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the effect of Interdisciplinary Course of Design, Business and Literature : Focusing on Human Relations, Resource & Information U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학제간 융합수업의 핵심역량 향상 효과 분석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의사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 이상선 (국립한경대학교 디자인학과) ;
  • 김동민 (국립한경대학교 경영학과) ;
  • 서성은 (국립한경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
  • 박경문 (국립한경대학교 미래인재개발원)
  • Received : 2016.07.30
  • Accepted : 2016.09.28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Interdisciplinary course for improving the competency of collegiate Interpersonal & Cooperative Skills, Resources-Information-Technology Processing &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The course proved to be effective based on the result for examination of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of 43 students who took the interdisciplinary course and the control group of 44 students who did not take that course of the second semester of H university in 2015. The study applied the method of Paired-sample T-Te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Interpersonal & Cooperative Skills, Resources-Information-Technology Processing &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ir sub-skills between the two participant groups. As a result, Interdisciplinary course had an effect on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 Cooperative Skills and it's sub skills; however, it had no effect on improvement of Resources-Information-Technology Processing &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heir sub-skills. The results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nterdisciplinary course and core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hey suggest that interdisciplinary course design should be more careful to improve students' competency on Resources-Information-Technology Processing &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than before.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생 대상 학제간 융합 전공수업이 수강생의 대인관계, 자원 정보 기술의 활용, 의사소통 역량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제간 융합수업 수강생 43명을 실험집단으로, 융합수업과 관련이 없는 교과목 수강생 44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각 역량 및 하위영역의 역량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 내변화량 차이 대응표본 t-검정, 사후검사 집단 간 차이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제간 융합수업은 대인관계 역량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원 정보 기술의 활용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제간 융합수업 설계 시, 기존의 자원 정보 기술의 활용과 의사소통 역량 향상 활동에 대한 수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융합수업의 효과를 검증한 것으로서 핵심역량 기반 융합수업의 경험적 연구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영(2015). 대학생 대상 역량기반 진로교과목 운영의 효과. 취업진로연구, 5(2), 1-17.
  2. 고영준(2009). 실천적 개념으로서의 역량. 교육철학, 45, 1-26.
  3. 권순철, 김성봉, 이인회(2015).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 효과 분석. 교육종합연구, 13(1), 143-166.
  4. 김영희, 최보영(2013). 대학생의 핵심역량 육성을 위한 Action Learning에서의 경험과정 연구-근거이론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477-491.
  5. 김영희, 강문실(2015).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양교육연구, 9(4), 211-243.
  6. 김혜진, 김항중(2015). 창의성 교양 수업이 대학생의 성취동기, 학습몰입, 셀프리더십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교양교육연구, 9(1), 245-280.
  7. 박민정(2008).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8. 소경희(2009).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27(1), 1-20.
  9. 손유미, 송창용, 이현정(2015). 대학생 핵심역량 지원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과학기술부.
  10. 송영숙(2015). 대학생 일반핵심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AHELLO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HRD연구, 10(3), 109-131.
  11. 이명희(2012). 대학생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지도 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3), 79-102.
  12. 이상선(2013). 디자인학부생을 위한 UXD 학제수업 사례 연구-디자인학과, 미디어문예창작학과, 컴퓨터웹공학과 학제 수업을 중심으로-. 디자인융합연구, 12(2), 31-50.
  13. 이상선 외(2014). 디자인학과 공학 간의 PBL기반 융합교육 사례-준비과정, 수업운영, 결과물 그리고 성과를 중심으로-. 디자인융합연구, 13(2), 211-230.
  14. 이상선 외(2015). 학부과정의 다학제 융합 교과 수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수업 개선을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 40(1), 121-141.
  15. 이상선, 서성은(2016). 노답교실. 한경대학교 출판부, 안성.
  16. 이종재, 송경오(2007). 핵심역량 개발과 마음의 계발: 중용의 관점. 아시아교육연구, 8(4), 137-169.
  17. 윤정일 외(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18. 임철일(2006). 정보통신기술(ICT)의 교육적 활용 역량 개발을 위한 예비 교사 준비 교육프로그램 모형의 특성과 가능성. 교육공학연구, 22(4), 37-69.
  19. 진미석 외(2009).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체제 구축:(의사소통, 자원.정보.기술의 처리 및 활용, 종합적 사고력) 평가 문항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과학기술부.
  20. 진미석 외(2010). 2009년도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체제 구축.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학기술부.
  21. 진미석, 손유미, 주휘정(201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4), 461-486.
  22. 진미석 외(2012). 2013년도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K-CESA)구축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과학기술부.
  23. 최길성(2010). 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방안. 한국정보과학회, 37(2), 323-326.
  24. 한명아(2011). 대학생의 독서활동과 핵심역량간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5. Barrett, G.V. & Depinet, R. L. (1991). A reconsideration of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46(10), 1012-1024. https://doi.org/10.1037/0003-066X.46.10.1012
  26. Kafai, Y. B. (2006). Constructionism. In R. K. Sawyer (Ed.), The Cambridge Hanbook of the Learning Sciences (pp.35-46). Cambridge, MA: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McClelland, D.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28. Rychen, D. & Slganik, L. (2001).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Cambridge: Hogrefe & Huber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