: Why good people are divided by politics and religion, Vintage, 2012.
  22.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1173,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3. R. Florida,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Paperback),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