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법인 현지국 직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친사회적 조직 행동 간의 관계 -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on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 in Local Subsidiary Abroad : Focusing on the Type of Leadership as a Moderator.

  • Yoo, SungJoo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 Trade, Kyung Hee University) ;
  • Kim, Hag-mi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 Trade,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7.02.16
  • 심사 : 2017.03.24
  • 발행 : 2017.03.31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기업으로 해외법인 현지 직원들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친사회적 조직행동 간의 영향을 리더십 유형별로 조절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필리핀에 진출한 3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해당 기업들의 총 393명의 사례에 대하여 전수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334명의 사례를 사용하여 87.3%로의 유효 표본을 설정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계적 처리하기 위해 PASW statistics version 18.0 과 AMOS version 18.0 통계 패키지를 병행하여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은 친사회적 조직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자기효능감, 복원력, 낙관주의, 희망이 높을수록 개인의 소속된 조직에 긍정적으로 도움이 되는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친사회적 조직행동에서 리더십 유형별로 모두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가지는데, 특히 변혁적 리더십이 가장 조절효과가 크다는 것이 본 논문의 중요한 시사점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has two filds. The first is to examine the effect of native employee's psychological capital on their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context of a local subsidiary in abroad. The second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on effect of non-native managers' leadership typ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 The researcher provides the theoretical research model based on the pro-social capital theory and then empirically tests the model by using a valid 334-case collected from three overseas-affiliated-companies in Philippines. The results show that native employees'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to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 Moreover, non-native managers' type of leaderships has the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in relationships between native workers'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 Specifically, stronger relationships are identified in all of relationships when the managers show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and authentic leadership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a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정대․이방식,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호텔종사자의 자긍심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17권 2호, 2005, pp.45-60.
  2. 김동철․김대건, "긍정조직행태 주요 요인 간 관계에 관한 연구, 진성 리더십, 심리적 자본, 심리적 주인의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6권 4호, 2012, pp.27-51.
  3. 김주엽․김명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제26권, 2011, pp.117-148.
  4. 김지윤․김강식․이동명, "항공사 종사자의 셀프리더십, 조직시민행동, 심리적 자본의 관계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10권 1호, 2012 pp.111-129.
  5. 김태성․허찬영, "노동조합위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제22권 4호, 2012, pp.117-148.
  6. 김학민․이호형, "무역인력 성장경로와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34권 4호, 2009, pp.101-123.
  7. 김학민․이호형, "전자무역 비즈니스모델의 고객가치와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32권 1호, 2007, pp.241-261.
  8. 리상섭․최효식, "한국 글로벌 기업의 해외 법인에 근무하는 현채인의 관점에서 본 한국인 주재원의 필요 역량 분석." 직업교육연구,제26권 1호, 2007, pp. 134-157
  9. 박권홍, "중소기업 근로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의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기업교육연구, 제14권 1호, 2012, pp.115-132
  10. 박재춘, "한국 대학 직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일경상논집, 제57권 단일호, 2012, pp.227-249.
  11. 박혜숙, "변환적 및 거래적 리더십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12. 성영은․윤천성, "금융기관 종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평생교육리더십연구 제1권, 2014, pp.7-33.
  13. 송하동․최우재, "감성 및 진성 리더십이 전투사기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비즈니스리뷰, 제7권 1호, 2014, pp.57-81.
  14. 신장선․차윤석,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직무수행성과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5호, 2014, pp.373-379.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373
  15. 안종석․백권호,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경영현지화, 어떻게 할 것인가", 국제경영리뷰, 제10권 2호, 2006, pp.213-243
  16. 오석영․원용천․손수진, "학습조직 환경 및 조직 사회화과정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A사 중국법인 사례를 중심으로". HRD연구, 제16권 1호, 2014, pp.79-101.
  17. 유태용․김은정, "외식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관련 변인과 성격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17권 3호, 2004, pp.355-373.
  18. 이병철․이채익, "지방공무원의 심리 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3권 3호, 2009, pp.67-85.
