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the Box Office Performance in the Chinese Film Market: Focusing on Films Released in 2010~2014

중국 영화시장의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10~2014년 개봉 영화를 대상으로

  • 정결운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박경우 (동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 장병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7.02.22
  • Accepted : 2017.04.18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movies in the Chinese market in 2010~2014. A total of 499 movi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genre, actor/actress power, director power, sequel, remake, release period, award, online evaluation, distributor power, and production area were chosen as independent variables.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most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distributor power were found to affect box office performance of the movies.

본 연구는 중국에서 개봉된 영화의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중국 영화 시장의 2010~2014년도 흥행 100위권 내 영화 총 499편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종속변수로 영화 박스오피스 실적을 선정하였고, 독립변수로는 영화 장르, 배우파워, 감독파워, 속편, 리메이크, 상영시기, 수상경력, 온라인 평점, 배급사, 제작지역을 투입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장르, 수상경력, 속편, 리메이크, 상영시기, 제작지역, 감독파워, 배우파워(제2주연), 온라인 평점이 중국 개봉 영화의 박스오피스 실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평점과 속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영화시장을 대상으로 마케팅 및 제작 전략을 수립할 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정수, "국가와 시장 사이의 대중문화: 중국 영화 산업과 하세편(賀歲片)," 국제정치논총, 제55권 제1호, pp. 101-135, 2015.
  2. 黃冬虹, "中國電影產業發展現狀研究",[J]傳媒, 第17卷, pp. 14-16, 2014.
  3. 중국신문출판광전총국 영화관리국, 2010.
  4. 중국신문출판광전총국 통보, 2013.
  5. 중국신문출판광전총국 통보, 2014.
  6. 중국신문출판광전총국 통보, 2015.
  7. 김언군, 배기형, "중국 영화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 420-43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420
  8. 인홍, 김민우, "글로벌 배경 하에서 중국 영화산업 발전 추세," 아시아리뷰, 제3권, 제1호, pp. 31-52, 2013.
  9. 정행득, 이상호, "중국 영화산업의 성장과 한국 영화산업의 발전방안," 문화산업연구, 제16권 제2호, pp. 87-96, 2016.
  10. B. R. Litman, "Predicting success of theatrical movies: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 16, No. 4, pp. 159-175, 1983. https://doi.org/10.1111/j.0022-3840.1983.1604_159.x
  11. B. R. Litman and L. S. Kohl,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motion pictures: The'80s experience,"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 2, No. 2, pp. 35-50, 1989. https://doi.org/10.1080/08997768909358184
  12. 유현석, "한국영화의 흥행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3호, pp. 183-213, 2002.
  13. 이상모, 한국영화의 흥행변수별 트렌드분석 연구: 2002년대 전반기 흥행작품 을 중심으로, 중앙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4. 고정민, "미국영화와 한국영화의 흥행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문화산업연구, 제10권, 제2호, pp. 71-96, 2010.
  15. M. Fetscherin, "The main determinants of Bollywood movie box office sales," Journal of global marketing, Vol. 23, No. 5, pp. 461-476, 2010. https://doi.org/10.1080/08911762.2010.521117
  16. 주산산, 중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7. 胡小莉, 李波, 吴正鹏, "電影票房的影響因素分析," 中國傳媒大學學報: 自然科學版, 第1卷, pp. 62-67, 2013.
  18. 崔凝凝, 唐嘉庚, "基于回歸分析的中國電影票房影響因素研究," 江蘇商論, 第8卷, pp. 35-39, 2012.
  19. P. Kotler and W. Pfoertsch, Ingredient Branding: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New York: Springer. 2010
  20. 裴培, 蒋垠茏, "國内外電影票房影響因素分析," 合作经济与科技, 第2卷, pp. 18-21, 2014.
  21. 賈磊磊, "電影製片人制將取代導演中心制," 中國電影報, 第004版, 2005.
  22. 林汐璐, "粉絲電影受众行爲研究," 成都理工大學, 碩士學位論文, 2014.
  23. 김미현, 김수은, 최영준, "한국영화의 흥행 결정 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영화연구, 통권46호, pp. 31-56, 2010.
  24. K. L. Keller,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998.
  25. S. A. Ravid, "Information, Blockbusters, and Stars: A Study of the Film Industry," The Journal of Business, Vol. 72, No. 4, pp. 463-492, 1999. https://doi.org/10.1086/209624
  26. 杜思源, "電影票房的影響因素分析--基于中國大陆電影市场," 中國商贸, 第10卷, pp. 184-187, 2013.
  27. N. A. Pangarker and E. VdM Smit, "The determinants of box office performance in the film industry revisited," South Afric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Vol. 44, No. 3, pp. 47-58, 2013.
  28. 聂鸿迪, "中國電影票房的影響因素及其實证研究," 北京交通大學 碩士學位論文, 2015.
  29. 김창헌, "한국 수입 영화의 흥행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2002년 한국 영화산업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0. 허민회, 강필성, 조성준, "Predicting Box-office with Opinion mining reviews,"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 2013.
  31. D. E. Waldman and E. J. Jensen, Industrial Organizatio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2001.
  32. 2014-2015 중국영화산업연구보, 2015.
  33. 王錚, 許敏, "電影票房的影響因素分析--基於logit模型的研究", 經濟問題探索 第11期, 2013.
  34. 김상호, 한진만, "한국 영화의 흥행성과 결정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53권, 제1호, pp. 191-214, 2014.
  35. 박승현, 정완규,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 243-276, 2009.
  36. 劉嘉, "2014年國內電影市場綜述," 中國電影報 第002版, 2015.
  37. C. R. Berger and R. J. Calabrese, "Some exploration in initial interaction and beyond: Toward a development theory of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1, No. 2, pp. 99-112, 1975. https://doi.org/10.1111/j.1468-2958.1975.tb00258.x
  38. I. Ajzen and M. Fishbein,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0.
  39. 張琳, "2009-2011進口片網絡口碑與票房--以豆瓣電影. 時光網為例", 清華大學, 碩士學位論文. 2012.
  40. Y. Liu, "Word of mouth for movies: Its dynamics and impact on box office revenue," Journal of marketing, Vol. 70, No. 3, pp. 74-89, 2006. https://doi.org/10.1509/jmkg.70.3.74
  41. 구가인, 영화평점과 영화흥행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영화전문지 씨네 21을 중심으로, 중앙대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2. 고정민, "한국영화 흥행 요인에 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6권, 제4호, pp. 7-39, 2008.
  43. 박승현, 송현주, "영화의 흥행성과와 제작비 규모와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제51권, 제1호, pp. 45-79, 2012.
  44. 馬艶茹, 網絡口碑對於電影票房的影響研究--基於中國內地電影市場的實證研究, 首都經濟貿易大學 碩士學位論文, 2014.
  45. http://58921.com
  46. http://www.mtime.com
  47. http://piaofang.maoyan.com/?utm_source=mmaoyan
  48. https://movie.douban.com
  49. http://www.baidu.com
  50. 박철,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본 영화흥행요소 분석: 한국.중국.일본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 51-6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051
  51. C. Hoskins and R. Mirus, "Reasons for the US dominance of the International trade in television programmes," Media, Culture & Society, Vol. 10, No. 4, pp. 499-515, 1988. https://doi.org/10.1177/016344388010004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