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evaluation and analysis method of information system (IS) is studied from the system perspective, the user perspective, and the management viewpoint. The detailed analysis method performs qualitative evaluation by user questionnaire or expert opinion. In this study, Measures the productivity and the effect of build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In the previous study, qualitative productivity and universal effect indicators were used, but in this study, quantitative productivity indicators and indicators specific to administrative complaints were selected. KONEPS, an administrative service system, used electronic contract records and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ntermediate process. The information was converted into the number of days, and the productivity based on the input manpower was calculated. The effect analysis analyzed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civil affairs, which is the goal of the administrative work system. Each factor was divided into reflective structural variable and formal structural variable, and internal consistency and multi-collinearity were diagnosed. In order to verify the model, the influence of the work was set as a hypothesis,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method, the influence was measur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odel was analyzed by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path coefficient. Model validation methods are Chi-square (df, p), RMR, GFI, AGFI, NFI, CFI and GFI as indicators according to CFA.
정보시스템(IS)에 대한 평가분석 방법은 시스템관점, 이용자관점, 경영관점에서 연구되고 있다. 세부 방법으로는 이용자 설문이나 전문가의 의견에 의한 정성적 평가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분석 항목 중 행정업무시스템의 구축으로 얻어지는 생산성과 효과를 측정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정성적인 생산성 평가와 범용적인 효과지표를 제시하는 것과 달리 정량적인 생산성과 행정민원에 특화된 지표를 선정하였다. 대표적인 행정업무시스템인 나라장터를 대상으로 전자계약 실적과 중간과정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소요일수로 환산하고, 투입 인력에 따른 생산성을 산정하였다. 효과분석은 행정업무시스템의 목표인 민원관련 설문을 분석하였다. 기록된 정보에는 계약문서작성, 공문서처리, 전화통화량을 업무활동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설문항목에는 민원대응을 위한 수행영향, 업무편의, 목표달성 여부를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각 요인을 반영적 구조변수와 형성적 구성변수로 구분하고 내적일관성(internal consistency)과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을 진단하였다. 기술통계법에 따른 신뢰도 검증, 회귀분석을 통한 영향도 측정하고 다중회귀모델 경로계수로 모델을 분석하였다.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적방정식에서 활용하는 다중 확인적 요인분석(CFA)에 따라 Chi-square, RMR, GFI, AGFI, NFI, CFI 분석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