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areer Management for Construction Engineers through the Professional FGI Results: Focused on the 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

전문가 FGI를 통한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방안 연구: 건설기술자 역량지수를 중심으로

  • 임지은 (인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 박용호 (인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창의인재개발학과)
  • Received : 2018.11.16
  • Accepted : 2018.11.26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engineers and propose the developed future plan for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Especially, this study explores the 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ICEC) and issues for workplace competency development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engineers and proposes the advanced strategies for operating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the developing the future strategy of the current construction engineer's career management system,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tal 12 experts participated in the FGI. The study results identify the six key issues for advanced construction engineers' career management system. Those six issues include 1)preparing in the inducement of new human resources, 2)institutional modification of the current job/expertise fields, 3)attaching importance of practical experience in the workplace, 4)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of individual career, and 5)developing the highest level's workplace competenc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체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 도출을 목표로 한다. 특히,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의 근간을 이루는 건설기술자 역량지수(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 ICEC)에 기초한 등급제도와 실제 업무현장에서의 능력 개발의 이슈를 중심으로 현 운영제도를 탐색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현대 경력개발의 주요 흐름과 이론적 개념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향후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방안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FGI에는 경력관리업무를 수행하는 공공기관 담당자 6명과 기업체 담당자 6명 등 총 12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향후 건설기술자의 경력관리와 관련하여 첫째, 신규인력의 적극적인 유인책 마련, 둘째, 현재 활용되고 있는 직무/전문분야의 제도적 보완, 셋째, ICEC의 최종 등급산정에서 현장경력의 중시, 넷째, 건설기술자 경력 평가 시 다양한 경력구성 요소의 고려, 그리고 다섯째, 특급인력의 실질적 업무 전문성 제고 등의 발전방안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표 1. 건설기술자 역량지수 산정 기준

CCTHCV_2018_v18n12_432_t0001.png 이미지

표 2. 건설기술자 등급별 현황

CCTHCV_2018_v18n12_432_t0002.png 이미지

표 3. 건설기술자 연령별 현황

CCTHCV_2018_v18n12_432_t0003.png 이미지

표 4. 국내 인구 및 건설기술자 증감률

CCTHCV_2018_v18n12_432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상범, 김용비, "건설엔지니어링 기술자 표준 경력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대학토목학회논문집, 제33권, 제3호, pp.1181-1189, 2013.
  2. 임한진, "건설기술자의 경력관리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건설경제, 제7권, pp.18-25, 2001.
  3. 홍성욱, 김형일, 안용선, "국내 건설기업의 리스크 관리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제19권, 제5호, pp.153-160, 2003.
  4. 이종국, "건설엔지니어의 경력개발 수요조사 분석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제24권, 제2호, pp.121-128, 2008.
  5. Y. Baruch and M. Peiperl, "High-flyers: Glorious Past, Gloomy Present, Any Future?,"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2, No.7, pp.354-358, 1997. https://doi.org/10.1108/13620439710187990
  6. D. T. Hall, "The Protean Career: A Quarter-century Journe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5, No.1, pp.1-13, 2004. https://doi.org/10.1016/j.jvb.2003.10.006
  7. S. E. Sullivan, "The Changing Nature of Careers: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Management, Vol.25, No.3, pp.457-484, 1999. https://doi.org/10.1016/S0149-2063(99)00009-4
  8. D. T. Hall,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Sage, 2002.
  9. M. B. Arthur and D. M. Rousseau, The Boundaryless Career: A New Employment Principle for a New Organizational Era,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0. http://homenet.kocea.or.kr/home/comm/pds/pdsLst010.do
  11. 박용호, "역량에 대한 재탐구: 개념이해 및 활용에서의 혼동뛰어넘기," 평생교육.HRD연구, 제14권, 제3호, pp.89-113, 2018.
  12. D. M. Rousseau, Psychological Contracts in Organizations: Understanding Written and Unwritten Agreements, Sage, 1995
  13. A. Forrier, L. Sels, and D. Stynen, "Career Mobility at The Intersection between Agent and Structure: A Conceptual Mode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82, No.4, pp.739-759, 2009. https://doi.org/10.1348/096317909X470933
  14. D. T. Hall and D. E. Chandler,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6, No.2, pp.155-176, 2005. https://doi.org/10.1002/job.301
  15. J. P. Briscoe and D. T. Hall, "The Interplay of Boundaryless and Protean Careers: Combination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9, No.1, pp.4-18, 2006. https://doi.org/10.1016/j.jvb.2005.09.002
  16. J. P. Briscoe, D. T. Hall, and R. L. F. DeMuth,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s: An Empirical Explor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9, No.1, pp.30-47, 2006. https://doi.org/10.1016/j.jvb.2005.09.003
  17. 국토해양부, 건설기술인력 분류체계 개편방안, 국토해양부, 2011.
  18. 교육부, 고용노동부, 한국형 국가역량체계 (KQF) 기본틀 설계 시안(안), 교육부, 고용노동부, 2016.
  19.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OECD, 2005.
  20. 나승일, "능력중심사회를 위한 자격제도의 혁신과 국가역량체계(NQF) 구축 방향," The HRD Review, 제19권, 제5호, pp.2-6,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