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과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나타난 상호매체성 관계

The Intermedial Relationship between the Animations, and

  • 임용섭 (세한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투고 : 2016.04.25
  • 심사 : 2016.05.31
  • 발행 : 2016.06.30

초록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2015)과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2001)은 서로 비슷한 서사구조와 장면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두 애니메이션이 어떠한 상호매체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해 보기로 하였다. 연구 결과, <인사이드 아웃>은 <인사이드 아웃>보다 약 14년 앞서 제작 상영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상호매체성 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전자가 후자의 시스템을 참조해 직접적으로 활성화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었다. 그래서 상호매체적 관계에서 개별체참조하여 활성화가 되었다고 보고,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 <인사이드 아웃>에서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모티프들이 다량 재구성되어 새로운 느낌을 자아내고 있었다. 그래서 본 논문은 상호매체성을 소재 즉, 매체를 통해 단일 매체가 한계를 극복하면서 변모된 것이자 수용자들에게 더 양질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간주하고, 라예브스키(Rajewsky)의 상호매체성 분석틀을 활용해 두 애니메이션 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Inside Out(2015) and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2001) have similar narrative structures and scenes. This paper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med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imation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intermedial relationship between Inside Out and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which was produced and released about 14 years before. However, it was hard to say the former referred to the system of the latter and adopted it. When seen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of exposition, development, crisis, climax, resolution, in Inside Out, various motifs of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were restructured, creating a new feeling. This study considered intermediality as something that a single medium overcomes limitations and is transformed through materials, or media, and an important way to provide consumers with contents of better quality, and using Rajewsky's frame of analyzing intermedialit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 two anima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석, 에크리-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2. 박영욱,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향연. 2008.
  3.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일본애니메이션은 미국시장에서 어떻게 성공했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4. 임용섭, "한국애니메이션에서 문화원형성의 수용과 적용양상",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5, 8)
  5. 염동철, 미야자키 하야오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나타난 기호학적 특성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0(1), 2014, pp.112-132.
  6. 전동열, 기호학적 범주로서의 상호매체성. 독일문학, 115, 2010, pp.251-273.
  7. Rajewsky, I. O. "Intermediality, intertextuality, and remediation: A literary perspective on intermediality. Intermedialites: Histoire et theorie des arts, des lettres et des techniques Intermediality:/History and Theory of the Arts". Literature and Technologies, (6), 43-64. 2005.