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Solution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Problems in Terms of Social Issues

사회문제의 측면에서 본 다문화가족문제의 실태분석 및 해결방안 연구

  • Kim, Hyun-Mi (Department of Global Multiculture, Dongguk University)
  • 김현미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제다문화학과)
  • Received : 2017.10.30
  • Accepted : 2017.12.11
  • Published : 2018.01.31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are becoming soci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government and public perception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and society.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xpanding and operating a counseling center for the support of multicultural families' human rights violations, labor issues, and life problems. Third, the efforts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the government to diversify contents, subjects and progra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needed. Fourth,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e district development such as multicultural special zones.

본 연구는 최근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다문화가족문제에 대해 그 실태분석을 통하여 해결방안을 찾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족과 사회에 대한 정부와 국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가족의 인권 침해, 근로문제, 생활문제 등의 지원을 위한 상담센터의 확대운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 교육내용과 대상 및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기 위한 정부를 비롯한 관련 기관 및 단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특구와 같은 별도의 지구책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일 외(2010). 조합주의 복지국가. 파주, 경기: 동녘.
  2. 김근홍 외(2013). 사회문제론. 서울: 신정.
  3. 김범수 외(2010). 다문화사회복지론. 파주. 경기: 양서원.
  4. 김선녀(2013). 한국 이주 몽골인의 문화적 역량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종복 외(2014).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복지. 파주. 경기: 양서원.
  6. 장윤수.김영필(2016). 한국 다문화사회와 교육. 파주. 경기: 양서원.
  7. 전숙자 외(2009). 다문화사회의 새로운 이해. 서울: 그린.
  8. 정태석 외(2014). 사회학. 서울: 한울아카데미.
  9. 지은구 외(2016). 최신사회문제론. 서울: 학지사.
  10. 최명민 외(2009).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서울: 학지사.
  11. 최선화 외(2014).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파주. 경기: 양서원.
  12. 현승일(2012). 사회학. 서울: 현승일.
  13. 뉴시스. 2016년 7월 15일자.
  14. 국회입법조사처(2009). 다문화정책의 추진실태와 개선방향.
  15. 통계청(2015). 201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16. Williams, R.(2014).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