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교시설 현황분석을 통한 에너지절약설계 개선방향 연구

A Study on Design for Energy-saving Based on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in School Facilities

  • 맹준호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김성중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이승민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 고현수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투고 : 2018.10.29
  • 심사 : 2018.12.21
  • 발행 : 2018.12.31

초록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 생태계의 변화와 에너지 및 자원고갈 등 전 지구적 대응노력이 절실한 상황에서 정부에서는 탈원전 정책 등 적극적인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공공건물 중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학교시설은 학생수가 감소하는 반면 학교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에너지사용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의 설계현황을 분석하여 에너지절약설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We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energy-saving design based on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in school facilities. School facilities have large area among public buildings. While the number of students is decreasing, the number of school and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ing year after year. School facilities have excellent heat insulation property, but it requires further examination about excessive heat insulation plan. School facilities are using gas heat pump actively for cooling and heating, but has difference in use ratio of ground source heat pump by region. Thus School facilities requires active using of ground source heat pump and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키워드

HKKOAH_2018_v17n3_1_f0002.png 이미지

그림1. 건물용도별 에너지사용량 현황

HKKOAH_2018_v17n3_1_f0003.png 이미지

그림2. 연도별 학교시설 전기사용량

HKKOAH_2018_v17n3_1_f0004.png 이미지

그림3. 부위별 평균열관류율

HKKOAH_2018_v17n3_1_f0005.png 이미지

그림4. 외피면적 대비 창면적 비율

HKKOAH_2018_v17n3_1_f0006.png 이미지

그림5. 학교급별 냉∙난방설비

HKKOAH_2018_v17n3_1_f0007.png 이미지

그림6. 학교급별 급탕설비

HKKOAH_2018_v17n3_1_f0008.png 이미지

그림7. 냉난방공간의 평균조명밀도

HKKOAH_2018_v17n3_1_f0009.png 이미지

그림8. 학교급별 태양광 설치 면적

HKKOAH_2018_v17n3_1_f0010.png 이미지

그림9. 지역별 지열이용시설의 냉방∙난방 담당

HKKOAH_2018_v17n3_1_f0011.png 이미지

그림10. 학교급별 1차 에너지 소요량

표1.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등급

HKKOAH_2018_v17n3_1_t0001.png 이미지

표2. 초, 중, 고등학교의 교실 용도프로필

HKKOAH_2018_v17n3_1_t0002.png 이미지

표3. 에너지절약설계기준

HKKOAH_2018_v17n3_1_t0003.png 이미지

표4. 에너지성능지표 점수획득 현황

HKKOAH_2018_v17n3_1_t0004.png 이미지

표5.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대상

HKKOAH_2018_v17n3_1_t0005.png 이미지

표6.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학교급별 인증현황

HKKOAH_2018_v17n3_1_t0006.png 이미지

참고문헌

  1. 계보경 외 2인, 미래학교 디자인 가이드라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2. 박재완 외 3인, 고등학교의 Zero Energy School 구현을 위한 기술 요소별 에너지 시뮬레이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0.11, pp.260-265
  3. 윤종호 외 4인, 전국 고등학교 시설의 에너지 사용실태 분석 연구, 태양에너지학회, 2010.8, pp.55-62
  4. 윤종호 외 4인, 전국 중학교 시설의 에너지 사용실태 분석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0.08, pp. 45-50
  5. 김효중 외 4인, 전국 초등학교 교육시설의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실태 분석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0.4, pp.55-60
  6. 윤종호 외 4인, 제로에너지 스쿨을 위한 초등 교육시설의 에너지 성능평가,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4, pp.121-126
  7. 김강식 외 3인, 고등학교 시설의 에너지 소비량특성에 관한 사례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1.10, pp.99-104. https://doi.org/10.7836/kses.2011.31.5.099
  8. 조진일 외 4인, 제로에너지.생태학교 모형 개발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2009, p.174

피인용 문헌

  1. 교육시설의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사례분석을 통한 에너지자립률 평가 vol.18, pp.4, 2018, https://doi.org/10.7743/kisee.2019.18.4.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