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mantic Analysis of Joseon Dancheong - related Terms in Literature Records

문헌에 기록된 조선시대 단청의 종류 관련 용어에 대한 고찰

  • Received : 2018.10.15
  • Accepted : 2018.12.28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When identifying the danch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a great number of the terms used [e.g., dancheong(丹靑), geumbyeok(金碧), danhwak(丹?), danbyeok(丹碧), dannok(丹綠), danchil(丹漆), hyuchil(?漆), hyudong(??), etc.] are found in literature records. However, the details are still veil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dancheong-related terms by analyzing their usages and contents based on literature records from the Joseon period. Architecturally, geumbyeok, danbyeok and dannok were used in temples, and dancheong was painted on walls. In the royal palace, danhwak was adopted while dancheong was also painted on these walls as well. Specifically, danchil was applied to the columns inside and outside buildings while hyudong was painted on rafter, walls and roof tiles. In addition, hyuchil wa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royal palace.

Keywords

KCOSB1_2018_v27n6_1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단청(丹靑)을 한 것으로 기록된 희정당 양관

KCOSB1_2018_v27n6_19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오쓰 별원(大津別院)의 에도시대(江戸, 1603-1867) 금벽장벽화 (金碧障壁画),

KCOSB1_2018_v27n6_19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돈황158굴 동벽남측 벽화. (중당기中唐期, 767-835),

KCOSB1_2018_v27n6_19_f0004.png 이미지

그림 4. 단확(丹雘)을 한 것으로 기록된 동묘정전

KCOSB1_2018_v27n6_19_f0005.png 이미지

그림 5. 단벽(丹碧)을 한 것으로 기록된 부벽루의 단청(북한, 국보급 제17호)

