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오상, & 강혜정. (2013). 지역특성을 반영한 농가소득 결정요인 분석. 농업경제연구, 54(2), 75-93.
- 김명환, 한석호, 조재성, 김태우, & 이창수. (2013).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KASMO 2013 운용.개발 연구.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수석, 김태곤, & 강혜정. (2006). 맞춤형 농정을 위한 농가유형 구분 연구.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정부. (1978). Markov Chain에 의한 경지면적변동 추정. 농촌경제, 1(3), 129-141.
- 김정호. (2007). 농가의 경제사회적 성격변화와 전망.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창환, 김성록, & 김소윤. (2016). 선형계획법에 의한 복합영농의 최적화 방안 -충남 서산시 A농가를 대상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3(2), 123-133
- 농림축산식품부. (2014). 쌀 관세화 이후 농가소득안정 및 쌀산업 발전대책. 세종: 관계부처 합동회의.
- 박민선. (2008). 한국농업의 구조변화 - 2005년 농업총조사 원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협동조합경영연구, 37, 1-28.
- 송해안. (2006). 쌀 전업농가의 지속적인 경영규모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19(4), 1463-1479.
- 우종현. (2002). 산업화이후 한국의 농업과 농가 경제의 변화. 지리학연구, 22, 29-40.
- 이소진, 최문식, & 김종안. (2016). 농업경영 리스크 요인분석: AHP와 IPA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3(3), 309-320.
- 이종상, & 김소윤. (2016). DEA를 이용한 농업 경영효율성 측정에 있어서 분석 단위. 농촌지도와 개발, 23(4), 441-448.
- 이헌목, 김병택, & 김휘승. (2005). 한국농업의 특수성과 중.소농 대책. 서울: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농업정책연구소.
- 장우석, 정남수, & 박기욱. (2008). 변화할당효과를 고려한 논 면적 예측 모형의 개발.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0(3), 83-89. https://doi.org/10.5389/KSAE.2008.50.3.083
- 정명채, 민상기, 민순철, & 송미령. (1997). 농업구조 개선과 중소농 대책.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채광석. (2012). 최근의 경지면적 변화 동향과 대응과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통계청. (2016). 2015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www.kosis.kr.
- 통계청. (2016). 농림어업조사. www.kosis.k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주간 농업.농촌 동향.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Bernhardt, K. J., J. C. Allen, & G. A. Helmers. (1996). Using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farms for conventional/alternative systems research.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18(4), 599-611.
- Dexter, K. (1977). The impact of technology on the political economy of agriculture.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28, 211-221. https://doi.org/10.1111/j.1477-9552.1977.tb00875.x
- Cochranem W. W. (2009). Farm prices, myth and reality.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Deaton, A. (1989). Rice prices and income distribution on Thailand: A nonparametric analysis. Economic Journal, 99, 1-37.
- Hardiman, R. T., R. Lacey, & Y. M. Yi. (1996). Use of cluster analysis for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farming systems on Qingyang Country, Central North China. Agricultural Systems, 33, 115-125.
- Livanis, G., C. B. Moss, V. E. Breneman, & R. F. Nehring. (2006). Urban sprawl and farmland pric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8, 915-929. https://doi.org/10.1111/j.1467-8276.2006.00906.x
- Lu, Q., & S. Miao. (2006). Farmer income differential on regions.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16, 199-202.
- Sinclair, L. S. (1957). Urbanization and the incomes of farm and nonfarm families in the south. Journal of Farm Economics, 39, 510-516. https://doi.org/10.2307/1234169
- Scotti, E. (2011). Evaluation of effects of direct support on farmer's income _ common agricultural policy evaluations. Brussel: European Commission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Cited by
- 우리나라 논의 지리적 입지특성과 축소지역 예측 vol.27, pp.2,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20.27.2.0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