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patial Planning of Elementary School in considera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창의·인성 교육을 고려한 초등학교 공간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8.02.26
  • Accepted : 2018.04.23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pace planning direction that can more effectively suppor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do thi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space creation and the space utilization of schools that operat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user satisfaction and demand for school space in term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3 design criteria were drawn for each main space in which creative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re conducted. Second, we investigated the priority and satisfaction of the space that is frequently used in the school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ird, we surveyed the types and priorities of new spaces needed to cultivate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Fourth, 14 concrete space planning directions for creating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 창의 인성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공간조성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창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의 공간조성 현황과 공간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창의 인성 교육측면에서 학교공간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및 요구도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창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는 주요 공간별 총 23가지의 구체적인 디자인 기준(Design Criteria)을 도출하였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해 교사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는 공간들의 우선순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해 새로이 필요한 공간의 종류와 우선순위로 조사하였다. 넷째,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14가지의 구체적인 공간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중(2012, 8). 창의인성교육의 바른 길 모색, 교육과학기술부 웹진 꿈나래 21, 4-6.
  2. 교육과학기술부(2010).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육성: 창의인성교육기본방안.
  3. 교육과학기술부(2012). 창의.인성모델하교 하반기성과점검 사전 워크숍 자료집, 1-25.
  4. 경기도교육청(2008). 교육시설 설계매뉴얼.
  5. 문용린(2010).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인성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6. 박경빈, 이미순, 전미란(2010). 미래사회 영재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 연구 : 현장 영재교사의 인식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0(3), 681-701.
  7. 유한구(2007).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현상과 과제: 기조강연 ;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7(5), 1-14.
  8. 조성희 외(2002). 학교시설의 색채계획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5.
  9. 조진일 외(2013). 창의 인성 교육을 고려한 공간 조성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연구보고 RR 2013-33).
  10. 최준환, 박춘성, 연경남, 민영경, 이은아, 정원선, 서지연, 차대길, 허준영, 임청묵(2009).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9(2), 89-112.
  11. 한국교육환경연구원(2012), 미래형 창의지성 학교 모델 구축 연구.
  12. 한국교육개발원(2011), 교육통계연보.
  13. http://www.schoolinfo.go.kr, 학교알리미 교육정보 공시자료(2013.4.기준).

Cited by

  1.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 vol.18, pp.4, 2018, https://doi.org/10.7743/kisee.2019.18.4.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