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산간분지 지형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Landform Recognition of Daegu City as an Intermontane Basin

  • 이재하 (경북대학교 사회과학 지리학과)
  • Lee, Jaeha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6.26
  • 발행 : 2016.06.30

초록

우리는 수많은 지리 오개념들로써 우리나라나 세계를 잘 못 이해하고 그릇된 관점으로 보고 있는지 모른다. 사회적으로 한번 구성된(만들어진) 그러한 오개념들은 세대를 거치며 반복적으로 재생산되거나 학습됨으로써 지속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대구 산간분지라는 오개념도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지리학자 타무라(1933)와 타다(1940)에 의해 만들어지고, 식민지 이후에는 많은 한국의 지리학자들(교수와 교사)과 언론인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재생산되고 확산돼 온 것이다. 국제지형학회에서 편찬한 지형학 백과사전에서 산간분지 정의에 의하면, 대구의 예전의 역사적 관할구역뿐 아니라 오늘날 광역시역에서도 중심 평야지역은 주위 사방팔방 중에서 북과 남쪽 방향(북쪽, 북동쪽, 북서쪽 일부, 남쪽, 남동쪽)만 산지와 구릉지로 둘러싸여 있어 산간분지지형이라고 볼 수 없다. 대구는 남과 북 방향에 산지가 잘 발달해 있지만 동서로는 금호강 하류에 위치한 덕에 외려 평야 지형이 잘 발달한 개방적인 평야 혹은 평원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대구 산간분지 도시라는 지형 인식이 하루빨리 교정되고, 또한 한국과 세계에 관한 수많은 지리 오개념들에 대해 학계의 관심과 더불어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We may have an incorrect view of Korea and the world by misunderstanding them with a number of geographic misconceptions. Such misconceptions constructed socially tend to perpetuate through reproducing and learning repeatedly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Daegu city is in the intermontane basin.' It is also identified that this geographic misconception had constructed (made) by two Japanese geographers (Tamura, 1933; Tada, 1940)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ve been reproduced and diffused by many Korean geographers (professors and teachers) as well as journalists in the post-colonial days.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an intermontane basin in the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morphologists, Daegu seems not to be a basin city but to be a plain city, since the central plain of Daegu is surrounded by higher terrain like mountains and hills only on the north and south directions of all sides, and also it is well developed thanks to its location where the downstream of the Geumhogang river flows from east to west. This paper hopes that the landform recognition as 'Daegu intermontane basin city' should be corrected as soon as possible, and also many geographic misconceptions will be studied actively for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Korea and the world.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혁재, 1987, 한국지리, 법문사.
  2. 김민성, 2013, "교사들이 인지하는 고등학생들의 한국지리 오개념," 대한지리학회지, 48(3), 482-496.
  3. 김우관, 1985, " 1)지질 및 지형," 한국지리:지방편 3, 건설부 국립지리원, 161-163.
  4. 김종욱.주경식.엄정훈.강진우.이종식.서민철.심승희.김학희.신동화,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학사.
  5. 김주환.홍현철.신현종.김진수,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중앙교육진흥연구소.
  6. 대구시사편찬위원회, 1973, 대구시사(제3권), 대구시.
  7. 대구시사편찬위원회, 1995, 대구시사 제1권(통사), 대구광역시.
  8. 대한지리학회, 1985, 한국지리: 지방편 3, 건설부 국립지리원.
  9. 대한지리학회, 2005, 한국지리지: 경상편,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10. 두산동아백과사전연구소, 1996, 두산세계백과사전(Doopedia 백과사전), 두산.
  11. 박희두.손용택.이동환.장덕환.우욱택.윤기원.한경찬.홍용기, 2004, 고등학교 한국지리, 천재교육.
  12. 서정원.진준헌.유병일, 2008, 지역개발과 산지법의 신경향, 국립산림과학원.
  13. 손명원, 2006, "금호분지 내 지리관광자원의 자연지리학적 배경,"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2), 202-214.
  14. 손 일, 2008, "산간분지의 형태기하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반도 남부를 대상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5(4), 17-28.
  15. 윤순옥.황상일, 2009, "대구분지의 화분분석과 홀로세 후기 기후 환경변화," 한국지형학회지, 16(4), 47-59.
  16. 이기은, 2005, 대구 분지의 지형 분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순용.김훈기.강용진.서원명.최부현.최유진.이태규,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법문사.
  18. 이승호.정환영.강대균.김한재.이재은,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두산.
  19. 이재하, 2014, "CHAPTER 03 지표공간의 특성," 대구경북의 이해, 대구경북학회.대구경북연구원, 양서원, 121-160.
  20. 장재훈, 1985, "한국의 침식면과 산간분지에 관한 연구," 응용지리, 8, 59-78.
  21. 장재훈, 1987, "한국의 산간 분지에 관한 지형 연구," 성신연구논문집, 25, 137-151.
  22. 장재훈, 1997, "침식분지의 형태와 발생과정에 관한 연구," 사진지리, 6, 1-16.
  23. 전영권, 2003, 전영권의 대구지리, 도서출판 신일.
  24. 조성호.박선희.박철웅.옥한석.이경택.채기병.최원길,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대한교과서.
