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진주검무>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의 변화에 관한 소고

An Essay on the Change of Jinju Sword Dance after being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 투고 : 2015.09.07
  • 심사 : 2016.01.28
  • 발행 : 2016.03.30

초록

본 연구는 <진주검무>가 1967년 1월 16일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된 이래 변화되고 있는 모습과 그 변화의 특징 및 보존 전승의 현황을 파악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진주검무>가 대를 이어가면서 변화를 거듭했고, 그로써 현재의 춤을 정립하게 된 정황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진주검무>는 1967년부터 2015년 현재 3대째의 보유자를 인정하였다. 제1세대 보유자는 권번 기녀 출신 8인이 1967년 인정되었다. 보유자들 간의 불화와 일부 보유자의 사망, 개인적인 경제활동 등의 이유로 전승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전승교육과 활동의 구심점이 필요한 가운데 1978년 6월 21일에 성계옥이 제2세대 보유자로 추가 인정되었다. 비 기녀출신 성계옥의 활동 시기에는 <진주검무>의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가장 크게 보였다. 2009년 성계옥의 사망 후 제3세대 보유자는 김태연과 유영희로 2010년 2월에 인정되었다. 1966년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부터 2014년의 영상을 기초하여 비교한 춤과 그 주변의 변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주음악편성에 3세대 간 변화가 있었다. 1세대 영상(1970년)은 약 15분 공연했는데, 2세대 영상(2002년)는 25분여를 춤추도록 했다. 염불도드리 장단을 긴염불(상령산)로 해석하여 느리게 연주하였고, 본래 염불 15장단의 춤을 39장단까지 추가함으로써 시간을 길게 했다. 3세대(2013 2014년)에는 다시 15장단으로 환원된 춤을 추고 있다. 다만 긴염불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면서 1세대 때는 3분간 추었던 염불을 3세대에서는 5분여를 춤추고 있어서, 2세대로부터 느림을 추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춤 구성면에서 2세대에는 긴염불을 20여 장단 추가하면서 아(亞)자 모양의 춤 대형구성이 추가되었다. 3세대 공연에서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 춤사위 면에서 방석돌이 동작의 허리재기가 눈에 띄게 유연성을 잃어가고 있는 양상이다. 또 1장단의 시가가 늘어진 경향을 보인다.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당시 1967년에는 칼 목이 돌아가는 것을 사용했는데, 2세대 보유자에 의해 1970년대 말부터 현행과 같이 칼목이 돌아가지 않는 것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칼의 모양도 1966년의 "조사보고서"는 반월형의 뾰족한 모습인데, 현재와 같은 직선형 칼을 사용한 것은 1970년 영상에서부터 보인다. 전립과 전복, 한삼착용의 기본 양식은 변화가 없으나, 한삼 색동 배열이 "조사보고서"와 달라졌다. 또 남색치마를 입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진주검무>는 지정 이후 약 50년 동안 변화가 능동적으로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로 제2세대 성계옥 보유자를 주축으로 변화가 일어났다. 중요무형문화재의 전승과 보존이라는 명제에서 볼 때, 춤 종목은 장단과 춤의 조화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서 검무의 오랜 전통성을 보존 전승하려는 노력이 강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of Jinju Sword Danc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its preservation and succession after the designation as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2 in January 16th, 1967. In other words, this study understands the situation which has established the present state of after changes over generations. As of now. the year of 2015, the 3 generation holders have been approved since 1967. In 1967, 8 members of $1^{st}$ generation holders were selected from gisaengs of Gwonbeon. However, the succession training was incomplete due to conflicts among the holders, the deaths of some holders, and economic activities of the individuals. As the need of a pivot for succession training and activities was rising, Seong, Gye-Ok was additionally approved as the $2^{nd}$ generation holder on June $21^{st}$, 1978. Seong, Gye-Ok who had never been a gisaeng had dramatically changed with a lot of new attempts. After the death of Seong, Gye-Ok in 2009, Kim, Tae-Yeon and Yu, Yeong-Hee were approved as the $3^{rd}$ generation holders in February, 2010. Based on the resources including the "Cultural Research Report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1966 and videos up to 2014, the changes of the dance and surroundings are as follow. 1. The formation of musical accompaniment has been changed during the 3 generations. In the video of the $1^{st}$ generation(in 1970), the performance lasted about 15 minutes, whereas the performance lasted 25 minutes in the video of the $2^{nd}$ generation. Yumbuldoduri rhythm was considered as Ginyumbul(Sangryeongsan) and played more slowly. The original dance requiring only 15 rhythms was extended to 39 rhythms to provide longer performance time. In the $3^{rd}$ generation, the dance recovered 15 rhythms using the term Ginyumbul. The facts that Yumbul was played for 3 minutes in the $1^{st}$ generation but for 5 minutes in the 3rd generation shows that there was tendency pursuing the slowness from the $2^{nd}$ generation. 