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order to solve the traffic congest and environmental issues, small-cross section tunnel for small car only is increasing, but there is not standard for installation of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rmal environment and smoke in a small cross section tunnels with a large port exhaust ventilation system, the A86, the U-Smartway and the Seobu moterawy tunnel, Temperature and CO concentration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cross sectional area, heat release rate and exhaust air flow rate were analyzed by numer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unnel de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fire zone increases and the rate of temperature rise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heat release rat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exhaust air flow rat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exhaust air flow rate $Q_3+2.5Ar$ of the large port exhaust ventilation system, the temperature of the fire zone was 7.1 times for A86 ($Ar=25.3m^2$) and 5.4 time for U-smartway ($Ar=37.32m^2$) by Seobu moterway tunnel ($Ar=46.67m^2$). The CO concentration of fire zone also showed the same tendency. The A86 tunnels were 10.7 times and the U-Smartways were 9.5 times more than the Seobu moterway. Therefore, in the case of a small section tunnel, the thermal environment and noxious gas concentration due to the reduc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are expec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rate.
교통난 해소와 녹지공간의 확보를 위해서 도심지 소형차 전용 소단면 터널이 증가하는 추세이나 소단면 터널에 대한 방재시설 설치를 위한 기준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배기구 방식을 적용한 소단면 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열환경 및 유해가스(CO)의 농도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A86터널, 서울시에서 계획한 바 있는 U-Smartway터널, 서부간선터널을 모델로 하여 터널 단면적, 화재강도 및 배연풍량에 따른 화재시 터널내 온도 및 유해가스농도를 수치해석적인 방법으로 해석하고 비교 검토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터널 단면적이 감소하면 화원부의 온도는 증가하나 온도 상승률이 화재강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그러나 배연풍량 변화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한다. 대배 기구 방식의 배연풍량으로 Q3+2.5Ar을 적용하는 경우, 화원부 온도는 서부간선터널($Ar=46.67m^2$)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A86($Ar=25.3m^2$)은 7.1배, U-smartway($Ar=37.32m^2$)는 5.4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원부의 CO농도도 동일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서부간선터널 대비 A86터널은 10.7배 U-Smartway는 9.5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단면 터널의 경우, 단면적감소에 따른 열환경 및 유해가스농도는 단면적 감소율 보다 상당히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