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당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유일의 아동도서 전문유통 '서당'

  • 한강
    • 출판저널
    • /
    • 통권169호
    • /
    • pp.18-18
    • /
    • 1995
  • 지난 93년 출범한 '서당'은 국내 유일의 아동도서 전문유통회사이다. 각 출판사에서 발간되는 어린이책들 가운데 비교적 양질의 책을 선별 구입, 전국의 어린이 전문서점에 공급하고 있다. 초창기엔 종수 자체가 적어 전집을 구입해 낱권으로 공급하기도 했지만, 이젠 단행본 시장도 활발해 '어린이 문화'의 번창을 기대할만하다는 전망이다.

  • PDF

독말풀(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 모상근의 성장과 tropane alkaloid 생성에 미치는 pH, 서당 및 비타민의 영향 (Effects of pH, Sucrose and Vitamins on the Growth and Tropane Alkaloid Production of Hairy Roots of 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

  • 양덕조;강현미;이강섭;김용해;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43-148
    • /
    • 1997
  • 모상근의 성장 및 tropane alkaloids의 생성에 미치는 pH, 서당, 비타민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독말풀(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의 잎에 Agrobacterium tumefaciens $A_4$T를 접종하여 모상근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모상근 중 성장률이 양호한 clone (DTLA9)을 선발하고, 이를 pH, 서당, 비타민을 각각 여러 농도로 처리한 SH(Schenk and Hildebrandt, 1972) 기본배지에 배양하였다. 모상근의 성장에 있어 최적 pH는 6.3이었으며, 최적 서당농도는 3.0%이었다. Tropane alkaloids의 함량에 있어 최적 PH는 6.5이었으며, 최적 서당농도는 2.8%이었다. 한편, 비타민이 제거된 SH기본배지에 ascorbic acid, D-pantothenate, nicotinic acid, pyridoxine, riboflavin. 그리고 thiamine을 각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배양한 경우에, 모상근의 성장에 있어 비타민의 최적 농도는 각각 0.1, 0.003, 0.07, 0.002, 0.025, 0.01 mM이었다. Tropane alkaloids의 함량은 0.1 mM의 ascorbic acid 단독처리구에서 대조구(vitamin-free구) 및 SH기본배지에서의 경우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파산서당'의 영건과정과 조경식물 변화상 탐색 (The Search for Study o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Changes in the Landscape Plants of the Pasanseodang)

  • 주빈;최하영;신상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1호
    • /
    • pp.48-65
    • /
    • 2018
  • 1874년 박규현이 기술한 '파산서당기'를 중심으로 분석한 파산서당의 영건과정과 조경식물의 변화상을 추적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 달성의 하빈면 묘리 파회에 자리한 살림집 삼가헌과 별당(파산서당)은 사육신 박팽년(1417~1456)의 11대손 박성수로부터 14대손 박규현에 이르기 까지 약 90년간(1783~1874)에 걸쳐 완성되었는데, 풍수적 회룡고미형(回龍顧尾形)으로 회자되는 길처이다. 둘째, 파회마을은 박성수가 1769년(영조 45)에 벗들과 교우하기 위해 초가를 짓고 자신의 호(삼가헌(三可軒))를 당호로 삼은 것으로부터 유래하는데, 둘째아들 박광석이 분가(1783)한 후 사랑채(1826)와 안채(1869)를 지었고, 박광석의 손자 박규현이 1874년에 연을 심어 가꾼 연못과 정자(하엽정)를 추가했으며, 파산서당 명칭은 삼가헌 뒷동산 지명과 연계된다. 셋째, 네모꼴 연못은 길이 21m, 너비 15m 규모로 연꽃을 심었는데, 못 가운데 원형 섬을 두어 조선시대의 보편적인 성리학적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파산서당에 부가된 정자(하엽정)의 명칭, 동쪽 방 이연헌(怡燕軒), 서쪽 방 몽양재(蒙養齋) 등은 군자적 삶의 염원, 그리고 자손들의 밝은 미래를 염원하는 뜻을 담았다. 넷째, 성리학적 규범(소나무, 연꽃, 대나무), 안빈낙도의 생활철학(버드나무), 은일사상과 태평성대의 염원(대나무), 그리고 구휼목적과 실용성(밤나무, 상수리나무, 가래나무, 옻나무 등)에 비중을 둔 식재수종의 반영을 추적할 수 있는데, 이는 서당이라고 하는 장소성과 상징성, 절제미학 등을 고려한 조경법이라 하겠다. 다섯째, 조영초기 식재수종은 회화나무와 연꽃을 제외하고 대부분 고사하여 다른 수종으로 대체되었는데, 서당 기능의 상실과 풍수적 가치(홍동백서 상징수종), 벽사기능(엄나무와 탱자나무), 심미성 및 실용적 가치(해당화, 매화, 배나무, 복숭아나무, 굴참나무), 가문의 번영과 변화지 않는 청백의 삶(자귀나무, 배롱나무, 주목), 심미관 등 후손들의 확장된 작정관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서당과 소학의 전통교육이 현대 인성교육에 주는 함의 (The Implications of Seodang and So-Hak on Character Education)

