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eollik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철릭 고찰

  • Kim, Myung-Ja (Major of Traditional Clothing,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Konkuk University) ;
  • Lee, So-Young (Dept. of Apparel Design, Konkuk University)
  • 김명자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전통복식전공) ;
  • 이소영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09.18
  • Accepted : 2018.12.21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Cheollik based on 288 records about it at the homepage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Internet. Cheollik was called in diverse names and worn by various social classes from kings to common people, but it was solidified as clothes for military officers toward the latter half of Joseon. Not only did it serve the purpose of clothes, but it also was used for a royal grant, diplomacy, shrouding a corpse, and royal coffin. It served the diplomatic purposes a lot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and King Seongjong. Cheollik was usually made of cotton, hemp, silk, and mixed fabric with silk used most. Its major colors include white, green, red, blue, black, purple, grey, and yellow with white used most. The fabrics and colors of Cheollik became simplified toward the latter half of Joseon. Silk was most used in Cheollik for a royal grant, shrouding a corpse, and royal coffin. White was most used in Cheollik for kings' visit to royal tombs or their participation in ancestral rites. There were limitations with the selection of materials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and situations. It was stipulated that only Sa and Ju were used to make Cheollik for Dangsangguan and Danghaguan. Cheollik made of silk was banned for country residents and merchants. The color of Cheollik for Danghaguan was changed to blue and then red. Of military officers, only those who had a Gonsu title or higher were allowed to wear Cheollik made of silk in various colors. In the end, Cheollik was abolished for its low convenience and efficiency during the rule of King Gojong.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제. (1981). 帖裏小考. 성심여자대학교 논문집, 12, 177.
  2. 김명자. (2015). 조선시대 17세기 철릭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금종숙. (2003). 조선시대 철릭의 형태 및 바느질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금종숙. (2011). 朝鮮時代 帖裏.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아람, 박윤미. (2015). 조선왕조실록 표장직물에 관한 고찰. 아시아민족조형학보 15, 5-20.
  6. 김인숙. (1977). 深衣考. 복식 1, 101-117.
  7. 김지혜. (2007). 철릭의 디자인 현대화에 관한연구.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진홍. (2010). 麗末鮮初 腰線帖裏의 구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찬주. (1980). 철릭에 關한 服飾史的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현정. (2007). 심의와 철릭을 활용한 나이트가운 개발에 관한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지혜. (2002). 조선시대 광주.전남지역 출토철릭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2. 서지혜, 안명숙. (2001). 조선 초.중기 홑철릭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4(4), 23-34.
  13. 소황옥, 양승옥. (2001). 패션 한복의 디자인을 위한 철릭의 비교 연구. 한복문화, 4(4), 76.
  14. 溫楊民俗博物館. (1989). 安東金氏 墳墓發掘 調査 報告書.
  15. 양승옥. (2001). 패션 한복의 디자인을 위한 철릭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16. 양주동. (1955). 麗謠箋注. 서울: 을유문화사, 333.
  17. 榮州市編. (1998). 判決事 金欽祖先生 合葬墓 發掘調査 報告書.
  18. 유송옥. (1991).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서울: 수학사, 154.
  19. 이순자. (2001). 帖裏에 관한 再考論. 복식문화연구, 9(2), 207-222.
  20. 이은주. (1988). 철릭의 명칭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2(3), 363-371.
  21. 장인우. (1997). 조선시대 첩리의 명칭과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1). 389-399.
  22. 장인우. (2001).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봉제 구성. 복식, 51(1), 33-48.
  23. 장인우. (2002). 조선전기 솜텰릭(帖裏) 구성에 대하여. 복식, 52(8), 109-122.
  24. 정혜경. (2000). 조선시대 철릭과 남자 포류와의 상호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4(2), 229.
  25. 최은수. (2003). 변수(邊修:1447-1524)묘 출토 요선철릭에 관한 연구. 복식. 53(4), 163-176.
  26. 최진경. (2003). 조선시대 철릭의 조형성을 응용한 현대 의상디자인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http://sillok.history.go.kr/
  28. 고종실록 20권. 고종 20년(1883) 1월 28일 경술.