  25. 조화룡, 1995, "제3장 지형," 대구시사 제1권(통사), 대구광역시, 37-51.
  26. 조화룡.한주성.서태열.임준목.심정규.마경목.박승운.권종원,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금성출판사.
  27. 탁한명.김성환.손일, 2013, "지형학적 산지의 분포와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8(1), 1-18.
  28. 한국지리정보연구회, 2004, 개정판 자연지리학사전, 한울.
  29.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30. 홍경희, 1966, 대구시:도시지리학적 연구, 대구시.
  31. 황만익.최운식.장 호.진기문.박병석.유대환.탁송일.황완길,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지학사.
  32. 황상일.윤순옥, 1998, "대구분지의 자연환경과 선사 및 고대의 인간생활," 대한지리학회지, 33(4), 469-486.
  33. 황상일.윤순옥, 1999, "대구분지의 선사 및 고대 인간생활에 미친 Holocene 자연환경변화의 영향," 한국고고학보, 41, 1-36.
  34. Blyth, S., Groombridge, B., Lysenko, I. Miles, L. Newton, A., 2002, Mountain Watch , UNEP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Cambridge, UK.
  35. Brunsden, D. and Allison, R. J. 1986, Mountain and high-lands, in Fookes, P. G. and Vaughan, P. R.(eds.). A Handbook of Engineering Geomorphology, Surrey University Press, Guildford, 150-165.
  36. Gerrard, A. J., 2014, What Is Mountains?:Background Paper to Definition of Mountains and Mountain Regions, World Bank Group, Washington, D. C.
  37. Goudie, A. S.(ed.),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Vol.1,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morphologists,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38. Gregory, K. J., and Lewin, J., 2014, The Basic of Geomorphology: Key Concepts, Sage Publication, London.
  39. Kapos, V., Rhind, J., Edwards, M., Price M. F., Ravilious, C., 2000, Developing a map of the world's mountain forests, in Price, M. F. and Butt, N.(eds.), Forests in Sustainable Mountain Development:A state-of-knowledge Report for 2000,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4-9.
  40. Korner, C. and Ohsawa, M., 2005, Chapter 24 Mountain systems, in Hassan, R., Scholes, R., Ash, N.(eds.),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Current State and Trends, Volume 1, Islandpress, Washington, D. C., 681-716.
  41. Korner, C., Paulsen, J., Spehn, E. M., 2011, A definition of mountains and their bioclomatic belts for global comparisons of biodiversity data, Alp Botany, 121, 73-78. https://doi.org/10.1007/s00035-011-0094-4
  42. Messerli, B. and Ives, J. D. (eds.), 1997, Mountains of the World:A Global Priority, Parthenon, London.
  43. Migon, P., 2004, Intermontane basin, in Goudie, A. S.(ed.),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Vol.1,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morphologists,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573-574.
  44.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989, Exploring Your World The Adventure of Geography, National Geographic Society, Washington, D. C.
  45. Nelson, B. D., Aron, R. H., and Francek, M. A., 1992, Clarification of selected misconceptions in physical geography, Journal of Geography, 91(2), 76-80. https://doi.org/10.1080/00221349208979083
  46. Price, L. W., 1981, Mountains and M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47. Price, M. F., Jansky, L., Iatsenia, A. A., 2004, Key Issues for Mountain Areas,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Tokyo.
  48. 多田文男(Tada, F.), 1940, "大邱盆地の地形", 大邱府史 第三特殊編, 大邱府, 1-14.
  49. 田村一久(Tamura, K.), 1933, 朝鮮に於ける 鄕土地理の實例, 大和商會印刷所出版部, 京城.
  50. 디지털진안문화대전, 진안고원, http://jinan.grandculture.net/Content?local=jin
  51. Advameg, Science Encyclopedia, landforms, http://www.scienceclarified.com/landforms/
  52. National Geographic Education, plain, http://education.nationalgeographic.com/encyclopedia/plain/
  53. National Geographic Education, plateau, http://education.nationalgeographic.com/encyclopedia/plateau/
  54. The Free Dictionary, definition of upland, http://www.thefreedictionary.com/Upland
  55. USDA-NRCS, NSSH Part 629:Glossary of Landform and Geologic Terms, http://www.nrcs.usda.gov/wps/portal/nrcs/detail/soils/ref/?cid=nrcs142p2_054230#00
  56. Wikipedia, hill, https://en.wikipedia.org/wiki/Hill
  57. Wikipedia, mountain, https://en.wikipedia.org/wiki/Mountain
  58. Wikipedia, upland and lowland, https://en.wikipedia.org/wiki/Upland_and_lowland_(freshwater_e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