KCOSB1_2018_v27n6_19_f0006.png 이미지

그림 6. 단칠을 한 것으로 기록된 중국 심양고궁 보광전

표 1. 단청(丹靑) 관련 문헌 기록

KCOSB1_2018_v27n6_19_t0001.png 이미지

표 2. 금벽(金碧) 관련 문헌 기록

KCOSB1_2018_v27n6_19_t0002.png 이미지

표 3. 단확(丹雘) 관련 문헌 기록

KCOSB1_2018_v27n6_19_t0003.png 이미지

표 4. 단벽(丹碧)관련 용어의 문헌 기록

KCOSB1_2018_v27n6_19_t0004.png 이미지

표 5. 丹綠(단록)관련 용어의 문헌 기록

KCOSB1_2018_v27n6_19_t0005.png 이미지

표 6. 단칠(丹漆) 관련 용어의 문헌 기록

KCOSB1_2018_v27n6_19_t0006.png 이미지

표 7. 휴동(髹彤) 관련 용어의 문헌 기록

KCOSB1_2018_v27n6_19_t0007.png 이미지

표 8. 휴칠(髹漆) 관련 용어의 문헌 기록

KCOSB1_2018_v27n6_19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般若經八千頌
  2. [周] 禮記.月令
  3. [先秦] 庄周, 庄子.外物
  4. [晋] 張華, 勵志詩
  5. [東晉] 葛洪, 抱朴子.守塉
  6. [東漢] 班固, 漢書, 司馬相如傳, 漢書卷九十七 外戚傳下. 孝成趙皇后傳
  7. [漢] 蒿里
  8. [漢] 王充, 論衡.亂龍
  9. [唐] 沈亞之, 移佛記卷六
  10. [唐] 柳宗元, 游黄溪記
  11. [唐] 科摭言第([五代] 王定保 著)
  12. [唐] 房玄齡 等, 晋書.顧恺之傳
  13. [五代] 王定保, 唐摭言.統序科第
  14. [宋] 陆游, 桃源憶故人.應灵道中
  15. [宋] 思故山賦
  16. [宋] 畢沅, 續資治通鑒(宋孝宗淳熙七年)
  17. [宋] 曾鞏, 洪州東門記
  18. [宋] 魏秀仁, 花月痕 第五回
  19. [南朝] 何晏, 文選 卷11, 景福殿賦
  20. [南朝, 宋] 范晔, 后漢書.祭祀志上
  21. [南朝] 梁 劉勰, 文心雕龍.情采
  22. [清] 陳夢雷, 木癭瓢賦
  23. [清] 唐甄, 潛書.非文
  24. [清] 王晫, 今世說.寵礼
  25. 김상헌, 청음집, 1671
  26. 김석주, 식암선생유고, 청금도사계, 17권, 1658
  27. 김정희, 완당전집, 10권 5책, 제7권, 9권, 1867
  28. 김종직, 점필재집, 이준록, 2권1책, 1497
  29. 김창협, 농암집(송혁기 역), 한국고전번역원, 2016
  30. 김홍남, 중국고대회화의 탄생, 중국고대회화의 탄생과 전개, 국립중앙박물관, 2008
  31. 經國大典, 工典, 1485
  32. 景慕宮儀軌, 卷之一, 圖說, 1783
  33. 慶運宮重建都監儀軌, 禀目, 後, 1906
  34. 경향신문, 2018년 11월1일 기사
  35. 구봉령, 백담집4권, 1645
  36. 구욱희, 17세기 이후 궁궐단청기법의 재현을 위한 시험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7. 구욱희, 조선시대궁궐 편액 복판의 단청기법연구, 건축역사연구, 제26권, 6호, 2017
  38.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행록선집Ⅷ, 한국학술정보, 1976
  39. 남계집, 17세기
  40.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한국한자어사전, 1996
  41. 노경임, 경암집1권, 1784
  42. 노사신 등, 동국여지승람 제1권, 京都上, 제10권, 1486
  43. 문화재관리국, 문화재보수기술교재, 문화재관리국, 1977, 1978, 1980
  44. 문화재관리국, 문화재표준시방서, 문화재관리국, 1974
  45. 문화재청, 문화재표준시방서, 문화재청, 2014
  46. 배용길, 금역당집 5권, 1855
  47. 사직서의궤 권1, 祭器圖說, 1783
  48. 서긍, 선화봉사고려도경 제28권, 공장1, 1123
  49. 서영보, 죽석관유집, 조선후기
  50. 서거정 등 23인, 동문선, 1478년, 한국고전종합DB에서 동문선 번역본, 18권, 66권, 78권, 82권
  51. 승정원일기, 한국고전종합DB
  52. 新華辭書社, 新華字典제10판, 人民教育出版社(北京), 2010
  53. 신위, 경수당전고, 19세기 초
  5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55. 이기영, 불전해설, 한국불교연구원, 1978
  56.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60권 60책, 元史.世祖本紀, 19세기
  57. 이두, 揚州畵舫錄 권17, 工段營造錄, 18세기
  58. 이승소, 삼탄집 제1권, 1514
  59. 이의봉, 북원록 제2권, 1760
  60. 이재창, 불교경전개설,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1982
  61. 이창진, 기본광물.암석용어집, 한국학술정보, 2010
  62. 이익, 성호전집 제53권, 백봉서원 중수기 1744
  63. 이은희, 고려시대 단청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4. 이해응, 계산기정1-5권, 1804
  65. 일연, 삼국유사, 황룡사9층탑 조, 13세기
  66. 임영주. 전한효, 문양으로 읽어보는 우리나라의 단청, 태학원, 2007
  67. 안정복, 동사강목 제14상, 1778
  68. 遇見眞, 發現美, 藝術百科
  69. 예용해,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 81호, 문화재관리국, 1970
  70. 조엄, 해사일기, 1763
  71.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8
  72. 張起仁.韓奭成, 韓國建築大系III, 丹靑, 普成閣, 1998
  73. 정도전, 삼봉집 제4권, 1397
  74. 정약용, 수색집2권, 1658
  75. 조선왕조실록, 한국고전종합DB
  76. 최석정, 명곡집9권, 1721
  77. 허균, 신편 국역 성소부부고(민족문화추진회 역), 제16권, 한국학술정보, 2006
  7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79. 漢語詞典
  80. 한창균, 북한고고학 미술사 용어집, 백산자료원, 1996
  81. 田久保, 實太郎; 滑川, 眞吉, 朝鮮丹綠鑛山地域の稀元素鑛物に就て, 京都大學, 1944
  82. 澤口 悟一, 日本漆工の硏究, 美術出版社, 1966.
  83. 東京文化財硏究所, 敦煌石窟 7, 文化出版局, 2001.
  84. デジタル大辭泉 (小學館)
  85. 窪寺茂, 伝統的な 塗料の 再認識, 建築文化財における塗裝材料の調査と修理, 東京文化財硏究所, 2012.
  86. 京都新聞社, 2018년 5월14일자 기사.
  87. http://www.travelchina.gov.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