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파괴 분석을 이용한 화강암류 석조 문화재의 부재특성과 산지추정: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과 천수사 오층석탑을 중심으로

Non-destructive Analysis of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of Granite Monuments: The Cases of Stupa for National Preceptor Wongong at Geodonsa Temple and Five-story Pagoda at Cheonsusa Temple

  • 김용휘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최선규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서지은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 강정극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이종현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조연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Kim, Yonghwi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 Choi, Seongyu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 Seo, Jieun (Department of Geology, School of Earth System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ng, Jeonggeuk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 Lee, Jonghyun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 Jo, Yeontae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투고 : 2018.03.05
  • 심사 : 2018.05.04
  • 발행 : 2018.05.31

초록

국내의 석조문화재는 대부분 화강암류가 부재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화강암류 부재는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석조문화재의 원산지 추정을 위하여 강원지역의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과 천수사 오층석탑을 중심으로 산상, 물성, 광물상 및 화학조성 자료를 종합적으로 적용하였으며, 석조문화재의 소재지와 인접한 지역인 원주 화강암 특성과 비교하였다.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은 단일 부재의 복운모 화강암으로 구분되었으며, 천수사 오층석탑은 복운모 화강암과 흑운모 화강암 두 부재로 구분된다. 해당 석조문화재의 산상 및 자화강도는 원주 화강암 특성과 전반적으로 일치하며, 향후 석조문화재의 복원 과정에서 유사한 부재 선택은 소재지와 인접한 화강암체의 현지 조사를 병행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Most stone monuments in Korea are made from the granitoids found extensively throughout the nation. To identify the provenance of the stone materials, this study carried out comprehensive analyses of the occurrence, physical properties, minera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tupa for National Preceptor Wongong at Geodonsa Temple and Five-story Pagoda at Cheonsusa Temple, both located in the Gangwon region. Their featur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granite from Wonju City near the sites of the two monuments. Stupa for National Preceptor Wongong is composed purely of two-mica granite, whereas Five-story Pagoda was made from both two-mica and biotite granites. The occurrence and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two granite monuments generally coincide with those of granite from Wonju. When selecting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stone monuments, it is deemed necessary to carry out a field survey on granite in areas adjacent to the locations of the stone monuments subject to resto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태섭, 한국석재도감, p1-35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대전, (2007).
  2. Clark, D.A. and Emerson, D.W. Notes on Rock Magnetization Characteristics in Applied Geophysical Studies, Exploration Geophysics 22, p547-555, (1991). https://doi.org/10.1071/EG991547
  3. Tarling, D.H. and Hrouda, F. The Magnetic Anisotropy of Rock, p1-217, Chapman & Hall, London, (1993).
  4. 김창성, 김용휘, 최선규, 고광범, 한경수, 단파장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광물동정과 현장적용성, 자원환경지질학회지 50, p1-14, (2017).
  5. 최위찬, 김규봉, 홍승호, 이병주, 황재하, 박기화, 황상기, 최범영, 송교영, 진명식, 한국 지질도(1:1,000,000), 한국자원연구소, 대전, (1995).
  6. 박병권, 장호원, 우영균, 원주도폭 지질보고서(1:50,000), p1-19, 한국동력자원연구소, 대전, (1989).
  7. 지정만, 윤선, 이창진, 문막도폭 지질보고서(1:50,000), p1-17, 한국동력자원연구소, 대전, (1989).
  8. 김용준, 김정빈, 박재봉, 호남전단대내에 분포하는 엽리상화강암류의 암석화학과 성인, 지질학회지 27, p52-63, (1991).
  9. 진명식, 신홍자, 권석기, 한반도의 화성암과 화성활동, p1-3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대전, (2005).
  10. 조등룡, 권성택, 남한의 중생대 화강암에 대한 각섬석 지압계와 지각 두께의 진화, 지질학회지 30, p41-61, (1994).
  11. 홍세선, 각섬석 지압계를 이용한 영남육괴 내 화강암의 정치심도와 그 의미, 한국암석학회지 10, p36-55, (2001).
  12. Jin, M.S., Lee, Y.S., Ishihara, S., Granitoids and Their Magnetic Susceptibility in South Korea, Resource Geology 51, p189-203, (2001). https://doi.org/10.1111/j.1751-3928.2001.tb00091.x
  13. Uchida, E., Choi S.G., Baba, D., Wakisaka, Y., Petrogenesis and Solidification Depth of the Jurassic Daebo and Cretaceous Bulguksa Granitic Rocks in South Korea, Resource Geology 62, p281-295, (2012). https://doi.org/10.1111/j.1751-3928.2012.00195.x
  14. Ishihara, S., The Inner Zone batholith vs. the Outer Zone batholith of Japan: Evaluation from their magnetic susceptibility, Nature and Culture 2, p21-34,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