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현대한옥의 유형 분류 -2000년 이후 건축가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Type Classification of Contemporary Hanok -Focusing on Architects' Designs since 2000-

  • 투고 : 2016.08.13
  • 심사 : 2016.10.11
  • 발행 : 2016.10.31

초록

Since the recent Hanok boom in Korea, Contemporary Hanok has been evolving in terms of structure, space, form, etc. To ge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iversified Contemporary Hanok, this paper aims at its type classification by analyzing architects' designs since 2000.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are two: (1) renovation [Re] or new construction [New]; and (2) degree of Contemporary Hanok's deviation from the traditional Hanok's standard - maintaining the traditional form [Main]; changing space within the traditional form [Space]; changing the traditional frame [Frame]; and juxtaposing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Combi]. From the two criteria, this paper deduced eight types of Contemporary Hanok, named respectively: Re-Main, New-Main, Re-Space, New-Space, Re-Frame, New-Frame, Re-Combi, and New-Combi, and studied their cases. It can be argued that various aspects of Contemporary Hanok and their critical meanings were well-investigated through this type classification and case-stud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 건축문화팀, 한옥건축 진흥을 위한 제도기반 구축 연구, 국토해양부, 2008
  2.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누구나 누리는 한옥: 2014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수상작품집, 국토교통부, 2014
  3. 김석철, DBEW디자인센터, 建築士, 441호, 2006.1., 38-45쪽
  4. 김현섭, 한국 현대건축의 진화, 그 보편성과 특수성 下, 건축문화, 364호, 2011, 158-161쪽
  5. 김현섭, 감각의 형식, 와이드 AR, 38호, 2014.3/4., 76-78쪽
  6. 민현식, 건축에게 시대를 묻다, 돌베개, 2006
  7. 새로운 한옥을 위한 건축인 모임, 한옥에 살어리랏다, 돌베개, 2007
  8. 송인호, 신한옥의 범주와 한옥건축 기술기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9
  9. 윤재신, 한옥의 진화,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2
  10. 이용희.김현섭, 최욱의 한옥 리노베이션에 나타난 전통과 현대 사이의 연속성 논의,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0권, 10호, 2014, 133-140쪽 https://doi.org/10.5659/JAIK_PD.2014.30.10.133
  11. 전봉희, 신한옥의 보급 활성화를 위한 현황과 과제, 건축역사연구, 18권, 5호, 2009, 151-159쪽
  12. 전봉희.권용찬, 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13. 조정구, 한옥 작업에 대한 소고 - 2001년에서 2006년 까지, 住居, 1권, 2호, 2006.12., 10-17쪽
  14. 천국천, 한옥의 진화, 그 다양성에 대하여 (1)-(10), 건축문화신문, 2015.11.-2016.9.
  15. 최욱, ONE O ONE architects, 서강총업출판사, 2008
  16. 한국내셔널트러스트, 우리집은 한옥이다,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07
  17. 황두진, 한옥이 돌아왔다, 공간사, 2006
  18. 황두진, 현대 주택으로서의 한옥: 가회동 동인재(同人齋), 建築, 51권, 1호, 2007, 83-85쪽
  19. 황두진, 가회동 엘(L) 주택: 한옥의 비판적 진화, 建築, 56권, 1호, 2012, 78-80쪽
  20. Anthony Vidler, Histories of the Immediate Present: Inventing Architectural Modernism, MIT Press, Cambridge MA,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