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지면적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Inter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Population Migration, Crop Area, and Foreign Workers (지역 간 인구이동, 경지면적, 외국인 근로자의 관계 분석)

  • Seojin Cho;Heeyeun Yoo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40 no.2
    • /
    • pp.21-38
    • /
    • 2024
  •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population dynamics and cultivated land is crucial for promoting regional economic vitality and enhancing food security. While prior research often addressed population migration and changes in crop area separately, this study employs a Panel Vector Auto Regression Model to examine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regional population shifts, changes in crop area, and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in agriculture. The results reveal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influx and crop area, indicating a negative impact on each other. Moreover,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an expansion in crop area, particularly in field cultivation, significantly correlates with an increase in foreign worker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mutual influence of labor shortages and diminished land availability in agriculture, with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potentially offering a positive impact on addressing structural challenges in rural areas.

Adjustments of the Separate Ratio Estimator in the Survey of Cultivated Land Area (경지면적조사에서 분리비추정량의 조정)

  • Kim, Kyu-Seong
    • Survey Research
    • /
    • v.9 no.2
    • /
    • pp.151-166
    • /
    • 2008
  • This paper deals with the use of the separate ratio estimator in the survey of cultivated land area. As a kind of repeated survey conducted every year, this survey estimates the total cultivated land area by using the separate ratio estimator. When using the separate ratio estimation in the survey, we may face with some practical problems such as (i) changing population size over time, (ii) auxiliary variables taken zero values in some strata and (iii) changing stratification criteria due to sample redesign. In this paper, after investigating practical problems occurred in the survey we presented some adjusted separate ratio estimators to tackle such problems.

  • PDF

비농경지 잡초의 효과적인 방제방법 - 종류 많고 다년생잡초 우점경향 비선택성 토양처리제가 유효

  • 변종영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2 no.2 s.101
    • /
    • pp.47-51
    • /
    • 1991
  • 비농경지는 농산물과 임산물을 생산하는 농경지,임야등을 제외한 모든 공지를 의미하지만 잡초방제를 대상으로 보면, 택지, 공업용지와 도로, 고속도로, 철도, 학교 운동장, 공원 등이 포함되는 공공용지로 구분할 수 있다. 농경지는 국가경제가 발전될수록 계속 잠식되어 택지, 공장부지 및 공공용지로 이용됨에 따라 비농경지 면적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따라서 비농경지에 발생된 잡초방제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체계적으로 비농경지 잡초의 분포, 방제법 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잡초방제의 중요성과 관심도 매우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비농경지에서 발생되는 잡초의 종류 및 피해양상, 잡초방제의 특성과 제초제를 이용한 잡초방제법을 정리하여 보기로 한다.

  • PDF

Experimental Comparative Analysis of Terrestrial Lidar Data and Cadastral Data for the Calculation of the Slope Area of Highland Agriculture Region (고랭지 농업지역의 경지면적 산출을 위한 지상라이다 데이터와 지적성과의 실험적 비교 분석)

  • Lee, Ho-Hyun;Lee, Jung-Il;Oh, Min-Kyun;Lee, Kyung-Do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6 no.2
    • /
    • pp.137-153
    • /
    • 2016
  • The price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changed from year to year, the m ajor c ause o f price fluctuation is the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Materials which are mainly used in korean cabbage production volume is the forecast model, using the cadastral result, slope calculation is impossible to achieved. For this reason, this implies the drastic decrease of prices and the prediction of supply and demand of field crops that is cultivated in a highland slope area, this situation is being repeated. Therefore, the target area of this research is the slopes of high land, by using 2D and 3D Lidar data for the analysis of the cultivated area.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area to compare the data differences. The rate of change in the area of slope is quantitatively increasing presented by the regression model. An alternative methodology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alculated slope area using 2D is through cadastral map.

Establishment of Optimal Management Plans on Agricultural Groundwater Resources of the Yeosu County (여수시 농어촌지역 지하수자원 적정 관리방안)