  29. 고종실록 27권. 고종 27년(1890) 10월 7일 계묘.
  30. 광해군일기 정초본 119권. 광해 9년(1617) 9월 26일 무자.
  31. 광해군일기중초본 176권. 광해14년(1622) 4월23일 무자.
  32. 단종실록 2권. 단종 즉위년(1452) 8월22일 임오.
  33. 단종실록 3권. 단종 즉위년(1452) 윤 9월 17일 병자.
  34. 단종실록 6권. 단종 1년(1453) 5월19일 을해.
  35. 단종실록 14권. 단종 3년(1455) 4월22일 정유.
  36. 단종실록 14권. 단종 3년(1455) 5월 20일 갑자.
  37. 명종실록 15권. 명종 8년(1553) 10월 23일 병신.
  38. 명종실록 31권. 명종 20년(1565) 1월 13일 신해.
  39. 선조실록 38권. 선조 26년(1593) 5월 2일 을묘.
  40. 선조실록 38권. 선조 26년(1593) 5월 29일 임오.
  41. 선조실록 64권. 선조 28년(1595) 6월 11일 임자.
  42. 선조실록 71권. 선조 29년(1596) 1월 30일 정유.
  43. 선조실록 108권. 선조 32년(1599) 1월 28일 기유.
  44. 선조실록 126권. 선조 33년(1600) 6월28일 기해.
  45. 성종실록 13권. 성종 2년(1471) 12월 5일, 임신.
  46. 성종실록 14권. 성종 3년(1472) 1월 22일 기미.
  47. 성종실록 46권. 성종 5년(1474) 8월 19일 신축.
  48. 성종실록 50권. 성종 5년(1474) 12월 19일 경자.
  49. 성종실록 105권. 성종 10년(1479) 6월 20일 을사.
  50. 성종실록 112권. 성종 10년(1479) 12월20일 신미.
  51. 성종실록 120권. 성종 11년(1480) 8월 5일 임자.
  52. 성종실록 129권. 성종 12년(1481) 5월 16일 경인.
  53. 성종실록 132권. 성종 12년(1481) 8월 10일 임자.
  54. 성종실록 152권. 성종 14년(1483) 3월 12일 갑진.
  55. 성종실록 156권. 성종 14년(1483) 7월 2일 임진.
  56. 성종실록 156권. 성종 14년(1483) 7월16일 병오.
  57. 성종실록 156권. 성종 14년(1483) 7월 30일 경신.
  58. 성종실록 217권. 성종 19년(1488) 6월 2일 갑오.
  59. 세조실록 1권. 세조 1년(1455) 7월 7일 경진.
  60. 세조실록 4권. 세조 2년(1456) 7월 19일 병술.
  61. 세조실록 7권. 세조 3년(1457) 4월 13일 병오.
  62. 세조실록 15권. 세조 5년(1459) 3월 10일 임진.
  63. 세조실록 15권. 세조 5년(1459) 3월 15일 정유.
  64. 세조실록 15권. 세조 5년(1459) 3월 25일 정미.
  65. 세조실록 16권. 세조 5년(1459) 4월 8일 기미.
  66. 세조실록 16권. 세조 5년(1459) 5월 6일 정해.
  67. 세조실록 18권. 세조 5년(1459) 11월 12일 경인.
  68. 세조실록 19권. 세조 6년(1460) 3월 2일 기묘.
  69. 세조실록 19권. 세조 6년(1460) 3월 9일 병술.
  70. 세조실록 19권. 세조 6년(1460) 3월 10일 정해.
  71. 세조실록 33권. 세조 10년(1464) 5월 18일 경오.
  72. 세조실록 36권. 세조 11년(1465) 6월 28일 갑진.
  73. 세조실록 45권. 세조 14년(1468) 2월 26일 정사.
  74. 세조실록 46권. 세조 14년(1468) 4월 9일 무술.
  75. 세조실록 46권. 세조 14년(1468) 4월 21일 경술.
