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와 TPP협정의 비교분석을 통한 의약품 분야 국제통상규범에 대한 연구

The Pharmaceuticals Regime in the KORUS FTA and the TPP Agreement: A Comparative Analysis

  • 윤미경 (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
  • Yun, Mikyung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투고 : 2016.11.18
  • 심사 : 2016.12.10
  • 발행 : 2016.12.31

초록

본 논문은 한미FTA와 TPP협정을 비교분석하여 의약품 분야 국제통상규범이 어떻게 진화해가고 있는지 살펴본다. TRIPS협정 이후 양자 또는 지역 자유무역협정을 통해 자료독점 보장과 같은 의약품 분야의 지재권 보호 강화는 물론이고 의약품 판매 허가 및 약가 결정 방식 등 보건의료 제도 측면에서도 신약 개발자의 이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규제조화가 이루어져 왔으며, 그 전형적인 예가 한미 FTA와 TPP협정이다. 특히, 가장 처음으로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 규정을 도입한 TPP협정은 향후 모든 협정의 기준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PP협정은 한미FTA와 비교하여 의약품 분야 지재권 보호 정도가 전반적으로 더 강화되었다고 보기 어렵고, 부분적으로는 오히려 더 높은 정책적 유연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한국이 TPP협정 가입 협상을 하게 되거나 한미FTA를 재협상해야 한다면, 두 협정 간 이러한 차이를 잘 활용한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협상 전략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US FTA and the TPP Agreement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in international trade rules for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s well as public health related regulations have evolved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innovator drug companies. In particular, the TPP Agreement which adopted data exclusivity for biologics for the first time, will set the standard for the future. Apart from this however, the TPP Agreement has not gone further than the KORUS FTA and in some respects, even contains greater policy flexibilities and provisions for market access than the KORUS FTA. Korea should take advantage of such differences when and if she must engage in negotiations to join the TPP Agreement or a renegotiation of the KORUS FT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대중, 최 철, 배성윤, 오영호, 이난희, 조현민, "보건의료분야 시장개방 이슈와 대응방안 연구 - 한미FTA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2-02, 2012.
  2. 김현철,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 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법학논집, 제17권 제1호, pp. 225-240, 2012
  3. 데일리팜, 각호.
  4. 미래창조과학부, 생명공학백서, 2015.
  5. 박실비아, 강은정, 박은자, "한미 FTA 협상과 의약품 관리제도의 발전적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01, 2007.
  6. 박웅용 편, 영한대역 WTO협정, 법문사, 2006.
  7. 박인희, "바이오의약품의 허가-특허 연계제도",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논고, 제41집, pp. 325-352, 2013.
  8. 배호균, "Analysis on Intenrational Trade Flow of Medical Devices in Korea, China, and Japan," 통상정보연구 제14권 제4호, pp. 129-150, 2012.
  9. 박종돈, "한미FTA 협상 타결에 관한 양국간의 문제점 및 대응방안," 통상정보연구 제9권 제1호, pp.333-353, 2007.
  10. 보건산업진흥원, 2014 보건산업백서, 2014.
  11. 손경복,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과 의약품 관련 지식재산 및 제도: 협정문 내용 변화를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2권 제2호, pp. 99-117, 2016.
  12. 손경복, 이태진,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과 의약품 접근",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1권 제3호, pp. 1-31, 2015.
  13. 신유원, "바이오시밀러(Biosimilars) 시장동향분석", 보건산업브리프, 2015.10.5.
  14. 신혜은, "하권: 우리나라 제약산업 실정에 부합하는 한국형 허가-특허연계제도의 시행방안," 안암법학, 제43호, pp. 1083-1118, 2014.
  15. 약제비 적정화 방안 3년 평가와 대안 모색 토론회 자료집, 2009.12.17.
  16. 이유아, "우리나라 의료기기산업의 대중국 경쟁력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7권 제3호, pp. 93-114, 2015.
  17. 이한영, "한미FTA 협상전략의 특징 및 시사점: 기간 통신서비스 외자규제 사례를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9권 제2호, pp. 399-422, 2007.
  18. 장인규, "허가.특허 연계제도제도 시행 후 제네릭 의약품 특허회피전략 분석 - 국내 심판청구 사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제약산업학과 석사 학위논문, 2015.
  19. 전만복, "한미 FTA협상 참여 수기: 한미 FTA의 'Getting to Yes' - 균형 잡힌 눈사람론", Negotiations and Korea, pp. 21-22, 2008.
  20. 전만복, "한미 FTA, 보건의료분야의 협상과 대응(의약품‧의료기기 Working Group 협상을 중심으로), 한국보건행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후기), pp. 36-42, 2006.
  21. 조재신, 김병남, "한미FTA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 도입으로 인한 관련법 개정 및 그 영향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제26권 제1호, pp. 409-443.
  22. 주진열, "특허분쟁 화해계약과 독점규제법상 부당공동행위 문제 -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및 동아제약 사건(대법원 2012두24498 및 2012두27794 판결)에 대한 고찰", 인하대학교 법학연구, 제18권 제4호, pp. 195-224, 2015.
  23. Fair Trade Commission (FTC), "Emerging Health Care Issues: Follow-on Biologic Drug Competition", 2009.
  24. Grabowski, H., "Follow-on biologics: data exclusivity and the balance between innovation and competition",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7, pp. 479-488, 2008. https://doi.org/10.1038/nrd2532
  25. Inside US Trade, 각호.
  26. Lu, U., "Note: Biologics Price Competition and Innovation Act: Striking a Delicate Balance Between Innvoation and Accessibility", Minnessota Journal of Law Science and Technology Issue 15(1), pp. 613-651, 2014.
  27. Mahn, T., "Summary of Biologics Price Competition and Innovation Act", Fish and Richardson,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