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의 보존과학적 연구

Study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Stele for National Preceptor Hongbeop from the Jeongtosa Temple Site in Chungju

  • 채우민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 황현성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 Chae, Woomin (Architec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wang, Hyunsung (Curatorial Affairs Division, National Museum of Buyeo)
  • 투고 : 2018.03.08
  • 심사 : 2018.05.04
  • 발행 : 2018.05.31

초록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본관1960)는 고려시대의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석조문화재이다. 홍법국사탑비는 일제강점기에 수차례 반복된 부재의 해체 및 이동과 동시에 장기간 야외에 노출되어 풍화가 진행된 상태였기 때문에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주관하는 석조물복원사업의 일부 대상인 홍법국사탑비의 야외 전시를 위해 재질특성을 규명하고 풍화훼손지도 및 초음파 물성진단을 활용한 손상도 진단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재질분석 결과, 탑비의 귀부는 중립질 입자크기를 가지는 석영, 사장석, 알칼리장석, 흑운모, 백운모를 구성광물로 가지는 복운모 화강암이다. 탑비의 비신은 담홍색을 띠며 암회색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중립질의 방해석을 조암광물로 가지는 결정질 대리암이다. 이수는 회백색으로 중립질의 방해석을 주요 구성광물로 가지는 결정질 대리암이다. 탑비에서 나타나는 각각의 훼손유형별 점유율 산출 결과 비신에서는 마모로 인한 훼손이 28.29%로 남측면이 가장 높으며, 이수에서는 입상분해로 인한 훼손이 11.08%로 북측면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물성진단을 통해 탑비의 전체적인 풍화도를 파악한 결과 귀부에서는 결구부를 중심으로, 비신에서는 상단부에서 낮은 값을 보였으며, 이는 표면 가공도의 차이와 부분적인 박리 및 균열로 인해 변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홍법국사탑비의 야외 전시에 앞서 과학적 조사를 바탕으로 외부환경에 의한 풍화를 억제하고자 표면 오염물제거와 표면 강화처리를 진행하였다.

The Stele for National Preceptor Hongbeop from the Jeongtosa Temple site in Chungju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one cultural heritage items for exemplifying the style of the Goryeo era. Despite its obvious value, this relic has been stored in a weathered condi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t had suffered various dismantling and displacem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d long been exposed in the open air. The stele was selected as a subject for the Stone Monuments Restoration Project launch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15. In preparation for its outdoor exhibition as part of the restoration proj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its materials, produced a map of its deterioration from weathering, and carried out ultrasonic analysis of the materials to provide findings useful for conservation treatment. The materials analysis revealed that the turtle-shaped pedestal of the stele was made from two-mica granite consisting of medium-grained quartz, plagioclase, alkali feldspar, biotite, and muscovite. Its body stone is crystalline marble, the rock-forming mineral in which is medium-grained calcite in a rose-pink color with dark grey spots. The dragon top of the stele is made of crystalline marble, the major component of which is medium-grained calcite of a light-grey color. The deterioration consists of 21.5% abrasion on the stone body, with its south face most damaged, and 18.6% granular disintegration, with the north face most damaged. The ultrasonic material characterization conducted for mapping the general condition of weathering shows low values on the parts-assembly area of the turtle-shaped pedestal a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ne body.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dislocation due to partial blistering and fracturing as well as to the differences in surface treatment. Prior to the outdoor exhibition of the stele, the surface was cleaned of contaminants and was consolidated based on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in order to prevent weathering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양희정.황현성, 忠州 淨土寺 弘法國師 實相塔과 塔碑의 移轉 建立 經過와 相輪部 部材의 保存科學的 調査, 美術資料 제90호, p143, (2016).
  2. 김송이, 고려시대 탑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8, (2005).
  3. 이순자,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사업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15, (2007).
  4. 김기환, 박봉순, 이홍규, 제천 지질도폭 설명서, p7, 국립지질조사소, 대전, (1967).
  5. 김기환, 박봉순, 이홍규, 제천 지질도폭 설명서, p8, 국립지질조사소, 대전, (1967).
  6. 김기환, 박봉순, 이홍규, 제천 지질도폭 설명서, p10, 국립지질조사소, 대전, (1967).
  7. Sharma, P.V, Geophysical methods in geology, in Methods in geochemistry and geophysics, Elsevier, vol.12, p428, (1976).
  8. Ishihara, S, Granitoid series and mineralization in the circum-pacific Phanerozoic granite belts, Resource Geology, vol.48, p219-224, (1998). https://doi.org/10.1111/j.1751-3928.1998.tb00019.x
  9. 국립문화재연구소, 비파괴 기술을 활용한 석조문화재 보존관리, p23, 대전, (2014).
  10. 조연태, 풍화된 석재문화재의 강화제 처리 후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7,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