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rends of Wearable Device Development for Infants

영유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 동향 조사

  • Keum, Bora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
  • Kim, Yumi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
  • Kim, Sook-Jin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 금보라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권유미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김숙진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7.05.28
  • Accepted : 2017.09.09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Because infants lack full communication skills and are not active main agents, nurturing and protection are essential. The value of smart devices that can help prevent potential threats and manage infant care is evaluated highly. This study offers basic research data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devices for infant and parents as well as to future planning.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literature materials and visual materials based on news articles, advanced research, and official websites of brands. The research ranges and subjects are wearable devices for infants that were released or will be released between 2014 and 2017. Wearable devices that help protect and manage infant care are roughly separated into clothing, accessory, and the like. In this study, four kinds of clothing products, six kinds of accessories products, and fifteen kinds of other products were researched and a total of 25 kinds of products were analyzed. Categories was made in accordance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main features, materials and the design of wearable devices for infants depending on the device features. Wearable devices for infants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must be based on a variety of suggestions in order to know best how to attach a sensor to an infant. From this study, the deduced trend analysis of wearable devices for infants can suggest new ways for follow-up studies as well as product development.

Keywords

References

  1. 고주영. (2013). 스마트의류: 사람, 의류, 컴퓨터.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17(3), 41-50.
  2. 권오진. (2015).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부모의 인식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나나. (2014. 11. 02). 영아 사망 10명 중 1명 '사인불명' 사망 원인 3위. KBS 뉴스. 자료검색일 2017. 4. 20, 자료출처: http://news.kbs.co.kr/news/view.do?ref=A&ncd=2959285
  4. 김대건. (2013).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향과 시사점. 방송통신정책, 25(21), 1-26.
  5. 김성지. (2013. 11. 06). 잘못된 수면습관, 영아 사망 높여. 경향신문. 자료검색일 2017. 4. 20, 자료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1061655372&code=900303
  6. 김영환, 정주훈, 이현아. (2015).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활용 연구동향 분석: 부작용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9(2), 137-159.
  7. 김옥심. (2015). 영아돌연사증후군(SIDS)에 대한 인식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1-11.
  8. 김형원. (2014. 07. 31). 아이의 물놀이 사고를 알려주는 똑똑한 밴드 '아이스윔밴드'. IT조선. 자료검색일 2017. 4. 20, 자료출처 http://it.chosun.com/news/article.html?no=2700189&sec_no=390
  9. 남미경. (2011). 신체기능 및 위치 측정 웨어러블제품 디자인 개발 현황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2), 160-171.
  10. 박소영. (2015).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희연, 김현석, 남고은. (2012).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아동 한글 교육. 한국 HCI학회 학술대회, 386-388.
  12. 서성은, 노정심. (2015). 스마트패션제품 개발 동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3(2), 1097-1115.
  13. 손용기, 김지은, 손종무, 정현태. (2015). 피부부착형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 동향. 방송과 미디어, 20(2), 54-63.
  14. 신동일. (2016). 영아사망실태와 영아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세아. (2015. 3. 17). '영아돌연사증후군' 수면 중 가장 빈번...안전하게 아기 재우는 방법은?. 키즈맘. 자료검색일 2017. 5. 11, 자료출처 https://kizmom.hankyung.com/news/view.html?aid=201503171635o
  16. 양경무. (2010). 한국인의 영아급사증후군과 사인불명소이급사의 위험인자와 빈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양진숙, 김주연. (2014). 뉴미디어 시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례분석 연구: 휴대형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2), 354-364.
  18. 유현진. (2016).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 중 피드백 방식 연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윤수인, 강혜승. (2010). 패션과 기술이 결합된 웨어러블 하이브리드 의류 분석. 디자인학연구, 23(3), 5-15.
