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on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From october $15^{th}$ to november 5th, 2016, data was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of 177 college students based on C province, two G provinces. Statistical analysis of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SPSS WIN 21.0. Results: career identity i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with self-esteem, and negatively related with depression (r=-.529, p<.001). Nursing students' verbal abuse i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with sexual violence (r=.615, p<.001), depression (r=.540, p<.001) and sexual violence and depression a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r=.299, p<.001) and depression and self-esteem a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r=-.390, p<.001).Variables that affect career identity include depression, self-esteem, grade, and whether they belong to a specific hospital. The total explanation of career identity was 52.2%.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 is needed to improve the career identity among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students to proactively seek abuse preventive measure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C도와 두 곳의 G도 등에 소재하는 종합대학의 간호대학생 177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15일부터 11월 5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을 사용하여 t-검정, ANOVA, Pearson's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multiple regression)분석을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우울(r=-.529,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들의 언어폭력은 성폭력(r=.615, p<.001), 우울(r=.540,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성폭력과 우울(r=.299,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우울과 자존감(r=-.390,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우울(${\beta}=-.377$, p<.001), 자아존중감(${\beta}=.443$ p<.001), 학년(${\beta}=.178$, p=.001), 소속병원유무(${\beta}=-.140$, p=.008)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에 대해 52.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는 간호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해 우울을 낮추고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아울러 우울을 야기할 수 있는 폭력경험을 줄이는 방안으로 실습 전 폭력예방 및 대처프로그램의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