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기술자

Search Result 13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건설기술자 경력관리는 이렇게(2)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7 s.204
    • /
    • pp.57-62
    • /
    • 2007
  • 지난해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이 개정됨에 따라 지난 3월 1일부터 특급건설기술자는 기술사만 가능하고 학· 경력기술자는 초급까지만 인정되는 등 건설기술자 경력제도가 대폭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는 개정된 경력신고 제도를 건설기술자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건설기술자 경력관리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홍보책자를 발간했다. 이 홍보 책자는 이제 막 입문하는 초급기술자부터 특급기술자에 이르기까지 전체 57만여명의 건설기술자 누구 나 쉽게 경력관리가 가능하도록 건설기술자의 경력신고 절차, 교육훈련, 각종 통계자료 및 주요 유권해석 등을 알기 쉽게 매뉴얼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이 책자에 따르면 건설기술자가 개정 전의 규정에 의한 기술등급을 받기 위하여 반드시 숙지해야 할 사항으로 는 오는 8월 31일까지 자신의 학력·자격·경력 등을 한국건설기술인협회 등 경력관리수탁기관에 신고하여야 하고 내년 2월 29일까지 1주의 전문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또한 건설기술자가 근무처 경력신고시 종전의 국민연금 등 4대 보험 자료 원본을 제출하던 것을 해당 공단 홈 페이지 출력물로 대체가 가능, 경력신고가 훨씬 간편해졌다. 참고로 건설기술자의 경력관리 자료는 설계 등 용역업자의 사업수행능력(PQ) 평가시 수행경력 확인, 건설관련 업체 등록시 기술능력 확인, 건설기술자 현장배치시 적정여부 확인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지는 건교부가 발간한“건설기술자 경력관리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홍보책자를 3회에 걸쳐 게재한다.

  • PDF

건설기술자 경력관리는 이렇게(3)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8 s.205
    • /
    • pp.68-72
    • /
    • 2007
  • 지난해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이 개정됨에 따라 지난 3월 1일부터 특급건설기술자는 기술사만 가능하고 학.경력기술자는 초급까지만 인정되는 등 건설기술자 경력제도가 대폭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는 개정된 경력신고 제도를 건설기술자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홍보책자를 발간했다. 이 홍보 책자는 이제 막 입문하는 초급기술자부터 특급기술자에 이르기까지 전체 57만여명의 건설기술자 누구나 쉽게 경력관리가 가능하도록 건설기술자의 경력신고 절차, 교육훈련, 각종 통계자료 및 주요 유권해석 등을 알기 쉽게 매뉴얼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이 책자에 따르면 건설기술자가 개정 전의 규정에 의한 기술등급을 받기 위하여 반드시 숙지해야 할 사항으로는 오는 8월 31일까지 자신의 학력.자격.경력 등을 한국건설기술인협회 등 경력관리수탁기관에 신고하여야 하고 내년 2월 29일까지 1주의 전문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또한 건설기술자가 근무처 경력신고시 종전의 국민연금 등 4대 보험 자료 원본을 제출하던 것을 해당 공단 홈페이지 출력물로 대체가 가능, 경력신고가 훨씬 간편해졌다. 참고로 건설기술자의 경력관리 자료는 설계 등 용역업자의 사업수행능력(PQ) 평가시 수행경력 확인, 건설관련업체 등록시 기술능력 확인, 건설기술자 현장배치시 적정여부 확인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지는 건교부가 발간한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홍보책자를 3회에 걸쳐 게재한다.

  • PDF

법령과고시 (2) -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건설기술자 등급 및 경력인정 등에 관한 기준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88
    • /
    • pp.83-85
    • /
    • 2014
  • 건설기술진흥법령 시행령 및 시행규칙과 건설기술자 등급 및 경력인정 등에 관한 기준이 지난 5월 23일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갔다.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건설기술관리법"이 "건설기술진흥법"으로 전부 개정된 이후 그동안 추진해왔던 하위법령(시행령 및 시행규칙)의 개정 작업을 마무리했으며, 건설기술자 역량지수(ICEC)의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건설기술자의 등급 및 경력인정 등에 관한 기준"도 함께 개정 공포했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General Public's and Construction Engineers' Perception on Images of Construction Engineers (건설기술자 이미지에 대한 일반 국민과 건설기술자의 인식 비교 연구)

  • Kim, Dong Bin;Kim, Han S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5
    • /
    • pp.62-70
    • /
    • 2016
  • Construction engineers are the core resour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and positive images toward construction engineers give much impacts on recruit and retainment of the young and talented. Although previous studies reported on negative aspects of the image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image of construction engineers has not been properly investigated to date.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compare images of construction engineers as perceived by general public and construction engineers themselves in order to identify key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The result shows that construction engineers themselves, compared with general public, have more negative tendencies on images of construction engineers.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critical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roles of construction engineers and their morality in order to improv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n construction engineers images. On the other hand, fundamental measures to be taken to restore the environments of construction industry for construction engineers to improve their self-perception on images of construction engineers.

A Study on the Career Management for Construction Engineers through the Professional FGI Results: Focused on the 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 (전문가 FGI를 통한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방안 연구: 건설기술자 역량지수를 중심으로)

  • Lim, Jieun;Park, Yo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2
    • /
    • pp.432-443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engineers and propose the developed future plan for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Especially, this study explores the 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ICEC) and issues for workplace competency development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engineers and proposes the advanced strategies for operating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the developing the future strategy of the current construction engineer's career management system,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tal 12 experts participated in the FGI. The study results identify the six key issues for advanced construction engineers' career management system. Those six issues include 1)preparing in the inducement of new human resources, 2)institutional modification of the current job/expertise fields, 3)attaching importance of practical experience in the workplace, 4)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of individual career, and 5)developing the highest level's workplace competenc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An Analysis of Core Competency of Construction Field Engineer for Cost Management (건설기술자의 원가관리 업무역량 분석 연구)

  • Choi, Jae-Hong;Kim, Yea-Sa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5
    • /
    • pp.26-34
    • /
    • 2013
  • Recently, many companies recognize the individual human resource as a core asset of the corporate value creation and devote a lot of effort to develop and manage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rporate competitiveness. As the integrated construction company taking the major portion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ts construction engineers perform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task with various related parties at each stage of the life cycl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Therefore, the competency of a construction engineer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have a direct impact on the succes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the current capability evaluation scheme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engineers is mainly oriented on the qualification factors such as the certificates or the seniority and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evaluating the actual ability for construction management tasks.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proposes the appropriate level of proficiency in cost management by analyzing the work process and its detailed items of the cost management that is the one of the basic management item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competency level of the construction engineer by comparing with the required competency of each job position and also performs the engineer's work competency analysis of each work st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