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명희 (2015). 학생들의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발달과 초등수학 교과서 내용구성에 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773-753.
- 남진영(2008). 수학적 지식의 구성. 서울: 경문사.
- 마민영 (2017). 중학생들의 일차함수에 대한 이 해와 발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임숙, 김흥기 (2002). 고등학교에서의 극한개념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2(4). 557-582.
- 양은경, 신재홍 (2014). 작도 접근 방식에 따른 중학생의 기하학적 특성 인식 및 정당화. 수학교육학연구, 24(4). 515-536.
- 이동근 (2017).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시간, 속력, 거리의 관계에서 평균속력에 대한 인식과 평균속력 함수 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동근, 안상진, 김숙희, 신재홍(2016). 거리함수와 속력함수에서, 거리와 속력의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표현의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18(4). 881-901.
-
이동근, 양성현, 신재홍 (2017). 자연상수 e 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지수함수
$y=2^x$ 의$x=0$ 에서의 순간변화율 구성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9(1), 95-116. - 이응석, 김진호(2016). 구성주의를 반영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지식 생성 수준 및 추론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수학교육, 19(1), 79-112.
- 임재훈, 홍진곤(1998). 조작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국성주의에서 구성의 의미와 과정. 수학교육학연구, 9(1), 299-312.
- 전영배, 노은환, 최정숙, 김대의, 정의창, 정찬식, 김창수 (2009). 미분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오류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545-562.
- 정연준 (2010). 미분계수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 학교수학, 12(2), 239-257.
- Boyer, C. (1959). 미분적분학사-그 개념의 발달. 김경화 역, 서울: 교우사.
- Confrey, J. (1990). What constructivism implies for teaching. In R. B. Davis, C. A. Maher & N. Noddings (eds.), Constructivist view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Monograph No. 4, pp. 107-12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Canobi, K. H. (2009). Concept-procedure interactions in children's addition and subtractio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02, 131-149. https://doi.org/10.1016/j.jecp.2008.07.008
- Eves, H. (1979). 수학사. 이우영, 신항균 역, 서울: 경문사.
- Glasersfeld, E. (1995). 급진적 구성주의, 김판수, 박수자, 심성보, 유병길, 이형철, 임채성, 허승희 역, 서울 : 원미사.
- Halford, G. S. (1993). Children'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mental model. Hillsdale, NJ: Erlaum.
- Hauger, G. S. (1995). Rate of change knowledge i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p. 49. Washington, D.C. : ERIC Clearinghouse microfiches. ED392598.
- Hiebert, J., & Lefevre, P. (1986).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in mathematics: An introductory analysis. In J. Hiebert (Ed.),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case of mathematics (pp.1-27). Hillsdale, NJ: Erlbaum.
- Klein, M. (1953). 수학, 문명을 지배하다, 박영훈 역, 서울: 경문사.
- Merriam, S. B. (1997). 질적 사례연구법. 허미화 역, 서울: 양서원.
- Maxwell, J. A. (2012).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Vol. 41). Sage.
- Miller, S. P., & Hudson, P. J. (2007). Using evidence-based practices to build mathematics competence related to conceptual, procedural, and declarative knowledge.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22(1). 47-57. https://doi.org/10.1111/j.1540-5826.2007.00230.x
- Orton, A. (1983). Studentʼs understanding of differenti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4, 235-250. https://doi.org/10.1007/BF00410540
- Rittle-Johnson, B., & Schneider, M. (2014). Developing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of mathematics. In R. C. Kadosh & A. Dowker (Eds.), Oxford handbook of numerical cognition (pp.1118-1134). Ms, UK: Oxford University Press.
- Schneider, M., & Stern, E. (2010). The developmental relations between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A multimethod approach. Developmental Psychology, 46, 178-192. https://doi.org/10.1037/a0016701
- Zandieh, M. (2000).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erivative.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8, 103-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