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38/JAH.2016.25.5.051

Type Classification of Contemporary Hanok -Focusing on Architects' Designs since 2000-  

Lee, Yong-Hee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Kim, Hyon-Sob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v.25, no.5, 2016 , pp. 51-6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Since the recent Hanok boom in Korea, Contemporary Hanok has been evolving in terms of structure, space, form, etc. To ge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iversified Contemporary Hanok, this paper aims at its type classification by analyzing architects' designs since 2000.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are two: (1) renovation [Re] or new construction [New]; and (2) degree of Contemporary Hanok's deviation from the traditional Hanok's standard - maintaining the traditional form [Main]; changing space within the traditional form [Space]; changing the traditional frame [Frame]; and juxtaposing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Combi]. From the two criteria, this paper deduced eight types of Contemporary Hanok, named respectively: Re-Main, New-Main, Re-Space, New-Space, Re-Frame, New-Frame, Re-Combi, and New-Combi, and studied their cases. It can be argued that various aspects of Contemporary Hanok and their critical meanings were well-investigated through this type classification and case-studies.
Keywords
Contemporary Hanok; Type classification; Tradition; Modern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토해양부 건축문화팀, 한옥건축 진흥을 위한 제도기반 구축 연구, 국토해양부, 2008
2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누구나 누리는 한옥: 2014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수상작품집, 국토교통부, 2014
3 김석철, DBEW디자인센터, 建築士, 441호, 2006.1., 38-45쪽
4 김현섭, 한국 현대건축의 진화, 그 보편성과 특수성 下, 건축문화, 364호, 2011, 158-161쪽
5 김현섭, 감각의 형식, 와이드 AR, 38호, 2014.3/4., 76-78쪽
6 민현식, 건축에게 시대를 묻다, 돌베개, 2006
7 새로운 한옥을 위한 건축인 모임, 한옥에 살어리랏다, 돌베개, 2007
8 송인호, 신한옥의 범주와 한옥건축 기술기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9
9 윤재신, 한옥의 진화,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2
10 이용희.김현섭, 최욱의 한옥 리노베이션에 나타난 전통과 현대 사이의 연속성 논의,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0권, 10호, 2014, 133-140쪽   DOI
11 전봉희, 신한옥의 보급 활성화를 위한 현황과 과제, 건축역사연구, 18권, 5호, 2009, 151-159쪽
12 전봉희.권용찬, 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13 조정구, 한옥 작업에 대한 소고 - 2001년에서 2006년 까지, 住居, 1권, 2호, 2006.12., 10-17쪽
14 천국천, 한옥의 진화, 그 다양성에 대하여 (1)-(10), 건축문화신문, 2015.11.-2016.9.
15 최욱, ONE O ONE architects, 서강총업출판사, 2008
16 한국내셔널트러스트, 우리집은 한옥이다,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07
17 황두진, 한옥이 돌아왔다, 공간사, 2006
18 황두진, 현대 주택으로서의 한옥: 가회동 동인재(同人齋), 建築, 51권, 1호, 2007, 83-85쪽
19 황두진, 가회동 엘(L) 주택: 한옥의 비판적 진화, 建築, 56권, 1호, 2012, 78-80쪽
20 Anthony Vidler, Histories of the Immediate Present: Inventing Architectural Modernism, MIT Press, Cambridge MA,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