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행정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73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Building of the Next Generation Information System on Campus (대학의 차세대 정보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한 고찰)

  • Shin, Yo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269-27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정보시스템을 위한 대학 업무 프로세스의 재설계에 대하여 논의한다. 대학의 학사행정, 일반행정, 연구행정의 현재 업무에 대하여 분석하고 각 분야의 재설계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학사행정시스템은 차세대 구축 사업에서 가장 핵심적인 시스템으로, 학생의 학사일정에 대한 제반 업무를 재설계하며, 일반행정시스템은 조직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조직 상호간의 정보공유를 일원화함에 따라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도록 재설계하여야 한다. 연구행정시스템은 교수 개인별 자료를 시스템적으로 관리하여 연구행정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재설계한다.

  • PDF

A Research for Efficient Use of Statistics in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통계자료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방안 연구)

  • Son, Ji-Seong;Na, Hong-Seok;Kim, Chang-He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39-442
    • /
    • 2010
  • 교육행정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는 광범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교행정 지원 및 교육 정책 수립의 기초가 되는 자료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고도화된 설계 과정 없이 행정정보처리 수준에서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일선업무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 내에서 제공되는 각종 통계자료에 대한 현황 분석과 함께 활용 방안에 대한 요구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통계자료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제도적, 정책적 측면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가 교육행정정보시스템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및 개선방안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Current Status Analysis of Business Units and Retention Period Estimation related to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of Public Institutions (공공기관 행정정보시스템 관련 단위과제 및 보존기간 책정 현황분석)

  • Yoon, Sung-Ho;Yu, Sin Seong;Choi, Kippeum;Oh, Hyo-J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1 no.2
    • /
    • pp.139-160
    • /
    • 2020
  • Since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as enacted in 2007,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has already been included in the electronic records production system, and dataset has been subject to record management as a type of electronic records. With the recent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dataset records management has been enacted. This study analyzes business units related to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of public institutions and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retention periods estimation.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36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s from 49 public institutions among the direct management agencies of the National Archives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And we discriminated 824 business units related to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and divided into large and small groups according to types. We also compared the retention period estimation of record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in preparing the standard of administrative dataset management in the future.

행정전산화의 준비도와 기대효과에 대한 지방공무원들의 의식에 관한 연구

  • 손달호;임준식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4
    • /
    • pp.43-62
    • /
    • 1995
  • 지방자치제의 실시에 따라 지방행정 부서는 보다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게 되 고 이와 함께 정보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신속, 정확 및 원활한 정보제공의 필요성이 증대 하게 되었다. 따라서 행정정보시스템(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의 구축은 필연적이며, 이에 따라 행정전산화에 대한 공무원들의 의식구조도 능동적인 대처가 요청된 다. 본 연구는 행정전산화의 구축에 대한 준비도와 기대효과에 대해 설문 방법을 이용하여 지방공무원들의 의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공무원들은 동료직원과의 인간관계, 컴퓨터 관련 교육의 경험 및 전산화 장비의 보유정도가 행정전산화의 효율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남자공무원이고, 학력이 낮을수록 행정전산화에 대해 수 동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중간계층의 직급일수록 행정전산화의 효율화에 필요한 직접적인 요인들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함께 근무년한이 낮을수록 전산화와 직접적 으로 관계되는 요인들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반면, 근무년한이 높을수록 간접적인 요인들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제한된 지역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에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지역에서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An Efficient Enterprise Knowledge Portal System Model in Partitioned Network Environment (네트워크 분리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지식행정시스템 모델)

  • Cho, Sung-Ho;Son, Ji-Seong;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202-207
    • /
    • 2010
  • 정부의 지식행정시스템은 2001년 도입 이래 그 동안 각 기관의 실정에 맞게 많은 발전을 거쳐 사용자들이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시스템으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최근 정보보안(내부 자료 유출 방지, 해킹 피해 최소화 등)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네트워크를 업무망과 인터넷망으로 분리하는 네트워크 분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서 지식행정시스템은 시스템 분할의 기준이 없어 일방적으로 업무망에만 설치되는데 이렇게 될 경우 지식행정시스템의 일부 기능이 제한되고 사용자의 사용성이 떨어지며 외부 사용자는 접근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정보보안 강화라는 네트워크 분리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업무망에 있는 지식행정시스템을 업무망과 인터넷망에 분할하여 설치하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한데, 기존에 제안된 분할 방법은 분할 목적이 다름으로 인해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분리 환경에 맞는 새로운 시스템 분할 요인으로 외부사용자 참여도, 내부시스템 결합도, 인터넷 결합도를 제시하고 요인별 측정치에 따른 위치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분할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지식행정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식행정시스템에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식행정시스템 모델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분리환경에 따라 발생한 시스템의 제한된 기능의 정상화가 가능하고, 불가능했던 외부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불편함을 완화시킬 수 있다.