2. For the composition of the Dance, the performance included additional 20 rhythms of Ginyumbul and Ah(亞)-shaped formation from the $2^{nd}$ generation. From the $3^{rd}$ generation, the performance excluded the formation which had no traditional base. For the movement of the Dance, the bridge poses of Ggakjittegi and Bangsukdoli have been visibly inflexible. Also, the extention of time value in 1 beat led the Dance less vibrant. 3. At the designation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1967), the swords with rotatable necks were used, whereas the dancers had been using the swords with non-rotatable necks since late 1970s when the $2^{nd}$ generation holder began to used them. The swords in the "Research Reports" (in 1966) was pointy and semilunar, whereas the straight swords are being used currently. The use of the straight swords can be confirmed from the videos after 1970. 4. There is no change in wearing Jeonlib, Jeonbok, and Hansam, whereas the arrangement of Saekdong of Hansam was different from the arrangement shown in the "Research Reports". Also, dancers were considered to begin wearing the navy skirts when the swords with non-rotatable necks began to be used. Those results showed that has been actively changed for 50 years after the designation. The $2^{nd}$ generation holder, Seong, Gye-Ok, was the pivot of the changes. However, , which was already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s considered to be only a victim of the change experiment from the project to restore Gyobang culture in Jinju, and it is a priority to conduct studies with historical legitimacy. First of all, the slowing beat should be emphasized as the main fact to reduce both the liveliness and dynamic beauty of the D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숙, 2000, 진주 전통춤의 전승 및 발전 방향-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진주 전통춤의 전승 및 발전 방향- 무용예술학연구 제6집, 한국무용예술학회
  2. 김미숙, 2006, 朝鮮後期 晋州劍舞 硏究 한국무용연구 Vol.24 No.1, 한국무용연구회
  3. 김미영, 2007, 문학작품에 표현된 18세기 교방검무의 미적 특성 한국무용사학 6호, 한국무용사학회
  4. 김영란, 2006, 평양검무와 진주검무의 비교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영희, 2009, 한국 근대춤에서 검무의 변화 연구 한국무용사학 10호, 한국무용사학회
  6. 김천흥.박헌봉.유기룡, 1966,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18호: 진주검무, 서울: 문화재관리국
  7. 민태금, 1983, 진주 검무와 해주 검무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백경우, 2000, 이매방류 光州劍舞와 晋州劍舞에 관한 比較 硏究,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서지연, 2008, 진주검무의 춤사위 분석을 통한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성계옥.차옥수, 2002, 진주검무: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서울: 화산문고.국립문화재연구소
  11. 엄옥자, 1974, 嶺南劍舞의 춤사위 연구-통영, 진주 검무를 중심으로-, 경희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양지선, 2011, 진주교방춤의 현대적 전승,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왕진, 1997, 晋州劍舞.統營劍舞의 比較硏究,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재연, 1998, 진주검무의 연풍대 동작에 대한 運動學的 分析,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임수정, 2006, 한국 여기검무(女妓劍舞)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임수정, 2004, 한국의 검무, 劍舞 음악 연구 음악과 민족 No.28, 민족음악학회
  17. 장미, 2008, 진주 교방춤의 전승과 변화,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정말숙, 1987, 晉州, 統營, 海州劍舞의 比較硏究,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정수연, 2000, 文獻에 나타난 宮中劍舞와 각 地域 劍舞의 比較硏究,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정약용, 茶山詩文集
  21. 정현석.성무경 역, 2002, 교방가요, 서울: 보고사
  22. 차옥수, 1998, 晉州劍舞의 表現 技法과 춤사위 分析, 한국체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차옥수, 1981, 晋州劍舞의 動作과 Rhythm에 관한 考察 진주문화 No.2, 진주교육대학교 부설 진주문화권연구소
  24. 한동희, 1973, 르포타지 퇴기, 退妓) 월간중앙, 서울: 중앙일보사
  25. 국립문화재연구소 제작, 2002, <진주검무> 영상
  26. 동아일보, 1967.10.03, "중요무형문화재 및 보유자명단",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http://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Keyword.nhn#(2015.4.24 검색)
  27. 문화재관리국 제작, 1970, <진주검무> 영상.
  28. 문화재청, "진주검무 전승자정보", http://www.cha.go.kr/ccomBasi/ccomBasiJunsList.do?ccjuKdcd=17&ccjuAsno=00120000&ccjuCtcd=38(2014.11.9 검색)
  29. 이종숙 촬영, 2014, <진주검무: 중요무형문화재 공개행사> 영상
  30. 이종숙 촬영, 2013, <진주검무: 중요무형문화재 공개행사>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