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산학협력 활성화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r pioneering overseas market

  • 이호형 (계명대학교 경제통상학부 전자무역학전공)
  • Lee, Hohyung (Dpt. of International e-Trade, Keimyung University)
  • 투고 : 2017.02.28
  • 심사 : 2017.03.24
  • 발행 : 2017.03.31

초록

최근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산학협력 방식의 무역교육은 현상은 무역인력의 질적 수준 향상과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수출 초보기업과 수출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이 함께 해외시장 개척에 나섰을 경우 항상 좋은 성과만 있는 것은 아니다. 체계적인 교육과 준비과정이 없는 해외시장 개척 활동은 사실상 예산과 시간 낭비가 될 수 있고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GTEP, LINC, 중소기업청 사업 등 해외시장 개척 산학협력 경험자 30명을 대상으로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여 산학협력에 필요한 각 단계별 모형을 도출하였다. 학생선발, 협력기업 네트워킹, 학생교육, 해외시장조사, 전시회 발굴, 전시회 준비, 전시회 파견, 사후 관리 8단계의 모형을 제시하였고 각 단계별 진행사항 및 유의사항을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해외시장 개척 산학협력을 처음 시작하거나 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각 대학 사업단 관계자들이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r pioneering overseas market contribut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anpower and the export performance. However, performance is showing that without exporting experience, exploring overseas market is not promising. Without systematic training and preparation, pioneering overseas market can be a waste of time and budget. I have conducted interviews with 30 participant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r pioneering overseas market. As a result, I have derived a model for each phas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8 stages of this model are student selection, cooperation company networking, student education, overseas market research, selection of trade fair, preparation of trade fair, dispatch of trade fair and follow-up management. Opinions of experts have been reflected and compiled to each suggested stage. Specific details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ose affiliated who want to start the first or foremost pioneering overseas market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융, "대학 무역실습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 경성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상경연구, 제20권 제1호, 경성대학교, 2004, pp.15-32.
  2. 김미정.이학노, "글로벌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무역 전문 인력 양성 방안 연구", 한국무역학회 학술대회, 한국무역학회, 2013, pp.447-466.
  3. 김종득.김장호, "사이버무역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2권 제1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00, pp.97-113.
  4. 김학민, "무역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식기반의 협력모델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29권 제4호, 한국무역학회, 2004, p.231-257.
  5. 김학민.이예림, "융복합 무역인력 양성을 위한 전략 과제", 무역학자 전국대회 발표논문집, 한국무역학회, 2016, pp.241-263.
  6. 김학민.이호형, "무역인력의 핵심역량 조사.분석", 무역학회지,제35권 제3호, 2010, pp.65-88.
  7. 박광서.유광현, "글로벌무역인력 양성을 위한 합리적인 무역학 교과과정 개편방향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37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08, pp.329-360.
  8. 박문서, "서비스무역 교육 및 연구방향과 과제", 사회과학연구, 제33권 제3호,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pp.71-97.
  9. 산업연구원, 최근 10년간 중소기업의 구조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2017.
  10. 산업통상자원부, Trade Incubator 사업 개요, 2005.
  11. 손성문.박상혁.오승희, "글로벌 무역전문가 양성프로그램(GTEP)이 지역 중소기업 생태계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4권 제6호,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4, pp.379-393.
  12. 양근우.이호형, 전자무역학 캡스톤디자인,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3.
  13. 윤충원, "무역전문인력 양성과 관련한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대처방안", 무역학회지, 제29권 제3호, 한국무역학회, 2004, pp.5-34.
  14. 윤충원.유찬확, "무역학과(전공) 교과과정 운영상의 과제와 개선책", 국제상학, 제23권 제3호, 한국국제상학회, 2008, pp.157-183.
  15. 이영련, "무역진흥을 위한 글로벌 비즈니스 및 무역 전문인력 양성과 산.관.학 협력체제 구축", 한국무역학회 학술대회, 한국무역학회, 2011, pp.231-235.
  16. 이재성, "장보고 대사의 글로벌 경영사상 함양을 위한 한국대학 무역교육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7. 이정호.김장호, "무역전문인력 양성프로그램의 효율화에 관한 연구", 지역개발연구, 제8집 제2호,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03, pp.227-245.
  18. 이학노.이제홍.최혁준, "글로벌무역전문가양성 사업의 운영 및 성과에 관한 실태분석", 무역학회지, 제37권 제3호, 한국무역학회, 2012, pp.1-24.
  19. 이호형, "대학의 산학협력 무역인력 양성이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통상정보연구, 제17권 제2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5, pp.307-327.
  20. 정홍주, "대학의 무역교육 평가.인증체제 고찰 : 경영교육 평가.인증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무역학회지, 제36권 제3호, 한국무역학회, 2011, pp.221-243.
  21. 조정곤, "산.관.학 협력을 통한 무역전문인력 양성의 과제 : Trade Incubator 사업을 통한 무역인력양성의 시사점", 통상정보연구, 제10권 제1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08, pp.415-435.
  22. 조현정, "지방대학의 국제통상학과 교육범위와 체계 : 경쟁력과 차별화의 관점에서", 경영경제, 제42집 제1호, 계명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9, pp.207-228.
  23. 한은식, "무역환경 변화에 따른 선진형 무역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4. 한은식.박광서,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대학의 선진형 무역전문인력 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47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0, pp.403-428.
  25. 홍성규, "일본대학의 무역교육분석을 통한 무역학의 정체성 확립방안", 국제상학, 제19권 제3호, 한국국제상학회, 2004, pp.323-348.
  26. Kedia, B. and Chhokar, J., "Factors inhibiting export performance of firms: an empirical investigation", Management International Review, Vol. 26, No. 4, 1986, pp.3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