  • 신창호;예철해;윤영돈;임홍태;지준호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65-182
    • /
    • 2017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아동 청소년 교육의 중심이 된 서당과 소학교육을 검토하고, 그것이 현대 인성교육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는 작업이다. 이른바 전통교육을 현대 인성교육의 차원에서 모색하는 시도이다. 소학의 경우, 효(孝)와 경(敬)을 교육의 핵심내용으로 담고 있으며, 그것은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행위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소학의 기본인 쇄소응대진퇴(灑掃應對進退)와 예악사어서수(禮樂射御書數)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현대적 독해를 시도하였다. 소학에서 주의할 만한 함의는 교육내용의 습관화(習慣化)이다. 습관은 행위의 지속을 보장하기 때문에 인성을 강화하고 성장시킨다. 그것이 인성교육의 근본내용이자 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다. 서당의 경우, 소학의 내용을 현실적으로 담보하며 실제로 가능케 하는 교육공간, 즉 학교라는 점에서 소학의 내용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실천하는 역할을 한다. 서당의 교육에서는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는데, 강독(講讀)과 제술(製述), 습자(習字)를 중심으로 교수-학습법을 구명하였다. 그 결과 소학과 서당의 전통 아동 청소년 교육은 현대 인성교육의 차원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던져 준다. 첫째, 건전한 인성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의 습관화, 둘째, 지식과 도덕의 융합과 통일화, 셋째, 인성확립을 위한 개별 수준의 학문과 깨달음의 전수이다.

대암선생문집 속의 농연서당십경(聾淵書堂十景)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g-Yeon Seodang 10 Scenery in Daeam Seonsaeng Munjip)

  • 김묘정;정기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130
    • /
    • 2011
  •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개인문집 속에 묘사된 경관 관련 문헌을 조사 발굴하여 장소를 찾고, 그 속에 묘사된 대상지와 주변경관요소들을 분석하여 실제의 경관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 보는 기초연구로서, 대상지는 조선 후기 학자 최동집의 대암선생문집에 묘사된 농연서당십경에 대한 각 경관요소 및 장소를 찾아보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1) 대암 최동집과 대암선생문집을 정리한 후손 백불암 최흥원의 배경 및 농연서당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2) 문헌자료 및 현장조사를 통해서 농연서당의 위치 및 장소를 파악하였으며, 3) 그 장소에서 농연서당십경에 대한 경관요소 및 분포관계 그리고 의미를 분석하였다. 고찰을 통해 농연서당의 배치와 방향에 대한 의미를 되짚고, 정원조성관련 기록을 확인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권우(卷宇) 홍찬유(洪贊裕)의 사승(師承) 고찰(考察) (The line of Hong Chan-yoo's(洪贊裕) studies)

  • 정후수
    • 동양고전연구
    • /
    • 제67호
    • /
    • pp.129-171
    • /
    • 2017
  • 본고는 홍찬유의 학문 계보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홍찬유는 경기도 연천군 마전 지역에서 출생하여 그곳의 서당에서 글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특히 어려서 미좌(嵋左) 서당(書堂)에서 미좌(嵋左) 정기(鄭?) 선생에게 글을 읽음으로써 홍찬유의 공부는 기초를 다지게 되었다. 본 원고에서 특히 중점을 둔 것은 미좌 선생과 미좌 서당의 모습을 살펴보는데 있었다. 그것은 홍찬유 선생 학문의 계통을 밝히려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미좌 서당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홍찬유의 학문 계보는 미수허목의 계통을 이었다는 것이다. 미좌 선생은 허목(許穆)의 제자인 정동악(鄭東岳)의 후손이었으며, 정동악의 제자 겸 후손이 바로 마전 지역의 큰 학맥이었던 미좌의 가문이었음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이 마전 지역은 경주 정씨 황산공파의 후손이 대성(大姓)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미수 허목의 영향을 입어 오고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바로 미수의 본거지인 은거당(隱居堂)과 홍찬유의 집, 그리고 미좌서당, 미수 허목을 모신 미강서원은 한 일자로 늘어서 있는 중간에 각각의 위치를 점하고 있는데서 그러한 점을 짐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경 후 활동에서는 정인보(鄭寅普)와 임규(林圭) 선생을 만남으로써 학문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종전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현실을 직시하는 영향을 입었음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봉익동 근처에서 임흥순과 김태선을 만나 사계(斯界)에 발을 들여놓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는데 이는 앞으로 좀 더 고찰할 필요가 있다.

공간행태적 측면에서 본 퇴계의 ‘경’사상과 도산서당 공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군 (A Study on Interrelation between Toegye′s ‘Piety’ Notion and Space of the Dosan Saudang from an Behavioral point of view)

  • 안민선;권영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3-10
    • /
    • 2004
  • A built space reflects its society's philosophy, culture and technology of its time period. The study explores interrelation between Toey-Gae's 'Kyung' (Piety) philosophy and architectural designs of the 'Do-San' Sau-Dang (School). Toey-Gae is a leading scholar during Chosun Dynasty who built the Do-San School to teach and showcase Sung Confucianism. He is known for his teachings and practice of 'Kyung' philosophy in all aspects of his life including his work and designs. It is also known that he personally picked and purchased the land best suited to display spirit of 'kyung' philosophy while directing the bas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His attentions to details are evident in his choice of city, building site, and way he arrange his designs within the natural environment. Thus, we can safely presuppose the design of Do-San Sau-Dang was created following Toey-Gae's ideology in its buildings and environment. By examining Toey-Gae's philosophy of 'Kyung' through his writings, physical location and actual designs of Do-San Sau-Dang, we can understand how this ancient philosophical ideology and thoughts were translated to a physical form and its space. The study will also explore the importance of such ideology in the society at the time and how it influenced physical and mental activities of its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