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Motivation behind a Pilgrimage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and Desire for Revisitation: Examining Holy Places as Moderator Variables

대순진리회 수도인의 성지순례 참여 동기가 만족도와 재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 - 성지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04.17
  • Accepted : 2017.05.28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In Daesoon Jinrihoe (The Society of Daesoon Truth), pilgrimages can serve as a medium to experience and spread Daesoon Thou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uge the empirical impact that the motive of a pilgrimage has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articipant and the participant's willingness to revisit the holy place. This study further suggests a variety of propositions to promote pilgrimages and thereby Daesoon Thought. This study employs hierarchical analysis for measuring the correlation between all factors the pilgrimage can entail and also the moderator variables (holy places) in the pilgrimage. The study reveals that empirical motiv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a given participant's level of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visit said holy place. It is also revealed also that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holy pl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atisfaction and future revisitation. This study claims pilgrimages are a form of learning and cultural exchange which promotes Daesoon Thought that enables maturity of religious faith. Thereby, all stake holders in the Daesoon Jinrihoe community including clergy should increase their efforts to raise awareness and recognition of Daesoon Truth.

대순진리회의 성지순례는 대순사상을 체험하고 대순사상을 고취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순진리회의 성지순례 참여동기가 성지순례 만족도와 재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대순사상 고취와 성지순례 활성화 방안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은 성지순례 관련 요인 간 관계에 기초분석과 성지순례가치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적 동기가 성지순례 만족도와 재참여 의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종교적 가치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성지의 종교적 가치가 성지순례 참여 동기와 만족도 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성지순례 활성화를 위한 실천방안으로 성지순례가 대순사상 고취와 신앙성숙을 위한 또 다른 배움과 교류의 장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 수도인들이 성지의 가치에 대한 인식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동우. 임연진. 유영철. 서일권, 「은퇴 후 부부갈등 개선에 대한 여행 경험의 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4-1, 2011. http://uci.or.kr/G704-000789.2011.24.1.004
  2. 구본식, 「가톨릭교회의 성지순례」, 『가톨릭사항』 27, 2002.
  3. 권종현, 「기독교 성지순례관광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4. 권종현. 정익준, 「기독교 성지순례 참가동기, 성지매력속성, 성지순례 만족 및 행동의도의 관계연구」, 『관광. 레저연구』 19-4, 2007.
  5. 김경혜, 『서울 천주교 역사유적지의 세계유산적 가치』,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 김경희, 『기독교 성지순례 참가동기 및 매력속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7. 김상연, 『기독교 성지순례와 신앙성숙의 상관성 연구: 문헌 및 통계연구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8. 김상원, 『기독교 성지순례 여행상품 선호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2.
  9. 김성길, 「배움학에 관한 이론적 기초연구」, 『연세학술논집』 40-1, 2004.
  10. 김정희. 박은숙, 「성지순례 참가동기와 매력성이 성지순례 만족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38-3, 2013. http://uci.or.kr/G704-SER000009129.2013.38.3.002
  11. 김형길. 김재균. 김영숙, 「어린이 신앙교육의 가정과 교회 협력 방안: 자기결정성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로고스경영연구』 14-2, 2016. http://uci.or.kr/G704-SER000008831.2016.14.2.005
  12. 박은숙. 김귀자, 「인센티브 관광을 통한 참가동기가 매력성,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지순례관광을 중심으로」, 『컨벤션연구』 14, 2014. http://uci.or.kr/G704-SER000008985.2014.14.1.007
  13. 설혜심, 「중세 유럽에서의 순례의 대중성 분석」, 『영국연구』 1, 1998.
  14. 우수명, 『마우스로 잡는 SPSS for Windows 14.0』 서울: 인간과복지, 2007.
  15. 우혜란, 「동시대의 순례와 성지에 대한 고찰」, 『종교학연구』 27, 2008.
  16. 유승각, 「대순사상 고취를 위한 실천적 방안 연구」, 『대순사상논총』, 25, 2015. https://doi.org/10.25050/jdaos.2015.25.2.137
  17. 이병기,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에 의한 독서동기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2015. http://uci.or.kr/G704-000226.2015.49.3.020
  18. 이재수, 「한국정토신안 성지순례코스 개발 연구」, 『정토학연구』 15, 2011. http://uci.or.kr/G704-SER000009872.2011..15.002
  19. 임경미,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체험에 대한 평생학습적 의미』,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20. 최병용, 『최신 소비자 행동론』, 서울: 박영사, 1996.
  21. 최수형. 박민생. 이상진, 『조직행동론』, 대구: 대명, 2012.
  22. 허남진, 「대순진리회의 성지와 순례의 의미」, 『대순사상논총』 22,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2.0.539
  23.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50400.
  24. Cousineau, M., Religion in a changing world: comparative studies in sociology, Praeger Publishers, 1998.
  25. Deci E. L. & Ryan, R. M.,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University Rochester Press, 2002.
  26. Hames, M. P. A., "Localpilgrimage: An aid to spiritual growth a case study on weekend parish pilgrim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ancouver School of Theology, 2008.
  27. Pfaffenberger, B., "Serious pilgrims and frivolous tourists: The chimera of tourism in the pilgrimages of Sri Lanka", Annals of Tourism Research 10, 1983. https://doi.org/10.1016/0160-7383(83)90115-9
  28. Reader, Ian, "Pilgrimage growth in the modern world: Meanings and implications", Religion 39, 2007. https://doi.org/10.1016/j.religion.2007.06.009
  29. Reader, Ian, "Review Article -Local Histories, Anthropological Interpretations, and the Study of Japanese Piligrimage",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30(1-2), 2003. https://doi.org/10.18874/jjrs.30.1-2.2003.119-132
  30. Sawicki, W., Counsellor as pilgrim: Reflection embodied pilgrimage spirituality and counsellor development, A thesis submitted to the Faculty of S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ephen's College,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