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and Purchasing Conditions of Using Beauty Social Commerce

뷰티 소셜커머스 구매이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행동 연구

  • 홍수남 (부천대학교 뷰티융합비즈니스과)
  • Received : 2017.06.07
  • Accepted : 2017.12.04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nsumer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s of beauty service products based on recent consumer purchasing patterns utilizing social commerce. The research method looked at general character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test, correlation analysis, one 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nsumer awareness and purchasing status in the use of beauty social commerce of 228 research subjects in their 20s and 30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do. SPSS v. 21.0 was use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service quality, interaction, user convenience, and price were set as factors for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consumer perception in beauty social commerce. Second, as a result of studying consumer perception regarding beauty social commerce, interaction had the largest correlation while price, service quality, and user convenience followed. As a result of study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gender, user convenience had a larger correlation for female consumers than male consumers. Third, the following was the result of studying purchasing behaviors in beauty social commerce. Among diverse social commerce businesses, Pokemon was the most popular, while among the various coupons available, hair salons were most commonly purchased. The modal value for the number of times consumers used beauty service products was two times a month, and the most popular price ranges were 100,000 KRW or less and 100,000~200,000 KRW. Accordingly, it was observed that social commerce is receiving attention and being considered as the next generation for shopping in the beauty industry. This channel should be well utilized by related industries through the improv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which will lead to repurchases, and consequently result in becoming an actual means for sales in the beauty industry.

Keywords

References

  1. 권미윤. (2017). 웨딩관련학과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및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23(1), 152-161.
  2. 김기영. (2014). 뷰티산업에 소셜커머스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회지, 17(4), 25-30.
  3. 김민서. (2013). 소셜커머스 구매요인이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외식상품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민정. (2016). 미용.의료 소셜커머스 인식과 사용행동 및 개선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상은. (2014). 성인 여성의 소셜커머스를 통한 미용서비스 상품 이용형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피부미용과 네일아트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승희, 박경애. (2015). 소셜커머스의 패션상품 가격할인율이 혜택지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 선호, 경험에 따른 차이. 한국의류학회지, 39(1), 30-42. https://doi.org/10.5850/JKSCT.2015.39.1.30
  7. 노여진. (2015). 소셜커머스 헤어서비스 추구혜택이 불만족과 브랜드 및 서비스평가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닐슨코리아. (2016. 1. 26). 2016년 유통업계 물류 전쟁에서 '스마트'하게 승리하자. 자료검색일 2017. 5. 20, 자료출처 http://www.nielsen.com/kr/ko/insights/2014/2016-column-fmcg.html
  9. 대한상공회의소. (2015). 유통산업백서.
  10. 대한상공회의소. (2015). Retail CEO REPORT(18호), 최신 온라인쇼핑 트렌드와 대응전략: 온라인 쇼핑 2017년 전망.
  11. 류한석. (2011). 소셜커머스의 거부할 수 없는 매력. KT경제경영연구소.
  12. 마재호. (2015). 모바일 소셜커머스의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자특성과 소셜커머스 특성에 관한 연구: 인지부조화 조절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문성민, 한현우, 하효지. (2014). 소셜커머스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시각화 분석: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를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지, 13(6), 137-152.
  14. 박계희, 노여진, 김민선. (2015). 헤어미용 소셜커머스 추구혜택이 헤어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6(3), 91-100.
  15. 박선민. (2014).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피부미용 및 스파 서비스의 구매행동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2(1), 105-118.
  16. 뷰티한국. (2013. 10. 14). 티몬, 올해 누적 순매출 1000억 돌파. 자료검색일 2017. 5. 8, 자료출처 http://www.beautyhankook.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42
  17. 뷰티킹. (2017. 5. 8). 국내 최소 미용전문 소셜커머스. 자료검색일 2017. 5. 8,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beautyking00
  18. 서상우, 조윤진. (2014).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와 프라이빗 쇼핑몰을 이용하여 패션.뷰티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쇼핑가치. 한국의류학회지, 38(2), 161-174. https://doi.org/10.5850/JKSCT.2014.38.2.161
  19. 서주연. (2013). 소셜커머스를 활용한 피부관리실의 이용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서필선. (2015). 소셜커머스 쇼팽앱의 특성과 외식상품 쿠폰사용의 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식공간연구, 10(1), 29-50.
  21. 송정윤. (2013). 소셜커머스 피부미용쿠폰 사용자의 매장 재방문 요인분석. 동덕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송지준. (2012). SPSS/AMOS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p. 55.
  23. 신기종, 고일상, 최수정. (2017).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에서 고객만족의 결정요인과 구매후 행동 연구. 경영학연구, 46(2), 527-559.
  24. 신수연. (2017). 소셜커머스에서 20-30대 남성의 재구매 의도와 구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소셜커머스 특성과 소비자 개인 특성을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지, 25(1), 1-15. https://doi.org/10.7741/rjcc.2017.25.1.001
  25. 유소라, 김서희. (2016). 소셜커머스의 헤어상품 선택속성이 고객의 만족도 및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22(4), 792-799.
  26. 이몽영, 박연진, 황하성. (2015). SNS 이용동기와 유명인과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SNS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사나웨이보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지, 22(3), 51-82.
  27. 이민지, 정성지, 전양진. (2012). 소셜커머스를 통한 패션제품 구매자의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2), 63-74.
  28. 이아람(2012). 소셜커머스 구매요인이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및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유림. (2014). 미용 왁싱 산업의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임수현, 김민신. (2014). 남성들의 미용에 대한 관심과 화장품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4), 79-98.
  31. 임지은, 장미숙. (2013). 미용 소셜커머스에 대한 소비자 구매행동과 만족도. 한국미용학회지, 19(5), 874-883.
  32. 전윤미, 정지영, 고경숙. (2016). 독립.프랜차이즈 미용실 종사자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에 따른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6(3), 472-482.
  33. 조미나, 허지환. (2014). 소셜커머스 특성이 쇼핑 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8(3), 33-56.
  34. 조성호, 안대희, 임은순. (2012). 외식기업의 소셜커머스와 데일리 딜 서비스 가치가 소비자 신뢰와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지, 15(1), 155-176.
  35. 주찬희, 이영주. (2014). 소셜커머스에서 패션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4), 1-14.
  36. 추소원, 이미지. (2015). 소셜커머스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관여도가 만족과 재이용 및 구전의 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 서비스 소비자를 중심으로. 대한미용학회지, 11(3), 269-275.
  37. 홍수남, 이한주. (2014). 소셜커머스를 통한 뷰티서비스 구매요인이 고객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정보학회지, 15(6), 133-144.
  38. Assasel, H. (1983).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 (2nd ed.). (p. 566). Boston: KentPublishing Co.
  39. Body, D. M., & Ellison, N. B. (2008).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20-230.
  40. Polites. G & Karahanna. E. (2012). Shackled to the States Que: The inhibiting Effects of Incumbent System Habit. Switching Costs and Inertia on New System Acceptance. MIS Quarterly, 36(1), 21-42. https://doi.org/10.2307/4141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