  • PDF

Improvement of a Schoo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 Introduction of Workflow System (학교종합정보관리 시스템의 개선: Workflow 시스템의 도입)

  • 정경환;김창용;남철기;배재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53-555
    • /
    • 2002
  • 초.중등학교에서 활용중인 종합정보관리 시스템 중에서 시설.장비관리 행정시스템은 교육청 단위로의 DB 통합과 전국단위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구축, 현장 적합도와 사용자 편이성 미흡 등의 이유로 사용이 중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재구축 또는 개정작업이 수반된다. 이러한 개정의 한 방안으로 워크플로우 시스템 도임을 검토하였다. 워크플로우 시스템을 시설.장비관리 행정시스템에 도입하여 운영함으로써 학교종합정보관리 시스템이 업무변화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A Design of Digital Authentication-based NEIS (전자인증기반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설계)

  • No, Seon-Jin;Chung, Il-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c
    • /
    • pp.1973-1976
    • /
    • 2003
  • 교육행정업무에 대한 전자적인 거래 흑은 각종 문서의 안전한 송 수신과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안전한 행정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안을 갖춘 인증체제를 도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PKI 기반 암호기술을 이용하여 전자인증기반의 교육행정정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세부거래에 대한 알고리즘은 비밀키, 키 친환 공개키, 개인 키 및 서명용 공개키 개인 키를 사용하였고 또 시스템 지원 기관의 서버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어서 업무담당자 및 관련자의 안전한 업무수행 보증과 국민에게 교육행정정보 및 민원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하는 교육행정정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인증모듈은 인증, 기밀성, 무결성, 부인봉쇄 서비스 통의 보안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 PDF

A Study on Database Design Model for Production System Record Management Module in DataSet Record Management (데이터세트 기록관리를 위한 생산시스템 기록관리 모듈의 DB 설계 모형연구)

  • Kim, Dongsu;Yim, Jinhee;Kang, Sung-hee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78
    • /
    • pp.153-195
    • /
    • 2023
  • RDBMS is a widely used database system worldwide, and the term dataset refers to the vast amount of data produced 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using RDBMS. Unlike business systems that mainly produce administrative documents,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generate records centered around the unique tasks of organizations. These records differ from traditional approval documents and metadata, making it challenging to seamlessly transfer them to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s. With the 2022 revision of the 'Public Records Act Enforcement Decree,' dataset was included in the types of records for which only management authority is transferred. The core aspect of this revision is the need to manage the lifecycle of records with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exploration into how to manage dataset with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As a result, this research aims to design a database for a record management module that needs to be integrated into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to manage the lifecycle of records.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SO 16175-1:2020, we are designing an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identifying and evaluating personnel management dataset. Through this, we aim to provide a concrete example of record management with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It's worth noting that the prototype system designed in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in terms of data volume compared to systems currently in use within organizations, and it has not yet been validated by record researchers and IT developers in the field. However, this endeavor has allowed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dataset and how they should be managed with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It has also affirmed the need for a record management module's database with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In the future, once a complete record management module is developed and standards are established by the National Archives, it is expected to become a necessary module for organizations to manage dataset effectively.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for Marine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 in case of Pusan - (해양행정 정보시스템의 구축방안 -부산시 중심으로 -)

  • 박민수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3 no.4
    • /
    • pp.705-714
    • /
    • 1999
  • Modem society is an information society.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marine information system and the analytical framework showing the study about if it is possible to construct marine information network and marine information system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developing and complete stage, marine informations organization must be constructed. Second, the marine information policy in future must be able to unify all the areas. Third, the marine information system in future must be able to unify all the information systems. fourth, marine information systems must consist of marine-travel area, fisheries area, marine industry area, port area.

  • PDF

Effect of the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NEIS) in Reducing Tasks (NEIS 교무업무시스템 활용에 따른 교원업무 효율성 분석)

  • Yoon, Mi-Ra;Sin, Su-Bum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346-351
    • /
    • 2007
  • 교육인적자원부는 교육행정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원 업무 환경 개선을 위하여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도입단계에서 시스템의 보안성 취약과 개인정보에 대한 해킹 우려 등의 이유로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이 정착되지 못하였으나 NEIS의 27개 영역 중 개인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교무/학사, 입(진)학, 보건을 분리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는 NEIS 교무업무시스템이 탄생하였다. 따라서 NEIS 교무업무시스템 활용하여 전자문서를 활용하여 이를 통한 교원업무가 경감되어 학교교육행정의 효율성을 모색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는 NEIS 교무업무시스템 활용에 따른 교원업무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시스템 개선점 도출 및 편리성이 증진되었고 업무조직의 효율적인 분장 및 업무승인을 전자결재로 시행함으로써 시간단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교원의 교무업무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교원 업무의 효율성도 증진시켰다. 또한 교무업무시스템의 활용으로 소요시간과 예산이 절감되었다. 교무업무시스템의 이러한 교원 업무 경감 효과에 비추어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무업무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네트워크 정비나 성능 좋은 컴퓨터가 확보되어야 하고 둘째, 업무 효율화를 위해서 시스템 내에서의 업무 승인 기능이 확대되어야 하며 교원의 업무경감 및 시스템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서 훈령을 학교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정비 보완해야 하며, 시스템 운영의 표준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