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study, 62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from November 3 to November 25, 2016 for workers who received more than one skill improvement training at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Factor analysis was done by removing 11 items out of 27 items and using the final 16 items, five factors were derived and the validity was confirmed with significance probability p = .000. Durbin-Watson values were 1.787 and 1.780,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skill enhancement training on job attitude of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were foun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ere consistency of contents (p <.05, ${\beta}=.434$) (P <.05, p = .328), and the sense of belonging was significant (p <.05, p = .338).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kill improvement training and the turnover attitude shows that the efficiency of method - job satisfaction (.311), efficiency of method - clarity of purpose (.350), efficiency of method - suitability of content (.771) - content fit (.467), job satisfaction - content fit (.191), but the sense of belonging was not correlated. Third,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urnover attitude according to years of service of technical improvement training at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kill improvement training on the attitude of turnover and its effectiveness.
본 연구는 한국폴리텍대학에서 기술향상교육훈련을 1회 이상 받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2016년 11월 3일부터 11월 25일까지 총 62부 설문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은 27개 문항 중 11개 문항을 제거 후 최종 16개 문항을 사용하여 5개 요인을 도출되었고 유의확률 p=.000로 타당성이 검증된다. 공선성 진단 결과는 Durbin-Watson 값은 각각 1.787, 1.780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폴리텍대학의 기술향상훈련이 이직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내용의 적합성(p<.05, ${\beta}=.434$)과 방법의 효율성(p<.05, ${\beta}=.328$)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소속감은 목적의 명확성(p<.05, ${\beta}=-.338$), 방법의 효율성(p<.05, ${\beta}=.394$)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술향상훈련과 이직태도 간의 상관관계는 방법의 효율성-업무만족도(.311), 방법의 효율성-목적의 명확성(.350), 방법의 효율성-내용의 적합성(.771), 목적의 명확성-내용의 적합성(.467), 업무만족도-내용의 적합성(.191)으로 나타났으나, 소속감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폴리텍대학의 기술향상훈련이 근속년수에 따른 이직태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대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기술향상훈련이 이직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성을 검증한 것에 연구의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