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Representations of Irrational Numbers

예비교사의 무리수의 개념과 표현에 대한 이해

  • Received : 2016.08.10
  • Accepted : 2016.09.13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representations of irrational numbers. We classified the representations of irrational numbers into six categories; non-fraction, decimal, symbolic, geometric, point on a number line, approximation repres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couldn't relate non-fractional definition and incommensurability of irrational numbers. Secondly, we observed the centralization tendency on symbolic representation and the little attention to other representations. Thirdly, pre-service teachers had more difficulty moving between symbolic representation and point on a number line representation of ${\pi}$ than that of $\sqrt{5}$ We suggested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s should be learned in relation to various representations of irrational numbers.

본 연구는 수학적 표현이 개념적 이해를 형성하는 수단이라는 관점을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무리수 개념과 표현 방식에 대한 이해 정도를 조사하여 무리수 개념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무리수 개념과 표현, 다양한 표현, 표현간 번역 항목을 조사하는 검사도구를 예비교사 48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무리수 표현을 비(非)분수, 소수, 기호, 기하, 수직선, 함숫값 표현으로 범주화하여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무리수 정의의 비(非)분수 표현에 내포된 통약불가능성을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무리수의 다양한 표현 중에서 기호 표현에 집중 경향을 나타냈고, 다른 표현들을 상대적으로 간과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규칙성이 있는 비순환 무한소수에 대한 제한된 이해와 무한소수에 대한 일관성 있는 이해의 결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호 표현 $\sqrt{5}$에 비해 ${\pi}$를 다른 표현으로 번역하는데 더 큰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pi}$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가무한의 관점이 드러나기도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무리수 개념 지도는 무리수 정의와 표현의 관계, 다양한 무리수 표현의 이해, 무리수 표현간의 번역에 중점을 두어 지도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07).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8) 수학과 교육과정.
  2. 김부윤, 정영우 (2008). 중학교에서의 무리수 지도에 관하여. 한국수학사학회지, 21(1), 139-156.
  3. 김영국 (2008). 수학적 표현의 교수학적 의의.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7(2), 155-168.
  4. 박달원 (2007). 무한소수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2), 237-246.
  5. 변희현(2005). 소수 개념의 교수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이선비 (2013). 예비 중등 교사들의 무리수에 대한 이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3), 499-518.
  7. 이영란, 이경화(2006).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 지도론에 따른 무리수 개념 지도 방법의 적용 사례. 수학교육학연구, 16(4), 297-312.
  8. 이지현 (2015).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을 넘어서: 실수가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수학교육학연구, 25(3), 263-279.
  9. 장혜원 (1997). 수학학습에서의 표현 및 표상에 관한 연구: 표상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Arcavi, A., Bruckheimer, M., & Ben-Zvi, R. (1987). History of mathematics for teachers: The case of irrational number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7(2), 18-23.
  11. Cuoco, A. (Ed.). (2001). The roles of representation in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2. Fischbein, E., Jehiam, R., & Cohen, C. (1995).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 in high school students and prospective teacher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9, 29-4. https://doi.org/10.1007/BF01273899
  13. Janvier, C. (1987).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The notion of function as an example. In C. Janvier (Ed.),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67-72). Hillsdale, NJ: Erlbaum.
  14. Lamon, S. J. (2001). Presenting and representing: From fractions to rational numbers. In A. Cuoco (Ed.), The roles of representation in school mathematics (pp. 146-16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5. Lesh, R., Behr, M., & Post, M. (1987). Rational number relations and proportions. In C. Janvier (Ed.),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41-58). Hillsdale, NJ: Erlbaum.
  1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7).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17. Peled, I., & Hershkovitz, S. (1999). Difficulties in knowledge integration: Revisiting Zeno's paradox with irrational number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0(1), 39-46. https://doi.org/10.1080/002073999288094
  18. Sirotic, N., & Zazkis, R. (2007a). Irrational numbers on the number line -where are they?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8(4), 477-88. https://doi.org/10.1080/00207390601151828
  19. Sirotic, N., & Zazkis, R. (2007b). Irrational numbers: The gap between formal and intuitive knowledg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5, 49-6. https://doi.org/10.1007/s10649-006-9041-5
  20. Zazkis, R., & Sirotic, N. (2010). Representing and Defining Irrational Numbers: Exposing the Missing Link.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16.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1. Zazkis, R., & Gadowsky, K. (2001). Attending to transparent features of opaque representations of natural numbers. In A. Cuoco (Ed.), The roles of representation in school mathematics (pp. 44-5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