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canny Valley Effect in the Animation Character Design - focusing on Avoiding or Utilizing the Uncanny Valley Effect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서의 언캐니 밸리 효과 연구 - 언캐니 밸리(uncanny valley)의 회피와 이용을 중심으로

  • 정이 (중국 안휘재경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과) ;
  • 문현선 (한서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6.05.01
  • Accepted : 2016.05.31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uncanny valley" curve describes the measured results of the negative emotion response which depends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artificially created character and the real human shape. The "uncanny valley" effect that usually appears in the animation character design induces negative response such as fear and hatred feeling, and anxiety, which is not expected by designer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commercial animation which mostly reply on public response, this kind of negative response is directly related to the failure of artificially created character. Accordingly, designers adjust the desirability of the character design by avoiding or utilizing the "uncanny valley" effect, inducing certain character effect that leads to the success in animation work. This manuscript confirmed the "uncanny valley" coefficient of the positive emotion character design which was based on the actual character design and animation analysis. The "uncanny valley" concept was firstly introduced by a medical scientist Ernst Jentsch in 1906. After then, a psychologist Freud applied this concept to psychological phenomenon in 1919 and a Japanese robert expert Professor Masahiro Mori presented the "uncanny valley" theory on the view of the recognition effect. This paper interpreted the "uncanny valley"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theory outcomes in two aspects including sensation production and emotion expression. The mickey-mouse character design analysis confirmed the existence basis of the "uncanny valley" effect, which presented how mickey-mouse human shape image imposed the "uncanny valley" effect on audience. The animation work analysis investigated the reason why the produced 3D animation character should not be 100% similar to the real human by comparing the animation baby character produced by Pix company as the experimental subject to the data of the real baby with the same age. Therefore, the examples of avoiding or utilizing the "uncanny valley" effect in animation character design was discussed in detail and the four stages of sensation production and emotional change of audience due to this kind of effect was figured out. This research resul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reference in deciding the desirability of the animation character.

인공적으로 창조된 캐릭터가 실제의 인간과 얼마나 닮았느냐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부정적인 정서 반응을 측정한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언캐니 밸리' 곡선이다.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서 자주 나타나는 언캐니 밸리 효과는 공포와 혐오감, 불안감을 조성해 디자이너가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특히 대중의 호응을 필요로 하는 상업 애니메이션의 경우, 이런 부정적인 반응은 창조된 캐릭터의 실패로 직결될 것이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언캐니 밸리 효과를 회피하거나 이용하는 방식을 통해 캐릭터 디자인의 호감도를 조정하고 관객의 정서를 자극함으로써 적절한 효과를 유발해 애니메이션 작품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실제의 인간 형상 및 캐릭터 디자인의 언캐니 밸리 지수를 측정하고, 이 수치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다 긍정적인 정서를 환기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의 표준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언캐니'라는 개념은 1906년 의학자 옌취(Ernst Jentsch)에 의해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이후 1919년에는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프로이트가 이 개념을 심리 현상에 적용하였으며, 1970년대에는 일본의 로보트 전문가 마사시로 모리(Masahiro Mori) 교수가 인지 효과의 '언캐니 밸리' 이론 가설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감각인지 생성과 정서 표현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언캐니 밸리' 지표를 해독하였다. 미키마우스 캐릭터 디자인 분석에서는 '언캐니 밸리' 지표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제와의 유사성을 높인 미키마우스의 인형 이미지가 왜 관객에게 '언캐니' 반응을 일으키는지 설명하였다. 애니메이션 작품 분석에서는 픽사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의 유아 캐릭터와 동일한 연령대의 인간 유아 데이터를 비교하여 3D 애니메이션 캐릭터 제작이 지나친 사실성과 실제감을 추구해서는 안 되는 이유를 규명하였다. 이어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서 '언캐니 밸리' 효과를 회피하거나 이용한 사례를 상세히 논술해 이에 대한 관객의 4단계 감각인지 및 정서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호감도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Ernst Jentsch. "Zur Psychologie des Unheimlichen", Psychiatrisch-Neurologische Wochenschrift.
  2. Angelaki, "One the Psychology of the Uncanny", Journal of the Oretical Humanities, 1997. 2(1).
  3. Geller, "Overcoming the Uncanny Valley",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2008.
  4. 이윤희, 영화 <아바타>가 보여주는 극사실적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특이성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20호, 2010.
  5. 西格蒙德.弗洛伊德著, 李俏梅 譯, 論神秘而令人恐怖的東西, 北京 : 國際文化出版社, 1999.
  6. 森政弘, 不氣味の谷, Energy, ェッソスタンダ一ド石油(株), 1970.
  7. 維尼.布羅迪, 邵明 譯, 日本机器人學家森昌弘的佛敎式恐怖谷槪念, 宜賓學院學報, 2012.12(8).
  8. 奇格蒙特.鮑曼, 對秩序的追求, 北京 :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6.
  9. 保羅.紐曼,趙康, 于洋 譯 恐怖-起源, 發展和演變,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5.
  10. 日蘭.克尔凱郭尔, 恐懼與顫栗, 北京 華夏出版社, 1999.
  11. 拉斯.史文德森, 范晶晶 譯, 恐懼的哲學,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10.
  12. 諾埃尔.卡羅尔, 李媛媛 譯, 超越美學, 北京 商務印書館, 2006.
  13. 弗洛依德, 常宏 譯, 論文學與藝術, 北京 國際文化出版社, 1979.
  14. 劉東, 西方的丑學,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7.
  15. 戴維.斯卡尔, 吳杰 譯, 恐怖電影文化史,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5.
  16. 林少雄 視像與人-視像人類學論綱, 上海 學林出版社, 2005.
  17. 莉婭.克里斯蒂瓦, 張新木 譯, 恐怖的權利-論卑賤, 北京 生活讀書新知三聯書店, 2001.
  18. 彭玲, 影視心理學, 上海 上海交通大學出版社, 2006.
  19. http://www.docin.com/p-127434565.html
  20. http://blog.sina.com.cn/s/blog_6b710ca20100xg0g.html
  21. http://www.guokr.com/article/146004/
  22. http://www.zhihu.com/question/20153090
  23. http://www.guokr.com/article/141712/
  24. http://daily.zhihu.com/story/448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