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PA 기법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Recipients' Perception for Education Program using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투고 : 2016.06.09
  • 심사 : 2016.09.28
  • 발행 : 2016.09.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IPA 기법을 활용하여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이 경험한 교육프로그램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과학영재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교육 수혜자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교육프로그램 개선 사항을 탐색하기 위해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은 대체로 기존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보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 급에 따라 요구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유형에 차이가 있었다. 즉, 초등학교 단계일수록 현장견학, 캠프 등 체험 중심의 교육, 중학교 단계는 탐구활동 중심의 교육, 고등학교 단계는 연구 중심의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영재들의 진로탐색이나 리더십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학교 급에 관계없이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착수효과를 고려하여 과학영재들이 요구하는 교육프로그램 유형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ience gifted education recipients' perception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garding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explore reinforcements and improvements for providing an education program to meet the needs of science gifted.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n questionnaire and conducted a survey of 288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receiving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20.0 in order to analyz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hich recipients perceived, paired t-test was conducted. Moreover, to investigate improvements for education program,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as conducted. We deduced the following from the analysis. The performance is in general lower than the importance which recipients perceived regarding experienced education program. There was a differential needs in the type of education program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In other words, they were perceived 'education based on experiences' as effectiv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ducation based on inquiry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education based on research activities 'for high school students. But, career education and leadership program was included in domain of urgent improvement regardless to the school level. This study has different signification from previous research in that was analyzed gifted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splashdown eff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석 (2010). IPA 방법에 의한 사이버대학 운영에 대한 중도탈락자의 인식 및 재학생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개선사항의 우선순위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6(4), 481-503.
  2. 김경대, 심재영 (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3. 김성춘 (2009).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연구: 강릉원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을 중심으로. 과학영재교육, 1(2), 17-32.
  4. 김소연, 이신동 (2009).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8(3), 63-88.
  5. 김영옥, 맹희주 (2015).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25(6), 799-815.
  6. 김옥환, 조붕환 (1998).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 수준과 기초적성 및 학업 흥미와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9, 123-144.
  7. 김윤화, 김현주 (2010). 지역 교육청 영재교육원 중학생들의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192-205.
  8. 김정민, 심규철 (2008). 과학영재들을 위한 과학적 연구 기반 사사교육 프로그램 분석 연구. 국제과학영재학회지, 2(1), 71-77.
  9. 노현아, 최재혁 (2015).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영재들의 과학진로지향에 주는 영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5(4), 493-509.
  10. 미래창조과학부 (2013).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13-'17).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11.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13(3), 159-185.
  12. 안도희, 한기순, 김명숙 (2009).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과 정의적.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중.장기적 효과. 영재교육연구, 19(2), 279-302.
  13. 안형준 (2016). 미국의 고급 과학기술인력 확보를 위한 이민정책 개혁. 과학기술정책, 26(3), 4-7.
  14. 양태연, 박상우, 박인호, 한기순 (2005).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통해 본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의 관계와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84-296.
  15. 이정희 (2011). 수학 영재 교육프로그램의 초 ․ 중등 연계성 및 만족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6. 이지애, 박수경, 김영민 (2012). 과학영재의 이공계 대학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15-29.
  17. 이희권 (2009). 영재 교육 정책: 어제와 오늘. 서울: 박학사.
  18. 임수원, 이혁기, 권기남 (2013). IPA 분석을 통한 대학 스포츠 리그제 활성화 방안. 체육과학연구, 24(4), 732-742.
  19. 정현철, 류지영, 허남영, 백민정, 이종열, 김미진 (2013). 미래 창조경제에 기여할 과학영재 발굴.육성 방안 연구.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20. 정현철, 류춘렬, 박경진, 최진수, 윤은진 (2015). 국제과학 올림피아드 활성화 방안 연구.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21. 최영출, 박수정 (2010). 시스템 사고를 활용한 지역 교육청 기능 전환 정책의 정책 지렛대(Policy Leverage) 분석.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11(1), 85-102.
  22. 한국교육개발원 (2015). 2015 영재교육 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3. 한기순 (2006).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5(1), 109-129.
  24. Ginzberg, E. (1972). Restatement of the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20(3), 169-176.
  25. Hawes, J. M. & Rao, C. P. (1985). Using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o develop health care marketing strategies.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5(4), 19-25.
  26. Kelly, K. R. & Colangelo, N. (1990). Effect of academic ability and gender on career development.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Gifted, 13(2), 168-175. https://doi.org/10.1177/016235329001300205
  27. Maker, C. J. & Nielson, A. B. (1996).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learners(2nd ed.). Texas: Austin.
  28. Martilla, J. A. & James, J. 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29. Matthews, D., Foster, J., Gladstone, D., Schieck, J., & Meiners, J. (2007). Supporting professionalism, diversity, and context within a collaborative approach to gifted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17(4), 315-345. https://doi.org/10.1080/10474410701634161
  30. O'Neill, M. A. & Palmer, A., (2004).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 useful tool for directing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higher education. Quality Assurance in Education, 12(1), 39-52. https://doi.org/10.1108/09684880410517423
  31. Stake, J. E. & Mares, K. R. (2005). Evaluating the impact of science-enrichment programs on adolescents' science motivation and confidence: The splashdown effe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2), 359-375. https://doi.org/10.1002/tea.20052
  32. The White House. (2016, January 28). The president's action to promote high-skill immigration. Retrieved from https://www.whitehouse.gov/blog/2016/01/28/presidents-actions-promotehgh-skill-immi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