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New Model of Records Centers, Integration Archives : Reoranization of the Education office Records Centers

기록관의 새로운 모델, 통합기록관 교육청 기록관 체계의 재편성

  • 임희연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
  • Received : 2018.10.01
  • Accepted : 2018.10.15
  • Published : 2018.10.30

Abstract

The foremost priority for establishing record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is strengthen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records centers in the institutions and creating the foundation of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for demonstrating professionalism of archivists. However, concept of current records center is not clear and there is no substance of the organization. It also says that once a records manager is deployed, a records center is founded since appointment criteria for archivists is prone to be interpreted subjectively by the institutions. Therefore, it's time for more concrete improvements to resolve these issues. This research analyses some problems found in the system of records centers in the main office and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environment of them. The problems are centers without substance in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because of the organization structure that all authority has been assembled in the main office, and the reality of records managers who have fallen into records discarders, etc.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changing the appointment criteria for archivists, operating an integrated records center reflecting the intensive working system, and legislating special act on record manage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정착화를 위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점은 기관 내 기록관의 기능 및 역할 강화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전문성 발휘를 위한 조직과 인력의 기반 조성이다. 그러나 현재 공공기록물법에서의 '기록관' 개념과 여기에 근무하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 기준'은 기관마다 주관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많아 현장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이제는 보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이 필요할 때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청 환경을 중심으로 본청과 교육지원청 기록관 체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청에 모든 권한이 집결된 조직구조 속에 실체 없는 교육지원청의 기록관, 기록물폐기사로 전락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현실 등, 이러한 문제해결 방안으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기준 변경, 집중근무방식을 반영한 통합기록관 운영, 교육관련 기관을 위한 기록관리 특례법 제정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남경호. 2016. 기록관 체제의 재검토: 기록관의 존재 가치 재검토.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2016.10.14.-15.). 서울: 전국기록인대회.
  2. 문찬일. 2016. 기록관 체제의 재검토: 어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발칙한 문제제기와 황당무계한 상상.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2016.10.14.-15.). 서울: 전국기록인대회.
  3. 박종연. 2016. 기록관리의 기본-전문성.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2016.10.14.-15.). 서울: 전국기록인대회.
  4. 박형호. 2016. 기록관 체제의 재검토: 기록관의 변화(교육청 사례).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2016.10.14.-15.). 서울: 전국기록인대회.
  5. 설문원. 김형국. 이원규. 2018.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공공기록관리 조직 및 제도 혁신 방향. 기록학연구, 56, 5-48.
  6. 설문원. 2018. 공공기록관리 혁신의 방향과 과제. 기록인, 제42호(2018년 봄호), 12-23.
  7. 우지원. 설문원. 2015. 통합형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153-180.
  8. 이세진. 2017. 기록관에서의 제도.업무기능 개선 방안. 기록정책포럼[자료집](2017.05.13. 한국기록학회-한국기록전문가협회)
  9. 이영남. 2018. 국가기록혁신과 기록담론. 기록학연구, 56, 49-80.
  10. 이용훈. 2016. 기록관 체제의 재검토: 기록관의 변화.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2016.10.14.-15.). 서울: 전국기록인대회.
  11. 이창순. 2016. 교육청 현장의 기록관.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2016.10.14.-15.). 서울: 전국기록인대회.
  12. 임희연. 2015. 교육청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운영방안. 국가기록관리정책토론회: 교육행정분야 기록관리의 쟁점과 과제[자료집](2015.07.15.) 서울: 한국기록전문가협회
  13. 최윤진. 2016. 기록관 체제의 재검토: 기록관의 변화.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2016.10.14.-15.). 서울: 전국기록인대회.
  14. 한철희. 2016. 교육청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와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방향.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2016.10.14.-15.). 서울: 전국기록인대회.
  15. 교육청 교육정보통계시스템(http://edp.sen.go.kr/fmk/EDPSSOLogin.do)의 2018년 통계 '[나이스 교육통계] 전국 학교 개황. 검색일자: 2018.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