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튼튼하고 안전한 다리 설계'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 및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Titled 'Designing Safe and Strong Bridge' on the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Career Orientation, and Leadership of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 투고 : 2016.08.10
  • 심사 : 2016.09.28
  • 발행 : 2016.09.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튼튼하고 안전한 다리 설계'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 및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3단계의 영재선발 과정을 통해 선발된 경기도 소재 C고등학교 부설 영재학급의 고등학교 2학년 19명이다. PB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14차시에 걸쳐 적용하기 전과 후에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 리더십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후에는 추가로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7개 하위영역중 개방성을 제외한 6가지 영역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PBL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 진로지향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과학 진로지향도 4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PBL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리더십 전체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리더십의 1차 요인인 개인 내 특성과 개인 외 특성에서도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생들의 사후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소그룹으로 PBL 문제해결과정에서 대인관계능력, 타인과 공동체 배려, 과제 책임감, 비전과 자신감 등 2차 요인 전 영역이 고르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a Problem-Based Learning (PBL) program titled(called) 'Designing Safe and Strong Bridge' effect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scientific career orientation and leadership. The participants were 19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in C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y were selected by participation in the tri-level gifted students identification step. Before and after 14 units of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ke tests about scientific attitude, scientific career orientation and leadership and to write a review about the PBL program at the en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scientific attitu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BL program (p<.05). In the sub-domain of this area, six parts excluding the part of openness were significantly developed. Second, the degree of scientific career orient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BL program (p<.05). All 4 sub-domains in the degree of scientific career were significantly developed. Third, all of leadership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BL program (p<.05). In the first factor, the parts of inner and inter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eveloped. According to their post-program opinions, participants developed in terms of all the secondary factors, such as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groups, responsibility for the task, confidence and vision, during the process of PBL problem-solving in the small group work.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애 (2003). PBL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
  2. 강인애, 이민수, 김종화, 이인수 (1999).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의 개발 사례: 초등, 고등, 대학교의 경우. 교육공학연구, 15(1), 301-330.
  3. 강인애, 정준환, 정득년 (2011). PBL의 실천적 이해. 서울: 문음사.
  4. 고현덕 (2007). 중학교 영재학생의 Self-Leadership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5. 김경희, 조연순 (2008). 문제중심학습(PBL)의 수업 단계별 학습활동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 탐색: 초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1(1), 269-296.
  6. 김미숙, 전미란 (2006). 영재의 리더십 구성요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한국교육학회, 44(1), 221-245.
  7. 김미숙, 박효정, 박춘성, 손은영, 전미란, 유효현 (2006).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II): 리더십 검사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김수겸, 유미현 (2012).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222-1241.
  9.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10. 노현아, 최재혁 (2015).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영재들의 과학진로지향에 주는 영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5(4), 493-509.
  11. 박성익 (2009). 영재 교수-학습 모형.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편). 영재교육학원론 (pp.181-214). 서울: 교육과학사.
  12. 신명렬, 이용섭 (2011). PBL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20-31.
  13. 신세인, 하민수, 이준기 (2016). 고등학생들을 위한 이공계 진로동기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75-86.
  14. 심재영, 박은영 (2003). 과학 영재의 진로의식 변화 연구: 1996년-2003년. 영재교육연구, 13(2), 95-112.
  15. 양규모, 김정섭 (2010). 초등 영재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이 리더십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0(3), 743-765.
  16. 유미현 (2008). 과학영재의 사회.정의적 특성과 과학관련 인식 향상을 위한 '과학자 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7. 윤원희 (2006).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8. 윤진, 박승재 (2003). 과학 관련 진로 선택 과정의 구조 방정식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17-530.
  19. 윤혜경, 김형석, 정형식, 김정연, 김명순 (2006). TV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학교 과학 진로교육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18-526.
  20. 이신동, 고운정 (2010). 영재교육의 최근 이슈에 대한 논의.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5, 189-218.
  21. 이원경 (2012). 문제중심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교과 통합양상의 분석- 초등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2. 이종두 (2000). 초등학교 수학과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 설계 및 적용 사례 : 지식구성자로서의 아동과 그 과정에 나타난 수학적인 생각의 유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3. 이재호, 최승희 (2014). 초등정보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발달 및 직업관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영재교육연구, 24(4), 613-628.
  24. 이지애, 박수경, 김영민 (2012). 과학영재의 이공계 대학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15-29.
  25. 장성진, 정미선, 박원혁 (2005).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적용 효과-생물의 특성을 주제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12.
  26. 전도근 (2001). 웹기반 문제 중심 학습(PBL)을 통한 사고력 신장: 고등학교 일반사회(상) 사회문제. 열린교육실행연구, 4, 253-286.
  27. 전미란 (2008). 영재학생의 리더십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및 인식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28. 조석희 (2004). 영재교육 백서.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9. 조석희, 김홍원 (1999).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0. 조연순 (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1. 조연순, 우재경 (2003). 문제중심학습(PBL)의 이론적 기초. 교육학연구, 41(3), 5-27.
  32. 조혜진, 김은진, 이형철 (2011). e-PBL을 활용한 과학 독서 논술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74-82.
  33. 최병연 (2013). 창의성 신장 기법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초등영재의 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2(1), 163-188.
  34. 최은열, 문성환 (2010).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PBL 기반 과학영재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연구, 14(2), 411-431.
  35. 최정임, 장경원 (2010). PBL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36. 하정문 (2008). 문제중심학급(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37. Akinoglu, O., & Tandogan, R. O. (2007). The effects of problem-based active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titude and concept learning.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3(1),71-81. https://doi.org/10.12973/ejmste/75375
  38. Barrows, H. S. (1986). A taxonomy of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s. Medical Education, 20(6), 481-486. https://doi.org/10.1111/j.1365-2923.1986.tb01386.x
  39. Griggs, S. A., & Dunn, R. (1984). Selected case studies of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go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28(3), 115-119.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304
  40. Imafuku, R., Kataoka, R., Mayahara, M., Suzuki, H., & Saiki, T. (2014). Students' experiences in interdisciplinary problem-based learning: A discourse analysis of group interactio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8(2), 1-19.
  41. Horak, A. K. (2013). The effect of using problem-based learning in middle school gifted science classes on student achievement and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quality. Ph. D Dissertation. George Mason University.
  42. Karnes, F. A., & Bean, S. M. (1996). Leadership and the gifted.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29(1), 1-12.
  43. Karens, S. A., & Stephens, K. R. (2008). Achieving excellence education the gifted and talented. Old Tappan, NJ: Pearson Education Inc.
  44. Pace, L. (2013). Beginning R: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Programming. New York: Apress Publisher.
  45. Pfeiffer, S. (2001). Emotional intelligence: Popular but elusive construct. Roeper Review, 23(3), 138-143. https://doi.org/10.1080/02783190109554085
  46. Renzulli, J. S., Smith, L. H., & White, A. J. (1997).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ning Center.
  47. Stepien, W., Gallagher, S. A., & Workman, D. (1993). Problem-based learning for traditional and interdisciplinary classroom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6(4), 5-17.
  48. Widyatiningtyas, R., Kusumah, Y. S., Sumarmo, U., & Sabandar, J. (2015). The impact of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to senior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s critical thinking ability. Indonesian Mathematical Society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6(2), 3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