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State of utilization of Green School and Suggested Improvement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ase

그린스쿨 활용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2.26
  • Accepted : 2018.04.23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The aims of this research are investigating and analysing background, enforcement situation, distinct features and current status of green schools which have been conducted by the government targeting decrepit school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solution for vitalizing green schools will be sought because green schools are more effective in reducing energy and greenhouse gas and they are more appropriate methods for schools. With internal and external literature reviews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overseas green school policies 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analyz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into current status of green schools in Korea and eco-schools and super eco-schools in Japan which are benchmarking objects of green schools project in Korea the problems and outcomes of green schools in Korea are diagnosed. By analyzing cases of eco-schools and super eco-schools in Japan implications for introducing to Korea are consider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es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 for vitalizing green schools project and similar pro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노후학교를 대상으로 국가수준에서 추진했던 그린스쿨 사업의 추진배경, 추진현황 및 특징과 그린스쿨 학교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그린스쿨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며, 학교에 적합한 방식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외 문헌분석을 통해 해외 유사정책에서의 그린스쿨의 개념과 정책 추진배경 및 주요내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그린스쿨 학교와 우리나라 그린스쿨 사업의 벤치마킹 대상이었던 일본 에코스쿨 및 수퍼 에코스쿨 학교의 실태를 조사하여 국내 그린스쿨의 문제점 및 성과를 진단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그린스쿨 사업의 문제점을 정책적 측면, 운영적(유지관리, 활용) 측면에서 진단하고, 향후 학교시설의 에너지 효율화 및 친환경화를 위한 정책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 그린스쿨(Green School) 사업을 위한 대통령 업무보고, 2008.12.27.
  2.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 그린스쿨(Green School) 사업 추진계획(안), 2009.
  3.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초.중등학교 그린스쿨 사업 내실화 방안, 2011.10.05.
  4. 김민경, 신동홍, 에너지 성능 향상을 위한 학교건물 개보수 정책 추진 체계 개선방안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3권, 제3호, 2012.
  5. 박기현, 국공립 학교건물 Retrofit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6. 서울특별시교육청, 생태학교 및 에너지 학교 조성 지침, 2002.
  7. 이향연, 그린스쿨과 비그린스쿨 학생들의 에너지-온실가스 환경소양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6호, 2016.
  8. 전라북도교육청, 2009년도 녹색학교 조성사업 시행지침, 2009.
  9.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통계 핸드북, 2016.
  10. 허성주, 이선영, 환경교육 매체 개념을 적용한 환경친화적 초등학교 시설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1. 文部省, 環境を考慮した學校施設 (エコスク一ル) の整備について(平成 8年 3月), 1996.
  12. 인도네시아 그린스쿨 발리 웹사이트, https://www.greenschool.org
  13. 학교알리미 웹사이트, http://www.schoolinfo.go.kr
  14. Ontario school boards(2010), Green schools; Resource guide.

Cited by

  1. 수직정원을 활용한 초등학교 식물교육프로그램 운영 효과 분석 vol.23, pp.5, 2018, https://doi.org/10.13087/kosert.2020.23.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