  20. 이민경. (2012).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영아돌연사증후군(SIDS)에 대한 인식과 예방 실태 및 요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병호. (2012). 가정에서 유아의 스마트 기기 사용에 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6), 511-532.
  22. 이상일. (2017).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적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성과기대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윤석, 김은, 김범석, 김성윤. (2017). 영유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위치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154-1155.
  24. 임팩트. (2016). IoT로 주목받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전망 및 개발동향. 서울: 임팩트.
  25. 임현철. (2016).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멀티 디바이스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폰의 동시이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보성. (2015).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및 시장 동향. S&T Market Report, 26(1), 1-22.
  27. 편석준. (2016).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재 가치와 미래. 대한기계학회저널. 56(2), 47-50.
  28. 한국디자인진흥원. (2016). 디자인 트렌드: 4차 산업혁명의 스타트라인 2017. 경기 파주: 쌤앤파커스.
  29. 황성온, 황지온. (2016). 영유아 관련 스마트 기기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0(3), 299-317.
  30. 황태경, 손원경. (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와 중독경향성,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생애학회지, 4(1), 69-83.
  31. Allb. 자료검색일 2017. 4. 27, 자료출처 http://myallb.com/ko
  32. Aristotle. 자료검색일 2017. 4. 25, 자료출처 http://www.nabitablet.com/aristotle
  33. Arlo Baby Monitor. 자료검색일 2017. 4. 18, 자료출처 http://www.arlo.com
  34. Babyglow Hong Kong. 자료검색일 2017. 4. 13, 자료출처 http://www.babyglow.com.hk
  35. CES 2017. 자료검색일 2017. 5. 10, 자료출처 http://www.ces.tech
  36. CHO Alliance 편집부. (2015). 차세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전망과 핵심기술 개발동향. 서울: CHO Alliance.
  37. Cloudtot. 자료검색일 2017. 4. 25, 자료출처 https://dockatot.com
  38. D free. 자료검색일 2017. 4. 25, 자료출처 http://dfree.biz
  39. Fever Scout. 자료검색일 2017. 4. 24, 자료출처 http://feverscout.com
  40. Indiegogo. 자료검색일 2017. 4. 13, 자료출처 www.indiegogo.com/projects/iswimband-the-ultimate-drowning-detection-device#
  41. Infant pacifier thermometer. 자료검색일 2017. 4. 24, 자료출처 http://www.summerinfant.com/pacifierthermometer
  42. IoT. 자료검색일 2017. 4. 13, 자료출처 http://www.doopedia.co.kr
  43. iSwimband Personal Drowning Detection System for iOS. 자료검색일 2017. 4. 24, 자료출처 http://www.amazon.com/iSwimband-Personal-Drowning-Detection-Sunfish/dp/B00MTD2L58
  44. Kiddowear. 자료검색일 2017. 4. 18, 자료출처 http://www.kiddowear.com
  45. Lineable. 자료검색일 2017. 4. 27, 자료출처 http://www.lineable.net/koreanhome
  46. Mandy Velez. (2013. 9. 19). Sproutling's Wearable Baby Monitor Will Text Parents While Baby Sleeps. Huffpost. 자료검색일 2017. 4. 24, 자료출처 http:/www.huffingtonpost.com/2013/09/19/sproutling-baby-monitor_n_3948640.html
  47. Monbaby. 자료검색일 2017. 4. 24, 자료출처 http://monbaby.com
  48. OEKO-TEX. 자료검색일 2017. 5. 23, 자료출처 http://www.oeko-tex.com/en/business/certifications_and_services/ots_100/ots_100_start.xhtml
  49. Owlet Smart Sock & Baby Care. 자료검색일 2017. 4. 13, 자료출처 http://www.owletcare.com
  50. Pacif-i. 자료검색일 2017. 4. 24, 자료출처 http://www.pacif-i.io
  51. Pixie Scientific. 자료검색일 2017. 4. 13, 자료출처 http://www.pixiescientific.com
  52. Remi. 자료검색일 2017. 4. 25, 자료출처 http://www.indiegogo.com/projects/remi-the-all-in-one-sleep-companion-for-kids-smart#
  53. Smart Baby Nursery. 자료검색일 2017. 4. 13, 자료출처 http://mimobaby.com
  54. Smart Connect Cradle. 자료검색일 2017. 4. 25, 자료출처 http://www.fisher-price.com/en_CA/brands/babygear/products/4-in-1-Smart-Connect-Cradle-n-Swing
  55. Smart I-angel. 자료검색일 2017. 4. 27, 자료출처 http://www.easynhome.co.kr/kor/product/02_product/prod_3_view.php?PN=2&SN=3&page=1&idx=294
  56. Snoo Smart Sleeper. 자료검색일 2017. 4. 25, 자료출처 http://www.happiestbaby.com/pages/snoo
  57. Sproutling Baby Monitor. 자료검색일 2017. 4. 24, 자료출처 http://newatlas.com/sproutling-smartbaby-monitor-learn-behavior/33142
  58. Summer Infant, baby band. 자료검색일 2017. 4. 18, 자료출처 http://www.summerinfant.com/monitoring/wearables/babble-band
  59. Temp Traq. 자료검색일 2017. 4. 24, 자료출처 http://www.temptraq.com
  60. Toysrus, Mimo Smart Baby Monitor Starter Kit(3-6Months). 자료검색일 2017. 4. 18, 자료출처http://www.toysrus.com/product/index.jsp?productId=33321926&cp=62947056&parentPage=family
  61. Withings Home Plus. 자료검색일 2017. 4. 25, 자료출처 http://www.withings.com
  62. 4moms Moxi Stroller. 자료검색일 2017. 4. 25, 자료출처 http://www.4moms.com/mox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