  • Seo, Hyo Kyoung;Shin, Hyung Jin;Lee, Byung Sun;Lee, Gyu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82-282
    • /
    • 2020
  • 본 연구는 여수시 농어촌지역에 대하여 지하수 함양특성, 개발가능량 산정 및 오염부하량 등의 조사를 통해서 체계적인 지하수자원의 보전관리(안)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여수시 화양면, 소라면 2개 면을 포함하는 농어촌 용수구역(여소지구)으로, 여소지구의 총면적은 130.68 ㎢이며, 이 중 임야면적은 81.57 ㎢, 경지면적은 32.98 ㎢ 이고, 경지면적은 논 15.37 ㎢, 밭 17.42 ㎢, 시설재배 0.19 ㎢로 구성되어 있다. 여소지구의 30년 강수평균은 1,454.08 mm/년이며, 지하수 함양량은 국가지하수관리 기본계획(국토교통부, 2019) 및 전라남도 지하수관리계획(전라남도, 2009) 보고서를 참고하여 평균값인 11.28%로 산정한 결과, 21,279 천㎥/년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하수연보(국토교통부, 2018)의 세부용도별 이용량을 활용하여 지하수 이용량을 산정한 결과, 2,638.35 천㎥/년이었으며, 강수량, 함양률 및 면적 값을 고려하여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산정한 결과, 16,387.57 천㎥/년,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은 16.11%로 확인되었다. 여소지구의 질산성질소 항목은 총 181개소(경지면적 0.2 ㎢당 1점)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값은 6.67 mg/L이었으며, 농업용수 수질기준(20 mg/L)을 초과한 관정은 8개소(6%)로 확인되었다. DRASTIC을 이용한 오염취약성 지수는 평균값이 119.57점으로 나타나 오염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고·허가된 축사 시설을 기준으로 점오염원 조사결과, 단위면적당 시설수(오염원밀도)는 3.12 개소/㎢로 조사되었으며, 인구, 가축 및 토지이용 등 인자별을 고려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출한 결과,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은 75.30 kg/day/㎢로 확인되었다. 행정구역별로 7가지 지표를 반영하여 관심, 주의, 경계 및 심각 4단계로 기준을 설정하여 지하수관리 필요지역을 선정하였다. 수량 측면은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 단위면적당 이용량 및 관정밀 3가지 지표를 적용하였고, 수질 측면은 질산성질소 평균, 오염취약성 지수, 오염원밀도 및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 4가지 지표를 적용하여 선정하였다. 지하수관리 필요지역을 분석한 결과, 전체 18개 리 중에서 14개 리에서 수량관리 12개리에서 수질관리 필요지역이 나타났다. 수량관리 필요지역은 지하수 취수량 조정 및 관리 확충 등의 대책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수질관리 필요지역은 주변 오염원관리 및 수질검사 강화 등의 대책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zing the Economic Relevance of Climate Variables in the Agriculture of Gangwon-do (기후변수가 강원도의 농업에 미친 경제적 효과 분석)

  • Jeong, Jun-Ho;Kim, Kwang-Ba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2
    • /
    • pp.192-205
    • /
    • 2012
  • This study estimates how much climate variables affect the land price and acreage of rice paddy and dry farm field in agriculture with the case of Gangwon-do in Korea. To this end, we capitalize upon the Ricardian approach based upon the panel data on climate, soil and geography, farmland prices and acreage, other economic and social variables for 11 municipal units comprising Gangwon-do during the period of 1992-2010. Our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temperature variable has negative economic impacts on the price and acreage of rice paddy and dry farm field, confirming that the temperature variable is much significant than that of precipitation in global warming. On the other hand, the other determinants of farmland price and acreage are different with the type of farmland in Gangwon-do.

  • PDF

친환경농업 - 지력증진을 위한 종합적 토양개량과 미생물

  • Mun, Su-Hwan
    • 농업기술회보
    • /
    • v.47 no.3
    • /
    • pp.9-18
    • /
    • 2010
  • 농업이 모든 산업의 근간이며 인류의 생존을 좌우하는 필수적 식량생산 수단임을 말할 나위 없으나, 차츰 경지면적도 줄어들고 더욱이 화학비료 위주로 하는 농사법으로 인해서 지력이 저하된 관계로 심각한 농약공해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이때에 우리 다같이 이 점에 대해 구제책이 무엇인가를 독농가 여러분과 연구검토 해보고자 제한된 지면을 이용하여 대략적인 소견을 피력하고자 한다.

  • PDF

농경방식 바꾸도록 북한을 지원하자

  • Bu, Gyeong-Sae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7 s.350
    • /
    • pp.26-28
    • /
    • 1998
  • 식량부족에 따른 북한의 기아현상을 심각하다. 우리는 우선 긴급한 식량을 북한에 원조해 주어야 하겠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그들이 식량자급을 할 수 있도록 농업경영방식의 개선을 설득하고 협조하는 일이다. 현재 북한의 경지면적은 논과 밭의 비율만 다를 뿐 남한과 비슷하다. 북한의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북한에게 부족한 비료와 농약, 농기계 부속품 등의 우선 지원문제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해야 하겠다.

  • PDF

Analysis of Hydrologic Impacts by the Impervious Surface Change in the Farm Region (경지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유역 수문 영향 분석)

  • Kim, Hak-Kwan;Lee, Eun-Jung;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81-98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경지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유역 수문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안천유역의 경안 수위표 상류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유역의 수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대상유역의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수집하고 원격탐사기법 및 지리정보시스템 이용하여 경지 불투수면을 고려한 토지피복도 및 수치지형자료 등을 구축하여 SWAT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의 대상유역의 자료를 이용하여 유출량에 대하여 모형의 보정과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모형이 적용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지 불투수면 변화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시나리오에 따른 유역 수문 영향을 분석하였다. 총 유역 면적에 대한 시설재배지 면적 비율이 5.7%$^{\sim}$ 12.4%로 변화함에 따라 1.2%인 2002년 토지이용도를 이용한 모형의 모의결과에 비해 평균 유출량은 0.8%$^{\sim}$1.6% 증가하였으며, 지표 유출량과 측방 유출량을 포함한 직접유출량은 2.4%$^{\sim}$5.7% 증가하였으며, 이 중 지표 유출량은 5.7%$^{\sim}$14.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 유출량은 10.7%$^{\sim}$27.7% 감소하고 증발산량은 1.5%$^{\sim}$3.4%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