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spect of Pray in Poetry of Kim, Dong Myeong

김동명 시에 나타난 기원 양상 연구

  • Published : 20160000

Abstract

Most critics classify Kim, Dong Myeong as a pastoral poet like ShinSeok-jeong. A cursory study of his writing makes this an obvious categorization. However, to examine the spirit of his literature closely, it needs to be looked at in the proper perspective. This study will determine why many forms of prayer permeate his poetry.His typical poems stemming from prayer are as follows: In the earlyperiod that marked his writing, it was his debut poem, If You Open theDoor to Me (To Baudelaire). In the middle period, they are: My Backyard, and My Heart Is. Especial y in Part Six-Ordeal of his poetry book Plantain, there are four poems: Prayer, No Title, In Front of the Virgin Mary, and Ordeal.In the final period, they are An Elegy, Democracy, Melancholy, A Lily and Choryang Station.Upon studying his life’s j urney, it becomes obvious why he was motivated to write poems of prayer. He was born in Gangneung in 1900 and died at the age of 68 in Seoul. He lived a life full of ups and downs;going through the ache of losing his country to Japan, the chaos after the Liberation Day, and a civil war caused by an ideological split. He lost his mother in 1931, as well as two wives in later years. Such a troubled history, as well as his own hardships, contributed to a feeling of loss. Such unusual losses contributed to the enervation of his intellect. Hisown pain and sad experiences influenced his poems’ motifs, making himrely on a god and searching for comfort through prayer. The prayers Choheo* so eagerly expresses through his poems are toovercome a dark reality. They rely on morality from a pure religion, andstrive towards an absoluteness of being. They are also a resurrection from relief, liberation, oppression and death, sometimes serving as a criticism of violence towards the weak. Loss and emotional scarring were nothis only motifs for writing these poems. Corrupt Korean political affairsaroused moments of self-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making it inevitable for him to turn towards poetic methods of prayer.

김동명 시인에 대해 대부분의 비평가들은 신석정․김상용과 함께 전원적이고 목가적인 시인으로 규정해 왔다. 이와 같은 시인으로 규정하는 그 자체만으로도 김동명 시인에 대해 충분한 문학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그의 문학정신이 온전하게 규명되기 위해서는 여러 측면에서 다양하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은 그의 시작품에서 기원의 시가 다수 발견된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 그에 따른 원인 규명에 있다. 초허의 기원의 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의 등단작이라고 말할 수 있는「당신이 만약 내게 門을 열어 주시면」을 대표적인 시로 손꼽을 수 있다. 중기에 쓴 시로는「나의 뜰」,「내 마음은」등이 해당된다. 특히 김동명 시집『파초』의「수난」편(6부)에는「祈願」을 비롯하여「無題」,「어머니」,「聖母마리아의 肖像畵 앞에서」,「受難」등 다섯 편이 실려 있다. 후기에 접어들면서 쓴 대표적인 시는「哀詞」,「民主主義」,「우울」,「白合花」,「草梁驛」등도 기원의 시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일제강점기의 시작품과 대혼란의 시기였던 8.15해방 이후의 시대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김동명 시인이 기원의 시를 쓰게 된 동기는 그의 삶의 여정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그는 1900년 강릉에서 태어나 향년 68세가 되던 해인 1968년에 서울에서 사망했다. 그의 일생을 뒤돌아보면 일본제국주의자들이 저지른 한반도 식민정책에 따른 국권상실의 아픔과 8.15해방 이후의 사회적 대격변기를 겪으면서 이데올로기가 불러온 민족상잔이라는 6.25를 직접 체험한 파란만장한 삶 그 자체이다. 그는 역사적인 와중에서도 개인적으로는 1931년에 어머니를 여의었으며, 첫째 부인과 둘째 부인마저 잃는 아픔을 가지고 있다. 이런 고난의 역사와 사적인 아픔은 당연히 그에게 큰 상실감을 안겨주었다. 어느 누구도 겪어보지 못한 상실감과 지식인으로서의 무기력함, 그리고 개인의 특별한 고통과 슬픈 체험은 그가 쓰는 시의 모티브로 작용했으며, 그것은 고스란히 나약한 인간으로서 절대자에게 의지하고 간청하는 기도의 방법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초허가 시작품을 통해 그토록 갈망하는 기원의 이유는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을 종교적으로 승화하려는 의지이며, 강자가 약자를 멸시하는 폭력에 대한 비판이었다. 그는 상실감과 아픈 상흔을 소재로 하여 시를 쓴 것만은 아니다. 해방 이후 부패한 한국 정치사회는 신지식인 그에게 일말의 성찰과 반성의 계기를 가져다주었고, 그것은 필연적으로 기도형식의 시작(詩作)을 부추기에 충분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