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lications of Seodang and So-Hak on Character Education

서당과 소학의 전통교육이 현대 인성교육에 주는 함의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So-Hak(小學) and Seodang(書堂) education, which were at the heart of child-adolescent education in Cho-Sun dynasty, and their implications on character education.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review a traditional education from a modern character education perspective. So-Hak contains as major educational concepts Hyo(孝) and Kyeong(敬), guiding principles of daily lives. In this research, two basic concepts of So-Hak were reinterpreted from a modern perspective, namely, Soe-So-Eung-Dae-Jin-Tae(灑掃應對進退) and Ye-Ak-Sa-Eu-Seo-Su(禮樂射御書數). One of major implications of So-Hak lies on the habituation of what is learned, for habit leads to continuation of action, out of which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emerges. As such, the role of habituation in character education is twofold, namely, basic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Seodang is a school in which the teachings of So-Hak is realized. From an educational method perspective, Seodang'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reading, writing, and calligraphy method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ree implications of So-Hak and Seodang were drawn, the habituation of what is learned, unification of knowledge and morality, and individualized learning based on one's own level.

본 연구는 조선시대 아동 청소년 교육의 중심이 된 서당과 소학교육을 검토하고, 그것이 현대 인성교육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는 작업이다. 이른바 전통교육을 현대 인성교육의 차원에서 모색하는 시도이다. 소학의 경우, 효(孝)와 경(敬)을 교육의 핵심내용으로 담고 있으며, 그것은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행위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소학의 기본인 쇄소응대진퇴(灑掃應對進退)와 예악사어서수(禮樂射御書數)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현대적 독해를 시도하였다. 소학에서 주의할 만한 함의는 교육내용의 습관화(習慣化)이다. 습관은 행위의 지속을 보장하기 때문에 인성을 강화하고 성장시킨다. 그것이 인성교육의 근본내용이자 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다. 서당의 경우, 소학의 내용을 현실적으로 담보하며 실제로 가능케 하는 교육공간, 즉 학교라는 점에서 소학의 내용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실천하는 역할을 한다. 서당의 교육에서는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는데, 강독(講讀)과 제술(製述), 습자(習字)를 중심으로 교수-학습법을 구명하였다. 그 결과 소학과 서당의 전통 아동 청소년 교육은 현대 인성교육의 차원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던져 준다. 첫째, 건전한 인성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의 습관화, 둘째, 지식과 도덕의 융합과 통일화, 셋째, 인성확립을 위한 개별 수준의 학문과 깨달음의 전수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