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형 옹관의 보존처리 과정과 이를 활용한 개방형 수장고의 운용

Use of Visible Storage for Display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a Large-sized Jar Coffin

  • 곽은경 (국립나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 이혜진 (국립나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 유소현 (국립나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Kwak, Eungyung (Curatorial Affairs Division, Naju National Museum) ;
  • Lee, Hyejin (Curatorial Affairs Division, Naju National Museum) ;
  • Yu, Sohyun (Curatorial Affairs Division, Naju National Museum)
  • 투고 : 2018.03.09
  • 심사 : 2018.05.04
  • 발행 : 2018.05.31

초록

이 논문은 국립나주박물관에서 진행했던 대형 옹관의 복원과 활용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처리 대상 소장품은 나주 복암리 3호분에서 출토된 것으로, 높이 194cm, 구연부 지름 108cm의 중량급 옹관이다. 복원 전에는 약 40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상태였고, 복원 기간 동안 유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용 지지대를 제작했다. 복원 기간은 2018년 2월 5일부터 2월 27일까지 약 3주 간 보이는 옹관 수장고에서 진행했다. 이 기간 중 약 2주 동안 진행 과정을 관람객이 직접 볼 수 있도록 상설전시의 하나로 공개했다. 이를 통해 일반 관람객에게 '옹관'이라는 대형 유물과 이를 복원하는 작업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유발하고자 했다. 또한 보존과학 업무홍보에 대한 국외사례를 조사하여, 보존과학센터 설립과 맞물린 홍보 방안을 고민해 보았다.

This paper describes the restoration and display of a large jar coffin at the Naju National Museum. Excavated from Tomb No. 3 at Bokam-ri, Naju, the large jar is 194 cm in height and its rim diameter is 108 cm. The jar had been broken into approximately forty fragments prior to its restoration, and a supporting structure was install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elic during the restoration process. The restoration was conducted inside a visible storage for large jar coffins for approximately three weeks from February 5 to February 27, 2018. Over two weeks during this period, the restoration efforts inside the storage were visible to the public in the permanent exhibition space so that visitors could observe the process in person. This was planned to help visitors understand and arouse their interest in large-sized relics such as jar coffins and the restoration proces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practices of overseas institutions in order to suggest plans for raising public awareness of conservation treatment at conservation science cent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민속박물관, 개방형 수장고 및 정보센터 건립 기본계획 연구, p3-19,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2014).
  2. 도경민.정윤희, 뮤지엄의 개방형수장고 해외사례 연구, 박물관학보 33, p226-235, (2017).
  3. British Museum, 'I feel included' An Evaluation of Conservation in Focus in Room 3 at the British Museum, p8-9, Morris Hargreaves McIntyre, Manchester UK, (2008).
  4. 김서영, 영국 월레스 컬렉션의 상설 보존 전시관 운영을 통해 본 보존과 일반 대중과의 교류, 보존과학연구 32, p185-193,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