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ype and Correlation of Double Stylobate Arrangement in Three-story Stone Pagoda in Youngnam Area

영남지역 삼층석탑의 이중기단 배열 유형 및 상관성 연구

  • Received : 2018.08.15
  • Accepted : 2018.12.10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ouble stylobate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in Yeongnam region and to divide the types of arrangements of the body-stone and roof-stone and find their correlation. Research objects are 47 three-story stone pagodas in Yeongnam region which have accurate documents and plans. After dividing a double stylobate of three-story stone pagodas into a lower and upper stylobate, we classified each stylobate into a type of body-stone and roof-stone from an architectural point of view. Types of arrangement of body-stones are divided into methods of using the 'ㅡ' shaped stone and methods of using 'ㄱ' shaped stone in the corner. And types of arrangement of roof-stones are divided into methods of arranging stones in a row or in a grid pattern. As the size of the pagoda increases, 'ㄱ' shaped stones used for the body-stone and stones for the roof-stone are arranged in a grid pattern. As the size of the pagoda becomes smaller, the body-stone is consist of 'ㅡ' shaped stone, and the roof-stone is arranged in a row. As the construction year of the pagoda becomes later, the size of the pagoda becomes smaller and types of body-stone and roof-stone had been stereotyped. As a result, the size of the stone pagoda became smaller as constructed later, and the type of body-stone and roof-stone of the double stylobate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goda.

Keywords

KCOSB1_2018_v27n6_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석탑 기단부 명칭

KCOSB1_2018_v27n6_7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경주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기단부

KCOSB1_2018_v27n6_7_f0003.png 이미지

그림 3.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기단부

KCOSB1_2018_v27n6_7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 기단부

표 1. 연구 범위

KCOSB1_2018_v27n6_7_t0001.png 이미지

표 2. 선행연구의 중석 유형 분류 (이근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기단 결구 방식에 대하여 – 7∼8세기 석탑을 중심으로」, 역사와 경계, 2007, 151쪽 <도면1>을 표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KCOSB1_2018_v27n6_7_t0002.png 이미지

표 3. 선행연구의 갑석 유형 분류 (이근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기단 결구 방식에 대하여 – 7∼8세기 석탑을 중심으로」, 역사와 경계, 2007, 152쪽 <도면 2>를 표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KCOSB1_2018_v27n6_7_t0003.png 이미지

표 4. 재구성한 중석 유형 분류

KCOSB1_2018_v27n6_7_t0004.png 이미지

표 5. 재구성한 갑석 유형 분류

KCOSB1_2018_v27n6_7_t0005.png 이미지

표 6. 하대중석과 하대갑석을 기준으로 한 분류

KCOSB1_2018_v27n6_7_t0006.png 이미지

표 7. 하층기단의 중석과 갑석

KCOSB1_2018_v27n6_7_t0007.png 이미지

표 8. 상대중석과 상대갑석을 기준으로 한 분류

KCOSB1_2018_v27n6_7_t0008.png 이미지

표 9. 상층기단의 중석과 갑석

KCOSB1_2018_v27n6_7_t0009.png 이미지

표 10. 이중기단 삼층석탑의 시대별 분류

KCOSB1_2018_v27n6_7_t0010.png 이미지

표 11. 각 기단부의 중석과 갑석

KCOSB1_2018_v27n6_7_t0011.png 이미지

References

  1.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경남의 사지 I, 2009
  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경남의 사지 II, 2011
  3.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남도의 석탑 I, 2016
  4.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남도의 석탑 II, 2017
  5.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 2007
  6.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I, 2008
  7.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II, 2009
  8.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V, 2010
  9.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V, 2011
  10.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VI, 2012
  11.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VII, 2013
  12.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VIII, 2014
  13.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X, 2015
  14.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수리보고서 I, 2017
  15.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 해체수리 자료집 - 석탑편, 2012
  16. 문화재청, 文化財大觀- 寶物篇石.造 I, 改訂版, 2004
  17. 이근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기단 결구방식에 대하여 - 7-8세기 석탑을 중심으로, 역사와 경계, 2007, 147-193쪽
  18. 이준규.류성룡, 영남지역 삼층석탑의 이중기단 결구 유형과 상관성,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8.5, 207-210쪽
  19. 천득염.정지윤.오창명, 한국석탑의 세부 명칭과 의미 고찰, 건축역사연구, 제27권, 3호, 2018, 59-72쪽 https://doi.org/10.7738/JAH.2018.27.3.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