  19. 이상우, "리더십 유형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리더에 대한 신뢰의 매개역할",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0. 이장우․허재원. "리더십과 조직역량이 해외진출 전략에 미치는 영향." Korea Business Review, 제17권 1호, 2013, pp.243-266
  21. 이지원․강인원, "웹사이트 품질과 웹활동에 따른 질적성과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7권 2호, 2015, pp.41-65
  22. 이학식․임지훈․집현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2017
  23. 임기성․박봉규, "리더에 대한 부하의 진성성 지각이 신뢰, 가치일치 및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8권 1호, 2013, pp.95-111.
  24. 정현우․김창호,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LMX 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4권 3호, 2007, pp.167-186.
  25. 최충식․안종태․김정원,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및 조직 시민행동의 다차원 관계-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검증", 대한경영학회지, 제20권, pp.1243-1267.
  26. 탁진규․노태우,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7호, 2016, pp.319-33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319
  27. 탁진국․장종순, "거래적 및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16권 2호, 2003, pp.47-60.
  28. 한주희․임규혁,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팀 수준 요인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제13권 (5호): 91-111.
  29. 홍계훈․이수정,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팀 혁신행동 및 주관적 팀 성과 간의 관계들에 대한팀 효능감과 팀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경영학연구, 제42권 1호, 2013, pp.321-351.
  30. Avolio, Bruce J., Bernard M. Bass, and Fred Walumbwa Weichun Zhu.,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manual and sampler set", Redwood City, CA: Mind Garden, 2004.
  31.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77, pp.191- 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2. Barsade, Sigal, & Olivia A. O'Neill., "Manage your emotional culture." Harvard business review 94.1, 2016, pp.14.
  33. Bass, B. M.,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Free Press; Collier Macmillan, 1985
  34. Bass, B. M, & Avolio, B. J.,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1993, pp.112-121.
  35. Bettencourt, L. & Brown, S., "Contact Employees: Relationships Among Workforce Fairness, Job Satisfaction & Prosaical Service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73(1), 1997, pp.39-61. https://doi.org/10.1016/S0022-4359(97)90014-2
  36. Black, J.S.& Mendenhall,M., "Cross-culturalTrainingEffectiveness:A Review an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5(1), 1990, pp.113-136. https://doi.org/10.5465/amr.1990.11591834
  37. Brief, A. P., & Motowidlo, S. J.,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4), 1986, pp.710-725. https://doi.org/10.5465/amr.1986.4283909
  38. Cameron, K. S., & Caza, A., "Contributions to the discipline of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2003
  39. Cameron, Kim, and Jane Dutton, eds.,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Berrett-Koehler Publishers, 2003
  40. Dutton, J., & Quinn, R.,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Meet the movement". Journal of Management Inquiry, 12(3), 2003, pp.266-271. https://doi.org/10.1177/1056492603256341
  41. Eisenberg, Nancy, and Paul Henry Mussen., "The roots of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42. Gilmore, James H., and B. Joseph Pine., "Authenticity: What consumers really want", Harvard Business Press, 2007
  43. Luthans, F.,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3(6), 2002, pp.695-706. https://doi.org/10.1002/job.165
  44. Luthans, F., Youssef, C. M., & Avolio, B. J.,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45. Luthans, Fred, James B. Avey, and Jaime L. Patera., "Experimental analysis of a web-based training intervention to develo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7.2, 2008, pp.209-221. https://doi.org/10.5465/amle.2008.32712618
  46. O'Reilly, Charles A., and Jennifer Chatma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attachment: The effects of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on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3, 1986, pp.492. https://doi.org/10.1037/0021-9010.71.3.492
  47. Pine, B. J., & Gilmore, J. H., "Authenticity: What consumers really want".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2007
  48. Seligman, M., "What is the good life. APA monitor", 29(10), 1998, pp.2
  49. Walumbwa, F. O., Avolio, B. J., Gardner, W. L., Wernsing, T. S., & Peterson, S. J.,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heory-based measure". Journal of management, 34(1), 2008, pp.89-126. https://doi.org/10.1177/0149206307308913
  50. Weinstein, N., & Ryan, R. M., "When helping helps: autonomous motivation for prosocial behavior and its influence on well-being for the helper and recipi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8(2), 2010, p.222. https://doi.org/10.1037/a0016984
  51. Xanthopoulou, D., Bakker, A. B., Demerouti, E., & Schaufeli, W. B.,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Job Resources, Personal Resources, and Work Engage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4, 2009, pp.235-244 https://doi.org/10.1016/j.jvb.2008.1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