  76. 세조실록 46권. 세조 14년(1468) 5월 19일 무인.
  77. 세조실록 47권. 세조 14년(1468) 7월 1일 무오.
  78. 세조실록 47권. 세조 14년(1468) 7월 8일 을축.
  79. 세종실록 25권. 세종 6년(1424) 8월 16일 무오.
  80. 세종실록 28권. 세종 7년(1425) 4월 1일 경자.
  81. 세종실록 103권. 세종 26년(1444) 3월 26일 병자.
  82. 세종실록 123권. 세종 31년(1449) 1월 25일 병오.
  83. 세종실록 134권. (1454). 오례, 흉례의식.
  84. 숙종실록 5권. 숙종 2년(1676) 2월 8일 경신.
  85. 순조실록 34권. 순조 34년(1834) 4월 29일 갑자.
  86. 순조실록 34권. 순조 34년(1834) 5월 16일 경진.
  87. 순조실록 34권. 순조 34년(1834) 11월 15일 병자.
  88. 순종실록부록 17권. 순종 19년(1926) 4월 27일 양력.
  89. 연산군일기 21권. 연산 3년(1497) 1월28일 경오.
  90. 연산군일기 34권. 연산 5년(1499) 7월 20일 무인.
  91. 연산군일기 35권. 연산 5년(1499) 12월4일 무자.
  92. 연산군일기 52권. 연산 10년(1504) 2월 19일 신해.
  93. 연산군일기 55권. 연산 10년(1504) 8월 20일 정축.
  94. 연산군일기 57권. 연산 11년(1505) 4월 10일 을축.
  95. 연산군일기 58권. 연산 11년(1505) 6월 25일 무인.
  96. 연산군일기 61권. 연산 12년(1506) 2월 23일 계유.
  97. 연산군일기 62권. 연산 12년(1506) 4월 13일 임술.
  98. 영조실록 4권. 영조 1년(1725) 3월 20일 무오.
  99. 영조실록 10권. 영조 2년(1726) 10월 8일 병인.
  100. 영조실록 11권. 영조 3년(1727) 3월19일,1727
  101. 영조실록 21권. 영조 5년(1729) 3월 4일 무신.
  102. 영조실록 30권. 영조 7년(1731) 7월 18일 기묘.
  103. 영조실록 30권. 영조 7년(1731) 8월 16일 병오.
  104. 영조실록 57권. 영조 19년(1743) 3월 14일 무진.
  105. 영조실록 71권. 영조 26년(1750) 3월 23일 병인.
  106. 영조실록 71권. 영조 26년(1750) 6월 5일 병자.
  107. 영조실록 75권. 영조 28년(1752) 2월 8일 경자.
  108. 영조실록 76권. 영조 28년(1752) 5월12일 임신.
  109. 영조실록 127권. 영조 52년(1776) 3월 9일 경진.
  110. 영조실록 부록. 영조대왕행장(1776).
  111. 인조실록 46권. 인조 23년(1645) 5월 7일 무자.
  112. 인조실록 46권. 인조 23년(1645) 5월 11일 임진.
  113. 정조실록 23권. 정조 11년(1787) 1월2일 신미.
  114. 정조실록 28권. 정조 13년(1789) 10월 7일 기미.
  115. 정조실록 34권. 정조 16년(1792) 1월22일 임진.
  116. 정조실록 35권. 정조 16년(1792) 8월3일 기사.
  117. 정조실록 38권. 정조 17년(1793) 9월 25일 을묘.
  118. 정조실록 38권. 정조 17년(1793) 10월 8일 무진.
  119. 정조실록 38권. 정조 17년(1793) 10월 11일 신미.
  120. 정조실록 54권. 정조 24년(1800) 7월 3일 계미.
  121. 중종실록 31권. 중종 13년(1518) 1월 18일 무오.
  122. 중종실록 60권. 중종 23년(1528) 2월 3일 을사.
  123. 중종실록 90권. 중종 34년(1539) 4월 25일 임술.
  124. 헌종실록 9권. 헌종 8년(1842) 9월 5일 경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